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안보지원사령부 창설 이전인 국군기무사령관에 대한 내용은 국군기무사령관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3865> |
대한민국 국군 현직 중장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해병대사령관 | |||||||||||||||||||||||
주일석 | ||||||||||||||||||||||||
국군방첩사령관 | ||||||||||||||||||||||||
이경민 소장, 직무대리 | ||||||||||||||||||||||||
합동참모차장 | 육군참모차장 | 해군참모차장 | 공군참모차장 | |||||||||||||||||||||
정진팔 | 고현석 | 최성혁 | 박기완 | |||||||||||||||||||||
합동참모본부 | ||||||||||||||||||||||||
작전본부장 | 군사지원본부장 | 전략기획본부장 | 정보본부장 | |||||||||||||||||||||
이승오 | 강동길 | 손정환 | 원천희 | |||||||||||||||||||||
해군작전사령관 | 공군작전사령관 | |||||||||||||||||||||||
황선우 | 김형수 |
}}} {{{#!wiki style="margin:-30px -1px -11px" |
전략사령관 | |||||||||||||||||||||
진영승 | ||||||||||||||||||||||||
국방대학교 총장 | ||||||||||||||||||||||||
임기훈 | ||||||||||||||||||||||||
육군사관학교장 | 해군사관학교장 | 공군사관학교장 | ||||||||||||||||||||||
소형기 소장 | 김경률 | 차준선 | ||||||||||||||||||||||
육군교육사령관 | 해군교육사령관 | 공군교육사령관 | ||||||||||||||||||||||
김봉수 | 강정호 | 손석락 |
}}} {{{#!wiki style="margin:-30px -1px -11px" |
수도방위사령관 | 육군특수전사령관 | 육군군수사령관 | 육군미사일전략사령관 | |||||||||||||||||
김호복직무대리 | 박성제 소장, 직무대리 | 손대권 | 김규하 |
}}} {{{#!wiki style="margin:-30px -1px -11px" |
지상작전사령부 부사령관 | 지상작전사령부 참모장 | 제2작전사령부 부사령관 | |||||||||||||||||
김호복 | 권대원 | 김권 소장 | ||||||||||||||||||||||
수도군단장 | 제1군단장 | 제2군단장 | ||||||||||||||||||||||
박정택 | 주성운 | 박후성 | ||||||||||||||||||||||
제3군단장 | 제5군단장 | 제7기동군단장 | ||||||||||||||||||||||
서진하 | 김성민 | 박재열 | ||||||||||||||||||||||
※ 둘러보기: 대장 | 사단장 | 함대사령관 | 공군기능사령관 | 전단장 | 비행단장 | 주임원사 | }}}}}}}}} |
}}}}}}
}}}}}} ||
국군방첩사령관 國軍防諜司令官 Commander Defense Counterintelligence Command |
|
|
|
<colbgcolor=#003984><colcolor=#fff> 육군 소장 이경민 (직무대리) | |
취임일 | 2024년 12월 6일 |
임관 | 육군사관학교 50기 |
[clearfix]
1. 개요
국군방첩사령부령 제7조(사령관 등의 임명) ① 사령관 및 참모장은 장성급(將星級) 장교로 보(補)한다. |
2024년 12월 6일 현재 이경민 소장이 사령관직을 직무대리 중이다.
2. 권한 및 역할
국군방첩사령부의 주 업무가 방첩인 걸 감안하면 당연히 요직 중 요직. 중장임에도 보직 특성상 국가기밀을 많이 다룰 수 있다. 그렇기에 과거 기무사령관 시절(대략 1993년)부터 이 직책은 중장 임기제 진급 식으로 활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권력이 너무 강해서이다.[1]정보(국직 첩보특기 및 국방무관 등 전문직렬 포함)병과의 국방정보본부장과 비슷하게 방첩병과의 정점이자 방첩병과장이라고 볼 수도 있다. 하지만, 기무사령관은 요직이긴해도 다른 병과에서 진급이 좌절된 소장의 임기제 진급 자리에 가까운데다가 실제 방첩과는 상관없는 일선 부대 출신들도 다수 임명되는만큼, 실질적으로는 방첩사령관이 아닌 방첩사 참모장이 내부 요원 출신의 방첩병과장이며 실세에 가깝다.[2][3] 이는 정보본부장이나 그 예하 정보사령관/777사령관도 마찬가지다.
3. 역대 사령관
일선 부대 출신[4]이 보직되는 경우와 기무사 내부 인사가 보직되는 경우로 나뉘는데 전자의 경우 상술했듯 임기제 진급일 수도 있으나, 정권의 신뢰를 받는 장군으로서 이후로도 승승장구할 수 있다.[5] 한편 후자는 현재까지는 전제용 장군 한 명뿐인데, 위관 시절부터 기무사에서 근무한 인원이기에 사령관 보직을 마치고 본래 출신군 중장 보직으로 이동할 수는 없으므로 바로 전역했다. 이는 앞으로도 내부 출신 사령관이 나올 때마다 마찬가지일 것이므로 이 역시 임기제 진급처럼 되었다.기무사의 안보지원사 개편 이후 역대 사령관 계보는 다른 야전부대 사령관들과는 약간 특이한데, 2대 사령관 전제용 공군 중장의 경우 안보지원사 초대 참모장으로써 육참총장으로 발탁된 남영신 총장의 남은 임기를 5개월간의 직무대리 후 차기 사령관에 중장 진급함과 동시에 취임한 후 해당 보직에서 2년의 임기를 마지막으로 전역했으며, 2대 사령관의 퇴임 당시 사령부 참모장이였던 박재갑 해군 소장의 경우 1달간의 직무대리 후 3대 사령관 이상철 육군 중장에게 부대기를 이양한 후 전역했다. 위 경우에 전제용 중장은 군 생활을 야전 전투부대보다는 기무부대에서 해온 감찰, 정보병과 군인이여서 남영신 초대 사령관의 지작사령관으로의 발탁 과정에서 사실상 후임자로 점찍어둔 것으로 보이며, 박재갑 소장도 기무부대 출신 참모장으로 전제용 중장과 같은 케이스였지만 당시 해군 1989년 임관자들[6]이 중장 막내인 상황에서 해군 장성 규모에 따른 인사적체의 우려 때문인지 차기 사령관으로 임명되지 못하고 전역했다.
