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8 18:50:40

극흑의 브룬힐데

극흑의 브륜힐데에서 넘어옴
극흑의 브룬힐데
極黒のブリュンヒルデ
Brynhildr in the Darkness
파일:attachment/극흑의 브룬힐데/118.jpg
장르 SF, 다크 판타지, 액션, 하렘
작가 오카모토 린
출판사 파일:일본 국기.svg 슈에이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울문화사
연재처 주간 영 점프
레이블 영 점프 코믹스
연재 기간 2012년 9호 ~ 2016년 18호
단행본 권수 파일:일본 국기.svg 18권 (2016. 05. 19. 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권 (2020. 10. 30.)

1. 개요2. 줄거리3. 발매 현황
3.1. 번역 제목에 대한 이야깃거리
4. 특징5. 등장인물6. 설정7. 평가8. 미디어 믹스
8.1. 애니메이션
8.1.1. 공개 정보8.1.2. 특징8.1.3. 주제가8.1.4. 회차 목록
8.2. 소설
9. 기타

[clearfix]

1. 개요

일본의 만화. 작가는 < 엘펜리트>를 그린 오카모토 린. 작가의 대표작 중 하나인 엘펜리트와 비슷한 느낌의 SF물로, 공식에서는 순애 다크 판타지를 표방하고 있다.

2. 줄거리

어린 시절에 사고로 죽게 만든 소꿉친구인 소녀 '쿠로네코'를 잊지 못하는 고교생 ' 무라카미 료타'는 그녀와 나눈 우주인의 존재를 증명하겠다는 약속을 이루기 위하여, 천문부에 재적하고 매일 밤하늘을 올려다보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료타의 앞에 그 쿠로네코와 쏙 닮은 전학생 ' 쿠로하 네코'가 나타난다. 그녀는 연구소에서 도망쳐 나온 마법사였다.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소꿉친구였던 쿠로하 네코에게 관심을 갖게 된 료타는 그녀를 쿠로네코와 동일시하며 관심을 갖게되고 별자리를 보던 중 갑자기 찾아와 죽음을 예고하고, 실제로 죽을뻔 한 해프닝을 통해 엮이게 된다. 처음에는 진사제를 구하기 위해 공장에 잠입하는 일에서부터 점점 부양하게되는 마법사의 수가 늘어나며 목숨을 잃을 일이 많아지고 실제로 죽음에 이르기도 한다.

그러는 중 마법사를 연구하고 통제하는 집단에 대해 알게되고 마법사가 무엇을 위한 존재인지, 배후가 누구인지 알게되며 쿠로하 네코가 소꿉친구인 쿠로네코임을 알게되며 그보다 더한 반전인 자신의 존재가 신인류의 재료임을 알게되고, 마지막 적인 로키에 융합해 스스로 소멸하며 기억만 남게된다. 이후 숙부인 코고로에 의해 기억이 저장된 곳이 알려지며 쿠로하 네코가 그곳 (엣다)를 찾아가 겨우 만나게된다. 하지만 기억으로만 존재하는 엣다에는 료타를 위해 엣다에 접속해 료타의 기억 외 모든것을 지워버리고 사망해버린 카즈미가 만든 딸이 존재한다는 허무맹랑한 결말을 맞는다.[1] 하지만 실제로 수정된건 아니므로 굳이 따지면 처녀생식.

타카치호라는 거대 배후세력은 현생인류의 종말과 완전인류의 재탄생을 목적으로 움직이며, 아래에 빈걸프라는 연구조직을 갖고 있다. 타카치호가 1910년 독일에서 발견한 우주인(신)의 유적인 예다(옛다, 엣다, 에다)에서 발견한 자료를 통해 빈걸프는 어린 소녀들을 납치해서 척수에 하네스트라는 기계를 설치하고 드라실이라는 괴생명체를 주입하는 등 신체개조를 시켜 마법을 발현시키는 연구를 한다. 애니 내에서는 인간은 뇌에 혼이 있다는 설정이며, 이렇게 신체개조된 마법사들은 뇌가 아닌 드라실에 그 혼이 있으며 드라실이 본체이고 인간의 모습은 껍데기일 뿐이다.

