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8 03:51:31

그 남자 그 여자의 사정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원작 만화에 대한 내용은 그 남자! 그 여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등장인물 | 애니메이션

안노 히데아키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펼치기 · 접기 ]
||<-3><tablewidth=100%><tablebgcolor=#000000><width=100%> 장편 애니메이션 ||
파일:톱을 노려라!.svg 파일:나디아 로고.png 파일:신세기 에반게리온 로고.png
파일:그남자 그여자.png 파일:RE 큐티하티.png
극장용 애니메이션
파일:사도신생.png 파일:EOE.png 파일:에바1.0.png
파일:90414.png 파일:에바3.0.svg 파일:에바3.0+1.0.png
실사영화
파일:신 고질라.png 파일:신 울트라맨.png 파일:신 가면라이더.png

상세정보 링크 열기

그 남자, 그 여자의 사정 (1998~1999)
彼氏彼女の事情
파일:그남자 그여자의 사정.jpg
{{{#010066,#010066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장르 순정
원작 츠다 마사미
기획 가이낙스
감독 안노 히데아키
사토 히로키(佐藤裕紀)[1]
캐릭터 디자인 히라마츠 타다시
미술 감독 사토 마사루(佐藤 勝)
미술 설정 히라사와 아키히로(平澤晃弘)
핫토리 유미코(服部由美子)
색채 설계 타카보시 하루미(高星晴美)
촬영 감독 쿠로사와 유타카(黒澤 豊)
편집 미키 사치코(三木幸子)
음향 감독 안노 히데아키
음악 사기스 시로
프로듀서 코바야시 노리코(小林教子) 테레비 도쿄
야나기사와 타카유키(柳沢隆行)
오오츠키 토시미치(大月俊倫)
애니메이션 제작 프로듀서 아베 미치히사(阿部倫久)
마츠쿠라 유지
사토 히로키(佐藤裕紀)
→카미무라 야스히로(神村靖宏)
애니메이션 제작
2D 웍스
J.C.STAFF
제작 테레비 도쿄
SOFTX
건지스
방영 기간 1998. 10. 02. ~ 1999. 03. 26.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테레비 도쿄 / (금) 18:3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투니버스 / (월~화) 22:00
파일:투명.png KBS 2TV
한국 정식발매 유림엔터테인먼트 ( VHS, KBS 2TV판 더빙 기반)
DVD애니 ( DVD, KBS 2TV판 더빙 기반[2])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26화[3]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 ||

1. 개요2. 특징3. 등장인물4. 음악
4.1. 주제가
4.1.1. OP4.1.2. 일본판 ED / 한국판 ED14.1.3. 한국판 ED24.1.4. 25화 ED
4.2. 삽입곡
5. 회차 목록6. 해외 공개
6.1. 대한민국
7. 평가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한국 정식 방영 명칭
KT알파 판권 자막판 그 남자, 그 여자의 사정
투니버스 그 남자 그 여자
KBS 2TV 비밀일기
일본 만화 그 남자! 그 여자!를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가이낙스 J.C.STAFF에서 공동으로 제작하여 1998년 10월부터 1999년 3월까지 방영하였다. 총 26화. 감독은 안노 히데아키가 맡았다. 그래서 그런지 에반게리온 패러디가 곳곳에 나온다. ' 초호기 발진'이라든지…

감독은 안노 히데아키가 했고 각본도 쓰고 연출 감수도 해서 안노의 색깔이 강하게 나오지만 실제로 콘티 연출을 많이 한 건 이마이시 히로유키였고 그래서 이마이시 히로유키 연출색도 강하다. 이마이시는 이 작품이 전혀 순정만화 같지 않아진 걸 보면서 "나는 오리지널만 해야되겠다." 라는 생각을 했다고 한다.

그러나 안노는 중간에 감독을 그만두었다고 한다. 이에 대해선 증언이 엇갈린다. 애니메이터 스즈키 슌지는 안노는 고교생의 사랑에서 더 나아간 것 (원작에도 있던 정사신으로 추정.)을 제대로 묘사하려고 했는데 프로듀서가 안 된다고 했고 안노가 의견을 굽히지 않아 결국 강판되었다고 한다. # 일단 애니판 18화는 사토 준이치 연출로 간접적인 정사신이 나오긴 하는데 스즈키 슌지 주장으로는 이것 때문인 걸로 추정.

한편 프로듀서 쪽 주장으로는 안노가 14화를 총집편으로 만들게 되었는데 안노는 혁신적인 연출의 총집편을 만들겠다면서 1 ~ 13화를 고속 재생해서 20분 안에 몰아넣는 새로운 시도를 했다고 한다.[4] 안노는 "이것이야말로 진정한 총집편이다!" 하고 좋아하고 있었는데 방송국 측에서 "너 방송을 뭐라고 생각하는 거냐?" 하고 화를 냈고 안노가 갑자기 "그럼 그만두겠습니다." 하고 그만둬버렸다고 한다. 안노는 그 이전부터 팬티 노출 장면을 내려고 했는데 프로듀서 쪽에서 하지 말라고 해서 "그러면 그 연출은 안 하겠습니다. 하지만 계속 이러시면 곤란해요." 라고 하며 불만을 드러냈는데 이 총집편 사태가 터지니 진짜 그만두고 가버렸다고. 그래서 방송국에서 난리가 났었다고 한다. # 이 말대로면 오히려 18화의 정사신은 안노가 아니라 프로듀서 쪽에서 넣었다는 이야기가 된다.