따라서 인간이던 시절 기억은 자연말소되고 드라실이 본체이기 때문에 연명하면 드라실이 숙주를 뚫고 나와 숙주를 포식하고 주변사람을 포식하게 된다 마법사는 인간으로 취급되지 않으며 갖은 끔찍한 고문과 실험을 당한다. 도주위험을 방지하기위해 척수에 설치된 하네스트에서는 체내 단백질을 분해하는 프로테아제가 분비되며, 진사제라는 항 프로테아제를 섭취하지 않으면 30시간~40시간 사이에 피부가 찢어지고, 녹아 끔찍하게 사망하게 된다.

주인공 료타는 빈걸프에서 탈출한 마법사들과 조우하여 그들을 도우며 배후세력의 정체를 알아가게되며, 그 결말부에서는 타카치호의 수장이 자신의 아버지였으며, 그 전에 조우한 불완전 소서리안인 마키나가 자신의 동생임을 알게된다. 끝내 신을 멸종시킨 거인 로키가 타카치호에 의해 모습을 드러내고, 타카치호의 숙원대로 료타가 로키에게 흡수되지만 그라네가 현생인류를 소멸시켜 완전인류가 지구를 지배하게 된다는 계획을 저지하기 위해 스스로 소멸된다.

3. 발매 현황

1권 2권 3권
파일:attachment/극흑의 브룬힐데/118.jpg 파일:극흑의브룬힐데_2.jpg 파일:극흑의브룬힐데_3.jpg
파일:일본 국기.svg 2012년 05월 18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년 05월 20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2년 08월 1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년 09월 0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2년 11월 19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년 12월 19일
4권 5권 6권
파일:극흑의브룬힐데_4.jpg 파일:극흑의브룬힐데_5.jpg 파일:극흑의브룬힐데_6.jpg
파일:일본 국기.svg 2013년 02월 19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년 10월 29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3년 06월 19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6년 10월 26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3년 09월 19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년 06월 27일
7권 8권 9권
파일:브룬힐데7.jpg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
파일:일본 국기.svg 2013년 12월 19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년 10월 30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4년 03월 19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년 월 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4년 04월 18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년 월 일
10권 11권 12권
파일:일본 국기.svg 2014년 07월 18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년 월 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4년 10월 1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년 월 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5년 01월 19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년 월 일
13권} 14권 15권
파일:일본 국기.svg 2015년 04월 1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년 월 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5년 07월 1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년 월 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5년 10월 19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년 월 일
16권 17권 18권
파일:일본 국기.svg 2016년 01월 19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년 월 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6년 05월 19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년 월 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6년 05월 19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년 월 일

작가의 두 전작과 마찬가지로 슈에이샤의 주간 영 점프에서 연재되다가 영 점프 코믹스 레이블로 단행본화되었다.

2014년 4월 18일에 단행본 9권이 발매되었다. 애니화에 맞추어 빨리 나오는 듯.

2014년 7월 18일 단행본 10권이 작가 오카모토 린의 단편집 'Flip Flap 신장판'과 동시에 발매되었다.

2016년 3월 31에 주간 영 점프에서 연재종료가 확정났다. 참고 그냥 영 점프에서 짤리는 게 아니라 작가가 완결입니다라고 한 모양인지 아예 '완결까지 3화' 라고 공식 트위터에 올라왔다. 단행본 기준 18권으로 완결되었다.

17권과 완결편인 18권은 동시에 발매되었고 약간 보완되어 가필한 장면도 있지만 미처 회수하지 못한 복선때문에 삭제된 장면이 꽤 있다.[2]

한국에서는 2014년 5월 20일부터 서울문화사에서 단행본이 출판되기 시작했다. 2020년 10월 기준 7권까지 정발되었다. 후속권의 정발은 7권 이후로 나오지 않았다.