그래서 중간부터 가이낙스의 프로듀서였던 사토 히로키(佐藤裕紀)가 감독으로도 표기되는데 안노가 싸우고 강판되어서 사토 히로키가 감독을 대신했다고 볼 수 있는 정황이 있다.

일본의 성우진들은 당시 베테랑 성우들의 연기에 한계를 느끼고 있었던 안노 히데아키 감독의 지침에 따라서, 신인 성우들을 많이 기용했기 때문에, 이 작품이 데뷔작인 성우가 상당히 많다. 대표적으로 치바 사에코, 에노모토 아츠코, 스즈키 치히로, 야마모토 마리아[5], 후쿠이 유카리, 신타니 마유미. 이 중 치바 사에코가 가장 성공한 편이다. 다만 에반게리온에도 출연한 이시다 아키라가 조연으로 출연하기도 하였다.

오랫동안 블루레이가 없었던 애니였는데, 2019년 3월 22일 드디어 발매되었다.

쫑아는 사춘기 / 사랑은 콩다콩, 행복한 세상의 족제비와 더불어 한국 애니메이션으로 오해를 제일 많이 받는 일본 애니메이션 중 하나이기도 하다.[6]

2. 특징

3.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그 남자! 그 여자!/등장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음악

4.1. 주제가

4.1.1. OP

OP
天使のゆびきり
천사의 약속
파일:일본 국기.svg TV ve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TV ver.
Full ver.
<colbgcolor=#96cd70,#96cd70><colcolor=#010066,#010066> 노래 파일:일본 국기.svg 후쿠다 마이(福田 舞)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은표
작사 후지이 후미야(藤井フミヤ)
작곡 아리가 노부오(有賀啓雄)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96cd70,#96cd70><colcolor=#010066,#010066> 연출 안도 켄(安藤 健)
작화 카즈이 히로코(数井浩子), 니시오 테츠야, 이토 노부타케, 미야자키 나기사(宮崎なぎさ), 히라마츠 타다시
}}}}}}}}} ||

현재, 킹 레코드의 저작권 행사로 인하여 주제가 영상은 물론 PLAYY Anime 공식 자막판 다시보기조차 막힌 상황이다.

위의 영상은 블루레이 PV로 노래와 타이틀까지만 오프닝이며 그 이후 영상은 본편 영상을 편집한 것으로 원래의 오프닝 영상이 아니다. 영상을 편집한 건 안노 히데아키 감독 본인이다. 오리지널 오프닝은 마치 에바 TVA 25회, 26회를 연상케 하는 밑그림 연출이 몇 군데 있기 때문에 안노 감독이 일부러 블루레이에서 보강했을 수도 있다. (다만 오리지널이 연출이 떨어지거나 작화가 붕괴했다는 의미는 아니다. 연필화이기는 하지만 상당한 연출력이 보이는 씬도 있다.)

한국에서는 번안곡을 여는 노래로 사용했다. KBS판은 은표가 불렀으며 투니버스판보다 더 인기있다.

4.1.2. 일본판 ED / 한국판 ED1

일본판 ED / 한국판 ED1
夢の中へ
꿈속의 나라로
파일:일본 국기.svg TV ver.
파일:일본 국기.svg TV 16화 ve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TV ver.
파일:일본 국기.svg Full ver.
<colbgcolor=#96cd70,#96cd70><colcolor=#010066,#010066> 노래 파일:일본 국기.svg 에노모토 아츠코, 스즈키 치히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불명
작사 이노우에 요스이(井上陽水)
작곡
편곡 미츠무네 신키치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96cd70,#96cd70><colcolor=#010066,#010066> 엔딩 촬영협력 마사유키, 시네바 자르(シネバザール)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16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96cd70,#96cd70><colcolor=#010066,#010066> 엔딩 촬영협력 안도 켄(安藤 健), 가이낙스의 고양이(GAINAXのねこ)
}}}}}}}}} ||

이노우에 요스이 1973년에 발표한 곡을 리메이크하여, 미야자와 유키노 / 아리마 소이치로 역의 에노모토 아츠코 / 스즈키 치히로가 불렀으며, 오프닝인 '천사의 약속'을 제끼고 작품을 대표하는 노래로 자리잡게 되었다.