3.1. 번역 제목에 대한 이야깃거리

'브륜힐데' 혹은 '브룬힐데'는 가타카나 표기 'ブリュンヒルデ(부륜히루데)'를 적당히 옮긴 것인데, 작중 독일어가 상당히 중요하게 사용되고 니벨룽겐의 반지가 인용되는 것으로 보아 게르만 신화의 등장인물 브륀힐트[3]에서 따온 듯하다. 독일어에서 신화 속 해당 인물은 'Brünhild(브륀힐트)', 혹은 'Brünhilde(브륀힐데)'로 표기된다. 단행본 뒷표지와 애니메이션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이 중 후자인 'Brünhilde'를 의도한 'Brynhildr[4] In The Darkness'로 되어 있으므로, 굳이 제대로 옮긴다면 '브륀힐데'가 맞다.[5]

동시 방영한 애니플러스에서는 『극흑의 브륜힐데』로 표기했으며 만화를 정식 발매한 서울문화사에서는 『극흑의 브룬힐데』로 표기했다. 그도 그럴 것이 원어의 발음 같은 건 조사했을 리 없으므로 일본식 영어 표기에서 ㅠ 발음을 ㅜ 발음으로 변경해 표기하듯 브륜힐데가 아니라 브룬힐데라고 넘겨짚고 번역했을 듯.

4. 특징

전작인 엘펜리트보다 여러 작품들(특히 신세기 에반게리온 등)의 오마주가 나오는 것이 특징. 작품의 주 무대는 나가노 현으로[6][7], 작품 내에서 지크프리드, 니플헤임 등의 단어가 나오는 걸 보아 북유럽 신화를 테마로 하였다.

실제 작품의 제목인 브륀힐데는 오딘(보탄)의 딸 발퀴리(발큐리아) 브륜힐트에서 착안된 캐릭터이고, 네코가 브륀힐트로 불려진다. 그밖에 로키나 예다, 여러 S클래스 마법사들의 코드네임이 북유럽 신에서 따온 점(프레이야 등)에서 알 수 있다.

엘펜리트처럼 주인공이 보호하는 여러 명의 히로인, 더 뛰어난 능력자를 만들기 위해 기존 능력자에게 인간 대우를 안 하는 연구 시설, 시설에서 탈출한 능력자 VS 시설에서 보낸 능력자, 능력 그 자체로는 뛰어나지만 인간을 직접 공격하지 못하는 페널티가 달린 능력, 결국 인류의 존속 VS 멸망으로 이어지는 전개 등 설정의 유사점이 많다. 하지만 동일한 능력끼리는 리치 & 위력 싸움으로 끝나고 그런 대결 장면도 많지 않던 엘펜리트와 달리, 서로 다른 능력끼리 끊임없이 목숨을 건 전략 싸움을 펼치기 때문에 능력자 배틀물의 요소는 다소 강화되었다.

5. 등장인물

극흑의 브룬힐데/등장인물 문서 참고.

6. 설정

7. 평가

개연성이 떨어지는 인물들의 행동과 점점 산으로 가는 스토리, 무수한 떡밥 및 설정회수 실패[14], 후반부의 저조한 평가등으로 급하게 마무리를 짓다보니 제대로 수습하지 못하고 용두사미식 결말로 끝나고만 아쉬운 작품. 모 트위터 유저는 본작의 미회수 복선에 대해 트위터로 작가한테 질문했지만 작품 밖에서 작품에 대해 설명하는 건 꼴볼견이라는 이유로 대답하는 걸 거부했다. 거기에 속편의 예정도 없다고 했다. 그리고 넣고 싶었던 내용을 넣지 못한 적은 없다고 발언한 걸 보아 처음부터 복선을 회수할 예정은 없었거나 연재 중단당한 건 아닌 걸로 보인다. # 그래도 단행본 160만여부를 판매해 상업적으로는 꽤 성공한 모습이다.[15]

밝혀진 바에 따르면 영점프와 충돌이 너무 많아서 스트레스가 쌓인 나머지 내 작품 망해도 좋으니 니네도 망해라는 식으로 만들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작가로서 책임감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할 수 있으나 이런 상황에서 작품을 만들기엔 어려우니 옹호의 여지가 있다.