한국에서는 한때 EBS의 어린이 프로그램 '딩동댕 유치원'에서 인형극을 할 때 이 노래가 매우 자주 사용되었다. KBS 더빙판에도 <학교 2> 오프닝곡으로 유명한 은표(Fish)가 부른 이 노래의 번안곡이 쓰였으며(투니버스도 번안했으나 KBS가 확실히 깔끔한 편이다), YMCK 칩튠버전으로 편곡하기도 하였다. 쓰르라미 울 적에의 영상과 섞은 매드무비가 있다. 1~3편까지는 에노모토 아츠코가 솔로로 부른 유키노 버전이, 유키노와 소이치로가 사귀기 시작한 후로는 유키노/소이치로의 커플 버전으로 부른 엔딩이 나온다.

KBS2 버전은 엔딩곡 '꿈속의 나라로'를 번안하여 삽입하고, 엔딩 크레딧 영상은 성우 녹음과 자체컷 연출로 구성하였다.

2023년 개봉한 스즈메의 문단속에서도 바로 이 노래가 나온다. 이와토 스즈메 무나카타 소타를 구하기 위해, 들어갈 수 있는 문을 이 노래 가사대로 찾는 여정을 시작할 때쯤 나오는데, 스즈메에게 어디든 태워주겠다는 세리자와 토모야가 도쿄에서 출발할 때, 카오디오를 통해 틀어준 여러 노래 중 첫번째 노래이다.

4.1.3. 한국판 ED2

한국판 ED2
야 야 야
Full ver.
<colbgcolor=#96cd70,#96cd70><colcolor=#010066,#010066> 작사 송재원
작곡 이창희
노래 BK프로젝터

투니버스의 경우 시즌 2 방영 때에는 독자적으로 엔딩곡 '야 야 야'를 만들어 삽입했다. 투니버스 전성기의 명곡 중 하나. 이 곡은 WE 1집에도 수록되어 있다.

4.1.4. 25화 ED

25화 ED
風邪ひいた夜
감기 걸린 밤
TV ver.
Full ver.
<colbgcolor=#96cd70,#96cd70><colcolor=#010066,#010066> 노래 와타나베 유키(渡邉由紀)
야마모토 마리아
작사 마츠우라 유키(松浦有希)
작곡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96cd70,#96cd70><colcolor=#010066,#010066> 엔딩 일러스트 오구라 노부토시
}}}}}}}}} ||

4.2. 삽입곡

6화 삽입곡
S・O・S
Full ver.
<colbgcolor=#96cd70,#96cd70><colcolor=#010066,#010066> 노래 와타나베 유키(渡邉由紀)
야마모토 마리아
작사 아쿠 유우(阿久 悠)
작곡 츠쿠라 슌이치(都倉俊一)


5. 회차 목록

<rowcolor=#010066,#010066> 회차 제목 각본 콘티 연출 작화 감독 방영일
제1화[9] ACT 1.0 彼女の事情 (油断大敵)
ACT 1.0 그녀의 사정 (방심은 금물)
안노 히데아키 이마이시 히로유키
사에키 쇼지
안도 켄
(安藤 健)
히라마츠 타다시 日: 1998.10.02.
韓: 2000.07.17.
제2화[10] ACT 2.0 二人の秘密 (塞翁失馬)
ACT 2.0 두 사람의 비밀 ( 새옹지마)
오오츠카 마사히코
오구라 노부토시
오오츠카 마사히코 오구라 노부토시 日: 1998.10.09.
韓:
제3화[11] ACT 3.0 彼氏の事情 (厚貌深情)
ACT 3.0 그의 사정 (후모심정)
이마이시 히로유키 안도 켄 이마이시 히로유키 日: 1998.10.16.
韓:
제4화 ACT 4.0 彼女の難題 (自縄自縛)
ACT 4.0 그녀의 난제 ( 자승자박)
사에키 쇼지
츠루마키 카즈야
사토 이쿠로
(佐藤育郎)
나카야마 유미
(中山由美)
日: 1998.10.23.
韓:
제5화 ACT 5.0 日々の迷宮 (千荊万棘)
ACT 5.0 매일의 미궁 (천형만극)
요코타 카즈
(横田 和)
카사이 켄이치 히라오카 마사유키
(平岡正幸)
日: 1998.10.30.
韓:
ACT 5.5 彼の野望 (虎視眈々)
ACT 5.5 그의 야망 ( 호시탐탐)
제6화 ACT 6.0 僕を変える、君の声 (芝蘭結契)
ACT 6.0 나를 바꾸는 너의 목소리 (지란결계)
츠루마키 카즈야
사에키 쇼지
오오츠카 마사히코 오구라 노부토시 日: 1998.11.06.
韓:
제7화 ACT 7.0 二人の阻隔 (不撓不屈)
ACT 7.0 두 사람의 간격 (불요불굴)
이토 나오유키 사토 히데카즈 나카야마 유미 日: 1998.11.13.
韓:
제8화 ACT 8.0 彼女の日常 (安閑恬静)
ACT 8.0 그녀의 일상 (안한념정)
히라마츠 타다시 사에키 쇼지 히라마츠 타다시 日: 1998.11.20.
韓:
ACT 0.5 桜の林の満開の下 (人面桃花)
ACT 0.5 벚꽃 숲이 만개한 아래 (인면도화)
사에키 쇼지 안도 켄
제9화 ACT 9.0 モラトリアムの贖罪 (因果応報)
ACT 9.0 모라토리엄의 속죄 ( 인과응보)
카사이 켄이치 우스타니 히데유키
(薄谷栄之)
日: 1998.11.27.
韓:
제10화 ACT 10.0 すべてはこれから (急転直下)
ACT 10.0 모든 것은 지금부터 ( 급전직하)
오카모토 히데키
이마이시 히로유키
오카모토 히데키 이토 노부타케 日: 1998.12.04.
韓:
제11화[12] ACT 11.0 1学期の終わりに (憐香惜玉)
ACT 11.0 1학기가 끝나고 (연향석옥)
이토 나오유키 안도 켄 이마이시 히로유키 日: 1998.12.11.
韓:
ACT 11.5 夏の休みの始まりに (同気相求)
ACT 11.5 여름 방학이 시작할 때 (동기상구)
제12화 ACT 12.0 仕合わせの在処 (悲歓離合)
ACT 12.0 행복이 있는 곳 (비환이합)
츠루마키 카즈야 日: 1998.12.18.
韓:
제13화[13][14] ACT 13.0 幸せの主観 (帰馬放牛)
ACT 13.0 행복의 관점 (귀마방우)
오오츠카 마사히코 히라마츠 타다시 日: 1998.12.25.
韓:
제14화 ACT 14.0 これまでのお話 (前編) (紆余曲折)
ACT 14.0 지금까지의 이야기 (전편) (우여곡절)
- 오오츠카 마사히코 - 日: 1998.12.30.
韓:
ACT 14.3 これまでのお話 (中編) (有為転変)
ACT 14.3 지금까지의 이야기 (중편) (유위전변)
제15화 ACT 14.6 これまでのお話 (後編) (多事多難)
ACT 14.6 지금까지의 이야기 (후편) (다사다난)
안도 켄
오오츠카 마사히코
日: 1999.01.08.
韓:
ACT 15.0 声の向こうに見えるもの (一日千秋)
ACT 15.0 목소리 너머로 보이는 것 (일일천추)
이토 나오유키 이와사키 요시아키 타카무라 카즈히로
제16화 ACT 16.0 永遠の点綴 (生生流転)
ACT 16.0 영원의 점철 (생생유전)
오구라 노부토시 안도 켄 오구라 노부토시 日: 1999.01.15.
韓:
제17화 ACT 17.0 彼の去来 (暮雲春樹)
ACT 17.0 돌아온 그 (모운춘수)
카사이 켄이치 우스타니 히데유키 日: 1999.01.22.
韓:
제18화 ACT 18.0  シン・カ (朝雲暮雨)
ACT 18.0 진화 (조운모우)
사토 준이치 오오츠카 마사히코 히라마츠 타다시 日: 1999.01.29.
韓:
제19화 ACT 19.0 14 DAYS・1 (清風故人)
ACT 19.0 14 DAYS 1 (청풍고인)
이마이시 히로유키 키무라 류이치 이마이시 히로유키 日: 1999.02.05.
韓:
제20화 ACT 20.0 14 DAYS・2 (臥薪嘗胆)
ACT 20.0 14 DAYS 2 ( 와신상담)
안노 히데아키 타카하시 유이치
후지이 마사히로
스즈키 이쿠 타카하시 유이치
후지이 마사히로
日: 1999.02.12.
韓:
제21화 ACT 21.0 14 DAYS・3 (幽愁暗恨)
ACT 21.0 14 DAYS 3 (유수암한)
오카모토 히데키 이마이즈미 토모히로
(今泉友宏)
사다 카즈히로
(佐田和弘)
日: 1999.02.19.
韓:
제22화 ACT 22.0 14 DAYS・4 (気炎万丈)
ACT 22.0 14 DAYS 4 (기염만장)
후세키 카즈노부
(布施木和伸)
타카시마 다이스케
(高島大輔)
타카하시 유이치
후지이 마사히로
日: 1999.02.26.
韓:
제23화 ACT 23.0 14 DAYS・5 (落花流水)
ACT 23.0 14 DAYS 5 ( 낙화유수)
이토 나오유키 이시도 히로유키
(石堂宏之)
타카시마 다이스케
이마이즈미 토모히로
사다 카즈히로
日: 1999.03.05.
韓:
제24화 ACT 24.0 今までと違うお話 (屋梁落月)
ACT 24.0 지금까지와 다른 이야기 (옥량낙월)
사에키 쇼지 타카무라 카즈히로 日: 1999.03.12.
韓:
ACT 24.25 これまでのおさらい「天ノ巻」 (瓦釜雷鳴)
ACT 24.25 지금까지의 복습 「천의 권」 (와부뇌명)
ACT 24.50 これまでのおさらい「地ノ巻」 (故歩自封)
ACT 24.50 지금까지의 복습 「지의 권」 (고보자봉)
ACT 24.75 これまでのおさらい「人ノ巻」 (咬文嚼字)
ACT 24.75 지금까지의 복습 「인의 권」 (교문작자)
제25화 ACT 25.0 これまでと違うお話 (傍目八目)
ACT 25.0 지금까지의 다른 이야기 (방목팔목)
사토 타츠오 나카야마 카츠이치 오구라 노부토시
나카야마 카츠이치
日: 1999.03.19.
韓:
제26화 ACT 26.0 14 DAYS・6 (有無相生)
ACT 26.0 14 DAYS 6 (유무상생)
안노 히데아키
안도 켄
안도 켄 히라마츠 타다시 日: 1999.03.26.
韓: 2000.08.27