8. 미디어 믹스

8.1. 애니메이션

극흑의 브룬힐데 (2014)
極黒のブリュンヒルデ
파일:gokukoku_01_fixw_640_hq.jpg
{{{#ffffff,#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원작 오카모토 린
감독 이마이즈미 켄이치
각본 키타지마 유키노리
캐릭터 디자인 카라스 히로아키(烏 宏明)
총 작화감독
프롭 디자인 미야가와 하루오(宮川治雄)
미술 감독 우지이에 마코토(氏家 誠)
색채 설계 사노 히토미(佐野ひとみ)
촬영 감독 아베 야스히코(阿部安彦)
CG 디렉터 후쿠시 나오야(福士直也)
편집 히라키 다이스케(平木大輔)
음향 감독 츠치야 마사노리(土屋雅紀)
음악 토키사와 나오(鴇沢 直)[16]
프로듀스 젠코
기획 프로듀서 모리지리 카즈아키(森尻和明)
프로듀서 나라 슌스케(奈良駿介)
이토 노리히로(伊藤憲浩)
츠노다 히로아키(角田博昭)
키무라 후미히코(木村文彦)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오자와 카즈요시(小澤一由)
카와카미 류타로(川上竜太郎)
애니메이션 제작 암스
제작 극흑의 브룬힐데 제작위원회
방영 기간 2014. 04. 06. ~ 2014. 06. 29.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도쿄 MX / (일) 22: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애니플러스 / (목) 00:00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전13화 + OVA 1화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19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9세 이상 시청가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

제법 인기를 얻었는지 연재 2년 만에 애니메이션화를 이뤄냈다. 방영 시기는 2014년 4월. 감독은 이마이즈미 켄이치, 제작사는 암스. 원작에서도 성우가 없었던 작품이었던 특성 때문에 애니메이션의 성우진에 주목하는 반응이 있다.

8.1.1. 공개 정보

8.1.1.1. PV
PV 제3탄
애니플러스 PV

그리고 PV도 공개. 작화가 제법 잘 나왔다. 2번째 PV에서는 성우 캐스팅까지 등장했다.[17] 이 작품의 경우 오프닝은 PV에서 나왔던 음악만 흐르며, 가사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오프닝에서 와카바야시 하츠나 후지사키 마코, 미키와 이니셜라이저를 비롯한 헥센야크트의 모습도 공개.

8.1.2. 특징

2014년 3월 20일, 공식 홈페이지에서 주연 성우 5명의 코멘트가 추가되었다. 그 외에도 자세한 코멘트는 여기. 여담으로 원작에서 나오지 않았던 료타와 네코, 카즈미, 코토리가 다니는 고등학교의 이름은 '시나노 대학 부속 고등학교'.

원작자가 애니메이션 제작진들에게 코토리의 가슴 바스트 모핑으로 그려달라고 꽤나 집요하게 부탁한 모양이다.(...) 원작에서는 가슴 노출씬이 모두 수증기 등으로 가려져있고 이는 애니메이션에서도 마찬가지. 하지만 블루레이판에서까지 유두를 가려놓으면 팬들한테서 클레임이 들어온다는 제작진의 말에 '그럼 유륜의 윤관은 에로게처럼 그라데이션을 넣어서 그려달라'고 요청했다고.