6. 해외 공개

6.1. 대한민국

20세기 후반, 대한민국 전후 최대의 경제적 불황에 시달리고 있었다.
계속되는 대기업의 부도, 끝없이 치솟는 실업률, 쏟아지는 청소년의 흉악 범죄 등.
세기말이라는 시대적인 분위기에 걸맞은 암울하고도 어수선한 시기에 봉착해 있었던 것이다. 한편, 서울 시립 국영 고등학교 1학년 1반에 재학 중인 채은서는 극심한 내숭왕이었다. 그녀를 바꾼 지성준은 무난한 성격으로 모든 불행을 저 혼자 모든 걸 떠안으려고 하는 진정한 모범생이었다.
본질은 다르지만 똑같이 이중성을 지닌 모범생으로서 비밀을 공유하는 관계가 된 두 사람은 같은 반 회장에서 사이 좋은 친구, 친구 이상 연인이라는 관계를 거쳐 마침내 사랑하는 사이로까지 발전하기에 이른다. 그리고 자신들의 참다운 행복을 위해서 살아가기로 결심한다. 그러나, 비정한 현실은 이들에게 가혹한 정도의 시련을 가차없이 밀어닥치게 한다.
힘내라! 채은서! 지면 안 된다! 지성준! 이 세상은 너희들을 위해서 있는 거다!
― 그 남자 그 여자 오프닝 내레이션 (23화)

대한민국에서는 2000년 7월 17일부터 8월 27일까지 매주 월, 화 투니버스를 통해 '그 남자 그 여자'라는 제목으로 먼저 방영된 후, 2001년 5월 1일부터 그 해 7월 18일까지 저녁 6시에 KBS 2TV를 통해 '비밀 일기'라는 제목으로 따로 더빙하여 방영했다.

두 판본 공통 사양으로 일본판 기준 14화와 15화가 미방영되었다. 두 에피소드는 총집편인데 그림이 몇장 사용되었는지 시청률이 얼마였는지를 보여준 후 해당 에피소드 장면을 배경음악에 맞춰 뮤직비디오처럼 꾸민 에피소드이다. 옆나라 시청률을 알려줄 필요도 없거니와 없어도 무방하다 여겼는지 불필요하다 여겼는지 제외된 것. 덤으로 화수를 줄여 계약금을 줄인다는 계산도 있지 않았나 생각된다. 다만 15화는 전반부만 총집편이고, 후반부는 아사바 히데아키와 관련된 에피소드였는데 이쪽도 덩달아 통편집이 되었다. 번외적인 이야기이긴 했지만, 이유가 무엇이었든 아쉬운 결정이다.

투니버스에서는 전술한 두 편을 제외한 24개 에피소드를 방영하였다. 반면, KBS의 경우 여기에 일본판 기준 17,18편을 추가로 제외하여 22개 에피소드만을 방영하였다. 17,18편은 연애 감정이 본격적으로 묘사되는 에피소드이며 특히 18화는 성관계를 암시하는 장면이 나오는 에피소드라 제외한 것으로 보인다. 투니버스에서는 해당 에피소드를 방영하였으며, 정식 발매 DVD에는 해당 에피소드만 투니버스판으로 대체하여 수록하기도 했다.

KBS 2TV 방영 당시 지상파에서 방영되었던 역대 애니메이션 중 가장 시청 등급이 높았던 작품으로, 이후 놓지마 정신줄 파파독이 KBS 2TV에서 방영되기 전까지 유일했던 15세 이상 관람가 작품이었다.[15] 처음에는 12세 이상 등급으로 표시되었지만, 언제부턴가 오른쪽 상단에 방영 내내 15세 이상 등급 표시가 박혀 있었는데, 학부모들이 학생들이 하라는 공부는 안하고 연애질이나 하고 다닌다. 라는 이유로 항의를 하여 이 때문에 조기 종영 될 뻔했다고도 하지만 다행히 최종화까지 방영되었다.