10화 시점까진 상당히 평가가 높았는데 11화 가량부터 작화가 엄청나게 불안정해지고 연출도 다소 묘해진데다 전개도 정신없이 빠른 오리지널 요소가 많이 가미된 급전개가 되어 다소 미묘한 결말을 맞았다. 참고로 전작인 엘펜리트의 경우 스토리를 적당히 마무리지을 수 있을 만한 지점이 있었고 그 부분을 잘 잡는데 성공했었다. 극흑의 브룬힐데도 이와 거의 동일한 조건이었는데 이번엔 마무리에 실패한 것이다. 만약 스카디 에피소드를 최종전으로 잡았다면[18] 적절한 시점에서 마무리도 가능했고 마침 초반부 평가도 좋아서 잘만 하면 2기까지도 노려볼 수 있었는데 제작진의 선택 미스때문에 기회를 모두 날리고 말았다. 일단 원작 홍보에는 어느 정도 성공한 듯 하지만 더 좋은 선택지가 있었음에도 결말을 날림 처리한 건 정말 아쉬운 부분이다.

BD/ DVD 판매량은 1,900장대. 익히 알려진 발매 형식관 달리 각각 6화, 7화(+OVA) 씩을 담은 투 박스 형식으로 판매하긴 하지만, 당시에 평타를 치는 판매량을 볼륨 당 3~4천장으로 잡던 관행에 비추어 봤을 때 매우 아쉬운 판매량임을 부정할 수 없다. 결말부의 평가가 상당히 나빴던 것을 감안하면 이게 악영향을 줬을 가능성이 크다. 원작 홍보에 도움이 되었다는 정도로 만족해야 할 듯.

원작이 완결 난 이후 현재 기준으로 위에 서술한 산으로 가는 전개와 떡밥회수 실패로 인한 용두사미식 결말이 나버리면서 애니판의 오리지널 결말로 끝낸게 차라리 낫다, 아쉽지만 적절하면서 괜찮게 끝내서 다행이다. 등의 의견이 나오면서 재평가가 이뤄지고 있다.

엘펜리트 애니메이션과 마찬가지로 이 작품도 영어, 독일어 더빙이 되었다. 비록 판매량은 저조하지만 그와 별개로 오카모토 린 특유의 작품 성향이 적어도 서양에서는 꽤 먹히고 있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8.1.3. 주제가

8.1.3.1. OP1
OP1[19]
BRYNHILDR IN THE DARKNESS -Ver. EJECTED-
TV ver.
<colbgcolor=#282142,#282142><colcolor=#ffffff,#ffffff> 작곡 토키사와 나오(鴇沢 直)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282142,#282142><colcolor=#ffffff,#ffffff> 콘티 阿部栞土
연출
작화감독 카라스 히로아키(烏 宏明)
}}}}}}}}} ||
카우보이 비밥의 'Tank!'처럼 음악만 흐르며 보컬 및 가사는 없는 것이 특징이다.
8.1.3.2. OP2
OP2[20]
Virtue and Vice
TV ver.
MV ver.
<colbgcolor=#282142,#282142><colcolor=#ffffff,#ffffff> 노래 Fear, and Loathing in Las Vegas
작사
작곡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282142,#282142><colcolor=#ffffff,#ffffff> 콘티 타치바나 히데키
연출
작화감독 카라스 히로아키(烏 宏明)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8.1.3.3. ED
ED
いちばん星
TV ver.
MV ver.
<colbgcolor=#282142,#282142><colcolor=#ffffff,#ffffff> 노래 쿠로하 네코( 타네다 리사)
타치바나 카나( 스자키 아야)
카즈미 슐리에렌자우어( M.A.O)
타카토리 코토리( 타도코로 아즈사)
작사 eity.pop
작곡 모치즈키 야스노리(モチヅキヤスノリ)
편곡 코모리 시게오(小森茂生)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282142,#282142><colcolor=#ffffff,#ffffff> 콘티 이마이즈미 켄이치
연출
작화감독 안지키 케이(安食 圭)
작화
총 작화감독 카라스 히로아키(烏 宏明)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8.1.4. 회차 목록