투니버스판은 신동식 PD, KBS판은 이재길 PD가 각각 연출을 맡았는데, 성우들의 연기가 우열을 가리기 힘들만큼 쟁쟁해서 KBS판 VS 투니버스판으로 팬들 사이에서 선호하는 파가 나뉜다. 가히 슬레이어즈 SBS/투니버스 더빙 대결의 재림이라고 불러도 될 정도였다. KBS판은 최덕희, 강수진 콤비에 김일, 임은정 등 지상파다운 화려한 성우진을 보였다. 특히 강수진의 경우 열혈 캐릭터 특화 성우라는 이미지가 있었음에도 아리마의 특성을 잘 잡아 더빙했다고 평가받는다. 다만 KBS판은 중복이 많다. 목소리 폭이 좁은 배정미 성우는 윤솔을 포함해 1화 씩 1명 정도 기타 배역을 맡을 정도이니 말 다했다. 잘 들어보면 임은정 성우도 가끔 중복으로 목소리가 들리고 정현경, 김일. 반면, 투니판은 김승준의 아리마는 잘 어울릴 것이라 여겼고, 투니버스가 당시에도 더빙 퀄이 좋은 방송국이라는 이미지도 있었기에 큰 걱정은 없었다. 그리고 그 기대에 보답하듯 당시 경력이 얼마 안 된 신진급 자사 성우들로 괜찮은 결과물을 뽑아냈다. 특히 유키노 성우 이계윤은 기세에 지지 않고 절륜한 내숭 연기를 펼쳐보이기도 했다. 한편 유키노의 아버지를 맡은 김환진의 경우 유일하게 KBS, 투니버스 모두 담당한 케이스.

덧붙여 더빙 퀄과는 별개로 번역은 KBS판이 깔끔한 편.[16] 투니버스판은 가끔 직역체를 사용해서 부자연스러운 부분이 있다. 참고로 이런 번역은 투니버스 초창기 작품들의 공통된 사항이다.

두 방송국 모두 다 절륜한 편집 실력을 자랑한다. 방영 당시에는 아직 일본 문화개방 이전이었는데, 본 작품은 화면에 일본어 텍스트가 끝없이 나오는 작품이다보니, 다들 국내 방영은 어려울 것이라 예상했었는데, 양쪽 모두 그 문제를 어떻게든 해결하여 방영에 성공하였다. 편집기술의 발달이라는 것도 있었지만, 결국 양 쪽 판본 모두 본질은 노가다였다.[17]

다만 양쪽 스타일은 조금 달랐다. 먼저 투니버스는 일본판과 동일하게 화면에 텍스트만 나오게 하고자 노력했다. 글자 주변의 바탕색과 비슷한 색으로 먼저 글자를 지운 후 그 위에 한글을 새기는 방식이었는데, 2D 작화에서는 어떻게든 가능했지만 실사 화면이 사용되는 후반부에 가서는 블러 처리를 하는 방식으로 처리되어 깔끔함은 덜했다. KBS도 비슷한 방식을 사용한 부분이 있지만, 수정 난이도가 있는 부분은 그냥 네임 태그 같은 이미지로 가린후 그 위에 글자를 새기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거기다 네임 태그도 장면에 어울리는 것으로 선정했기에 원래 그런 것처럼 자연스럽게 보였다. 작업양도 줄이면서 깔끔하게 보이는 KBS의 수정 노하우가 빛을 발했다고 할 수 있다.

보컬곡 사용여부도 조금 다른데, 오프닝과 엔딩(투니버스는 1기 엔딩)은 일본어판의 번안곡이 사용되었으나, 투니버스의 경우 별도의 자작곡을 만들어 2기 엔딩으로 사용하였다. 일본판 기준 25화 전용 엔딩곡의 경우 투니버스는 원곡인 '감기 걸린 밤'의 번안곡을 사용하였지만, KBS는 오프닝 싱글의 CW인 Fun Fun의 번안곡을 사용했다.

DVD가 정식 발매되기도 했는데, 한정판/일반판에는 일본어 더빙과 KBS 더빙판이 수록되었다. 삭제 컷이 존재해서 2Audio로는 수록할 수 없었기에 별도의 디스크를 사용했고, 그나마도 보급판에는 일본어 디스크만 들어있고, 더빙판 디스크는 제외되었다. 더빙판 디스크에는 투니버스 더빙판은 포함되지 않았으나 KBS에서 미방영된 17,18화만 투니버스 더빙판으로 대체되어 수록되었다.

또한 KBS판은 DVD와는 별개로 VHS로도 출시되었다. 당시 KBS 방영 애니메이션은 이렇게 애니메이션을 비디오로 출시하기도 했다.

특이사항으로 두 더빙판 모두 주제가가 수록된 음반이 발매된 적이 있다는 이력이 있다. 투니버스판 2기 엔딩인 야야야!는 WE 1집에 수록되었고, KBS판은 오프닝, 엔딩, Fun Fun이 수록된 비밀일기 OST라는 음반을 출시하기도 했다. 다만 비밀일기 OST는 전술한 3곡을 제외한 나머지 9곡이 본 작품과 전혀 무관한 노래였으며, 그 중 한곡은 KBS 드라마 학교 3의 주제가이기도 해서 본 음반의 발매 목적에 대한 의구심을 사기도 했다.