<rowcolor=#ffffff,#ffffff> 회차 제목[21] 콘티 연출 작화감독 방영일
<rowcolor=#ffffff,#ffffff> TVA
제1화 きみを待ちながら
너를 기다리며
이마이즈미 켄이치 타케시타 켄이치
(竹下健一)
카라스 히로아키
(鳥 宏明)
日: 2014.04.06.
韓: 2014.04.10.
제2화 魔法使い
마법사
타마다 히로시
(玉田 博)
무라츠카사 아키에
(村司晃英)
마츠모토 준페이
(松本純平)
日: 2014.04.13.
韓: 2014.04.17.
제3화 鎮死剤
진사제
코마야 켄이치로
(駒屋健一郎)
오제키 미야비 日: 2014.04.20.
韓: 2014.04.24.
제4화 失われた記憶
잃어버린 기억
와타나베 슈
(渡部 周)
마츠모토 준페이
장민호
日: 2014.04.27.
韓: 2014.05.01.
제5화 天体観測
천체관측
니시무라 히로아키
(西村博昭)
이상민 日: 2014.05.04.
韓: 2014.05.08.
제6화 微笑の理由
미소의 이유
타카무라 유타
(高村雄太)
하마나카 아키코
(濱中明子)
무라츠카사 아키에
日: 2014.05.11.
韓: 2014.05.15.
제7화 希望のかけら
희망의 조각
마츠모토 마사유키
(松本マサユキ)
나카무라 미유키
(中村深雪)
日: 2014.05.18.
韓: 2014.05.22.
제8화 残された手がかり
남겨진 단서
와타나베 슈 마츠모토 준페이
유민지
日: 2014.05.25.
韓: 2014.05.29.
제9화 模造の記憶
모조 기억
코마야 켄이치로 아라오 히데유키
(荒尾英幸)
日: 2014.06.01.
韓: 2014.06.05.
제10화 生きている証
살아있다는 증표
타카무라 유타 장민호
유민지
日: 2014.06.08.
韓: 2014.06.12.
제11화 突然の再会
갑작스런 재회
니시무라 히로아키 박혜란
이석인
日: 2014.06.15.
韓: 2014.06.19.
제12화 魔女狩り
마녀사냥
와타나베 슈 마츠모토 준페이
유민지
홍범석
(洪範錫)
日: 2014.06.22.
韓: 2014.06.26.
제13화 守りたいもの
지키고 싶은 것
이마이즈미 켄이치 카라스 히로아키
이마이즈미 켄이치
허혜정
日: 2014.06.29.
韓: 2014.07.03.
<rowcolor=#ffffff,#ffffff> OVA
제11.5화 から騒ぎ
헛소동
나카노 히데아키
(中野英明)
핫토리 켄지
소노다 타카아키
(園田高明)
이치이 잇페이
(一居一平)
츠쿠마 타케노리
(津熊健徳)
日: 2014.09.24.
韓: 미방영

8.2. 소설

2014년 4월 18일 단행본 9권 발매와 동시에 소설판이 나왔다. 'The Moment'라는 부제까지 추가되었으며 본편의 외전이라고 한다. 타카토리 코토리의 학교 생활 묘사 등이 나온다.

9. 기타


[1] 작중 카즈미의 소원은 료타의 아이를 갖는 것이었으므로 카즈미의 딸이라고 추정하는 것이 옳다고 본다. [2] 대표적으로 에리(흐리스트)가 국회의사당 앞에서 폭주하는 장면 등. [3] 에다에서는 시그드리파(Sigrdrífa)로 불리기도 한다. [4] 표기법만 다를 뿐이다. [5] 가령 '東京ビルディング(도쿄 비루딘구)'라는 건물 이름을 한글 표기로 옮길 때, 일본식으로는 '도쿄'까지만 옮기면 된다. 그 뒷부분은 영어의 'building'에서 온 말임이 분명하므로 일본식의 '비루딘구'가 아니라 영어를 곧바로 옮겨 '빌딩'으로 표기하는 게 합리적이다. 'Brynhildr(=Brünhilde)' 역시 'ブリュンヒルデ'를 의식하여 '브힐데'로 옮길 게 아니라 독일어를 곧바로 옮겨 '브힐데'로 표기하는 게 맞는 것이다. [6] 작가의 전작인 노노노노도 나가노 현이 배경이였다. [7] 참고로 전작 엘펜리트의 주 무대인 카마쿠라가 나온 적도 있다. 애니판에서 약간 더 자세한 묘사가 나왔다. [8] 그런데 카피품을 만드는데 반년이 걸리는 것도 운이 좋은 것이라고 코고로가 말한다. 카즈미가 이 약의 카피품을 만들라고 의뢰했을 때 반년이면 운이 좋은 거고 복잡한 분자구조라면 수년이 걸린다고 한다. 하지만 결정성의 화합물이라면 한 달 안에 완성할 수 있다고 말했지만 안타깝게도 결정성의 화합물이 아니라서 한 달안에 완성하는 건 불가능했지만 그래도 복잡한 분자구조가 아니라서 반년안에 완성할 수 있어서 수년이 걸리는 것보다는 낫다. [9] 현실에선 전자의 경우에는 ' 8주기 원소'로 아직 만들어지지 않았고, 후자는 리처드 필립스 파인만의 말에 따르면 '실존할 수 없는 원소'로 추정하고 있다. [스포일러] 인간을 만들어내었던 우주인들을 멸망시켰던 존재. 이 멸망과 맞바꾸어 우주인들은 로키를 죽이는 데 성공했으나, 타카치호가 재생시켰다. 타카치호는 로키에게 마키나를 먹여 의식을 채우고, 발큐리아를 먹여 힘을 부여해 새로운 세계의 아담으로 만들려고 했다. 신이 아닌 신을 멸망시키는 존재라고 하는데 인간을 만드는 우주인과 같은 종족인지는 불명. 다만 생김새나 의식이 다른 우주인들과 같이 엣다에 있었던 것을 보면 같은 종족일 가능성도 있다. [11] 근데 타카치호의 목적에 이들의 일부를 왜 부활시키려 들었는지 의문. 목적에는 로키만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12] 이들의 의식은 인간처럼 뇌속에 있지않고, 어떠한 기계 속에 있기 때문에 육체만 부활시키면 이전을 기억하는 모습이 있다. [13] 정확히는 인위적인 일란성 쌍둥이로, 과학자가 코고로에게 돌려준 것은 그 중 하나. [14] 일례로 헥센야크트나 작중 여러 굵직한 사건사고들을 만들어놓고 엑스트라도 있는데 이름조차 안나온 검은 옷의 남성, 로키 때문에 결국 협력했지만 어느 빌런 못지 않는 오노데라 소장, 연구소 출신 또 다른 생존자 츠치야 유키 등 빈걸프 소멸 후 세계에 영향을 끼칠 인물들이 어떻게 되었는지조차 안나온다. 게다가 남은 마녀들의 드라실은 언제 부화할지도 모른다. [15] 이후 작가는 영점프를 떠나 영매거진에서 여러의미로 전작들을 뛰어넘는 막장만화를 연재하게 되는데... 패러렐 파라다이스 문서 참고. [16] PS Vita Fate/stay night OST 담당. [17] 여담으로 이 작품 시간대 이후에 방영하는 것이 러브 라이브! 2기라서 러브라이브 2기가 치유물이 되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18] 특히 이 부분은 작중에서도 두뇌싸움이 절정에 달하는 부분이다. [19] 1~9, 11.5화 사용. 13화에서는 삽입곡으로 사용. [20] 10~13화 사용. [21]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22] 예를 들어 제1장에 '1화 ~ 10화', 제2장에 '11화 ~ 19화'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