더빙판과 별개로 자막판도 1998년에 외국계 위성채널로 방영되었다. 여기서는 '그 남자, 그 여자의 사정'라는 제목으로 방영되었다. 아울러 자막판은 2002년 SBS 애니넷을 통해 다시보기 서비스를 진행한 적이 있다.

2023년 10월까지는 KT알파 판권 하에 스트리밍 사이트를 통해 제공되었으나 이후 판권 만료로 제공이 중지되었다.

7. 평가

안노 히데아키 감독 특유의 실험적인 테이스트가 잘 살아있는 수작이다. 출판 만화와 애니메이션의 경계를 넘나드는 실험을 많이한 것으로 유명한데, 이는 제작비 절감과 독특한 기법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만족시키는 성공적인 시도로 평가된다. 신세기 에반게리온이 1970년대 작품 기반으로 연출을 구성했다면 이 작품은 마징가 Z, 파타리로, 북두의 권 같은 토에이 애니메이션 작품의 오마주가 기본 컨셉이다. 굉장히 참신한 연출 같아 보이지만 사실 토에이에서 이미 했던 걸 재조합한 것이 많다. 다만 이 당시만 해도 이런 애니메이션은 다시 보기 힘든 옛날 애니였고 안노가 조합을 잘 해서 참신한 연출로 받아들여졌다. 충분히 파격적이라 20년은 뒤에 나온 봇치 더 록!에서 이 작품과 비슷한 연출을 많이 썼는데도 참신하단 소리를 들었을 정도였다.

예를 들어, 만화책을 스캔하여 애니메이션의 한 장면으로 쓰고 거기에 성우의 목소리를 입혀 새로운 느낌을 전달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현란하게 화면을 수놓는 글자들[18]이 각종 특수 효과(?)를 대신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작화는 캐릭터 디자인 및 메인 작화 감독을 히라마츠 타다시가 맡아 실력을 선보였다. 그 외의 작화 멤버는 마사유키, 츠루마키 카즈야, 사다모토 요시유키, 마스오 쇼이치, 타카무라 카즈히로 같은 안노 사단에 이마이시 히로유키, 요시나리 요우, 오구라 노부토시 같은 멤버도 참여했고[19] 이시하마 마사시, 이토 노부타케, 하야시 아케미, 나카자와 카즈토, 아라이 코이치, 사토 요시하루 같은 외부 입력도 투입해 상당히 뛰어난 작화를 보여줘 작화로도 호평을 받았다. 다만 이게 초시공요새 마크로스처럼 1편을 버려서 다음 1편에 작화를 몰아주는 구성이라 1편이 작화가 좋으면 1편은 실험적인 연출로 작화 매수를 아끼는 연출을 많이 사용한다. 쿠츠나 켄이치는 작화 매니아는 교양으로 봐야될 애니로 선정했으며 카메다 요시미치는 이걸 보고 충격을 받아 애니메이터가 되기로 결심했다고 한다.

특히 효과음이 잘 만들어졌다. 그 남자! 그 여자! 의 내용 자체가 감정의 전달과 생각의 공유 이론 발단 전개 절정 이라는 식의 내용 전개가 많은데, 이런 전개 중 갈등이 발생하는 부분과 개그가 겹치 부분부터 시리어스 내용까지 커버가 가능한 효과음도 작중에 존재할 정도다.

정말 잘 만든 작품이지만 두 가지 문제가 있다. 하나는 안노가 중간에 그만두었다는 것과 결말.

안노는 13화를 끝으로 그만둔 것 같으며 그래서 14화부터 연출력이 크게 저하된다. 안노의 연출을 보는 게 목적이라면 13화까지만 봐도 좋다. 14화 이후로도 연출과 작화적으로 볼만한 장면이 있기는 하니 애정이 있다면 계속 봐도 무관하다.

결말은 엄청난 논란을 불렀다. 당시 26화로 완결될 때의 영상은 많은 사람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반전 따위는 없고 8권 첫 번째 챕터의 내용을 난해한 연출로 질질 끄는 식으로 다루더니 난데없이 뜨는 '그 남자 그 여자의 이야기는 계속된다'는 자막을... 오죽하면 당시 그 완결을 보고 방영한 TV 도쿄 가이낙스 등에 엄청난 항의전화가 빗발쳤으며, 원작자인 츠다 마사미도 단행본 후기를 빌려서 애니메이션을 비판하는 지경까지 갔었다. 심지어 초등학생 시절에 이 엔딩을 보고 "8년이 지난 뒤 그게 진짜 엔딩인 줄 알았다."는 사람도 있었다. 굳이 결말을 오리지널로 안 내고 이 뒤는 원작을 보라는 식의 엔딩인데 엔딩을 기대했던 사람들은 많은 실망을 했다. 그래서 명확한 결말을 기대하는 사람들에겐 별로 추천하지 않는다. 또한 애니메이션을 볼 거라면 만화와 이어서 보기를 권한다. [20]

애니메이션 감독 신카이 마코토가 이 작품을 좋아하며, 별의 목소리를 만들 때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

8. 둘러보기

KBS 2TV 화요일 애니메이션
2000.11.7~2001.4.24. 2001.5.1~2001.7.17 2001.7.24~2001.12.11
디지몬 어드벤처 비밀일기 디지몬 어드벤처 02


[1] 당시 가이낙스의 프로듀서. 안노의 경우 감독 명의를 본명과 필명(あんのひであき, アンノヒデアキ. 독음은 같다.)을 수시로 바꿔 썼고, 사토 히로키와 번갈아 감독을 담당했다. [2] 일부 에피소드는 투니버스판으로 수록 [3] 세부적으로 나누면 34화 [4] 실제로 이 작품의 총집편은 이렇다. [5] 정식 데뷔작은 딴 작품이였지만, TVA는 이게 데뷔작이다. [6] 특히 위에 서술되어 있는 1997년 외환 위기를 언급한 오프닝 내레이션 때문에 나머지 두 작품보다 더욱 더 한국 애니메이션으로 오해받는다. [7] 의성어나 의태어 효과를 나타내는 글자들 [8] 일반적인 애니메이션은 3000장이 기본. 좀 좋게 보이려면 4000장 이상은 써야한다. 2500장 남짓이면 상당한 연출력으로 작화 매수를 통제하지 않는 이상 좋은 애니메이션이 나오기 힘들다. [9] 원화 후루카와 히사키(古川尚哉), 와시다 토시야(鷲田敏弥), 스시오본명 크레딧, 이노우에 에이(井上 鋭), 코야마 마사히로(児山昌弘), 요시가키 유스케, 사에키 쇼지, 카세 마사히로(加瀬政広), 요시다 토오루, 타무라 카츠유키(田村勝之), 히노 타카후미(日野貴史), 히라마츠 타다시, 키쿠치 아이, 이마이시 히로유키만화 작화. [10] 원화 나카야마 카츠이치, 스에토미 신지, 이시하마 마사시, 타카무라 카즈히로, 츠루마키 카즈야, 오구라 노부토시 등. [11] 원화 스나다 시게키(砂田茂樹), 요시가키 유스케, 스시오, 타카무라 카즈히로, 히라마츠 타다시, 이마이시 히로유키 등. [12] 11화는 안노 히데아키가 "작화 매수의 낭비란 무엇인가를 보여주겠다." 라면서 엄청난 작화 매수(프레임)을 퍼부어서 만든 에피소드라고 한다. 담당 작화감독 이마이시 히로유키 말로는 정지 컷도 많지만 움직이는 장면은 진짜 많이 썼다고. 일반인은 별 생각 안 들겠지만 애니메이터, 연출가가 보면 "작화 매수를 저딴 데다 쓴다고?" 하고 기절할 에피소드라고. (작화 매수는 늘리면 인건비가 배율로 올라가 제작비가 몇 배로 폭등해서 이걸 많이 쓰면 징계를 받거나 퇴출당하기도 한다.) 그래서 이 에피소드만 유독 움직임이 부드럽다. 다만 그야말로 쓸데없는 곳에 낭비해서 만든 거라 총체적으로 많이 들어간 건 아니며 최종적으로는 3337장. [13] 원화 나카야마 카츠이치, 마스오 쇼이치, 타카하시 타쿠로오, 스에토미 신지, 오이자키 후미토시, 타카무라 카즈히로, 사다모토 요시유키, 요시가키 유스케, 사에키 쇼지, 사토 요시하루, 와시다 토시야, 카세 마사히로, 히노 타카후미, 미야자와 츠토무(宮沢 努), 히라마츠 타다시. [14] 안노 히데아키 감독이 11화와 반대로 "일본 최고급 애니메이터를 쓰는 대신 움직임을 넣지 않는다." 라고 하고 만든 에피소드. 작화 매수 797장. 오오츠카 마사히코는 "그걸로 애니메이션이 되겠냐." 라고 생각했지만 새로운 도전 과제라 생각해 받아들였다고 한다. [15] 2001년 2월 1일에는 방송법 제정에 따라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등급제도를 시행하였다. [16] 참고로 KBS판 번역은 윤경아. [17] 뉴타입 한국판 기사에서 수정 과정을 담은 첨부 사진 2장을 통해 이를 설명해주었다. [18] 주로 등장인물의 감정 상태를 전달하는데 사용. [19] 이들은 후에 트리거를 설립한다. [20] 이 엔딩 이후 원작에서 등장하는 강철의 눈이 작중에서 큰 전환점이 되는 에피소드라 차라리 여기서 끊는게 나았을 거라는 의견도 있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운데다 종영된 지 오래라 그저 가정일 뿐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88
, 8.1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88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