||<-8><tablewidth=100%><tablebordercolor=#a81c21><tablebgcolor=#fff,#1f2023><bgcolor=#003984><color=#fff> 역대 국군방첩사령관 ||
<rowcolor=#fff> 정부 | 역대 | 사진 | 이름 | 계급 | 임관 | 재임기간 | 기타 |
군사안보지원사령관 | |||||||
문재인 정부 |
초대 |
남영신 (南泳臣) |
육군 중장 | 육군 학군 23기[7] | 2018. 09. 01. ~ 2019. 04. 14. |
[8] [9] |
|
직무대리 |
전제용 (全濟龍) |
공군 소장 | 공사 36기 | 2019. 04. 14. ~ 2019. 09. 20. | [10] | ||
2대 | 공군 중장 | 2019. 09. 20. ~ 2021. 09. 19. | |||||
직무대리 | 박재갑 | 해군 소장 | 해군 학군 35기[11] | 2021. 09. 19. ~ 2021. 10. 13. | [12] | ||
3대 | 이상철 | 육군 중장 | 육군 학군 28기[13] | 2021. 10. 14. ~ 2022. 05. 26. | [14] | ||
윤석열 정부 |
직무대리 |
황유성 (黃裕聖) |
육군 소장 | 육사 46기 | 2022. 05. 26. ~ 2022. 06. 03. | ||
국군방첩사령관 | |||||||
윤석열 정부 |
4대 |
황유성 (黃裕聖) |
육군 중장 | 육사 46기 | 2022. 06. 03. ~ 2023. 11. 06 |
[15] [16] |
|
5대 |
여인형 (呂寅兄) |
육군 중장 | 육사 48기 | 2023. 11. 06. ~ 2024. 12. 06 | |||
직무대리 |
이경민 |
육군 소장 | 육사 50기 | 2024. 12. 06. ~ | |||
직무대리 관련 사항[17] |
4. 관련 문서
[1]
심지어 문민정부 이전까지는 각군 참모총장이나 합참의장도 쉽사리 할 수 없었던 대통령 독대가 가능했다.. 이 역시 병과 특성상 청와대가 야당인사들을 감시하는 등의 정치공작 용도로 악용하기 쉬워서였는데 그래서 과거 기무사령관 출신이나 기무사 내부 인원들 중에는 전역서를 쓰고 안기부/국정원 쪽으로 차출되는 경우도 있었는데 대표적인 케이스로는
이학봉이 있다.
[2]
그러나 5대 참모장이었던 소형기 소장은 방첩사 내부 출신이 아닌 작전참모, 연대장 등을 지낸 전형적인 야전 군인이다.
[3]
역대 기무/방첩사령관 출신으로 유명한
전두환,
노태우,
박준병 등도 방첩병과 출신이 아니라 모두 보병 출신이다. 사실 이는 과거부터 보병 출신들이 득세했던 한국군 특유의 고질적인 문제이기도 한데 마찬가지로 정보사령관이나 특전사령관 등도 해당 병과 출신이 아니라 보병 출신으로 일선 전투부대를 맡던 사람이 진급용으로 자리를 꿰차는 경우가 많다.
[4]
육군의 경우 보병, 포병 등, 해군은 항해, 공군은 조종. 다만 해/공군 일선 부대 출신이 사령관이 된 경우는 아직 없다.
[5]
남영신 전 총장이 이런 경우로 기무사 해체 및 안보지원사 개편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해 정권 신뢰를 통해 대장 진급을 이뤄냈다. 또
이상철 장군도 학군 출신임에도 90군번 중 육사 출신도 제치고 1차 진급해 안보지원사령관에 보임되며 정권만 바뀌지 않았으면 승승장구할 수 있었으나 정권 교체 후 바로
지작사 참모장으로 밀려났다.
[6]
해사 43기, 육사 45기, 공사 37기와 동기급이다.
[7]
동아대학교
[8]
마지막 기무사령관이자 초대 군사안보지원사령관
[9]
前
육군참모총장, 예비역
대장
[10]
前
군사안보지원사령부
참모장,
사령관
[11]
금오공과대학교
[12]
前
군사안보지원사령부
참모장
[13]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
[14]
前
지상작전사령부
참모장
[15]
재임 중, 2022년 11월 1일
국군방첩사령부로 개편됨
[16]
前
합동참모차장
[17]
사령관 이임이나 임기종료 등 공석 발생으로 인해 편제의 최선임자가 직무대리를 임시로 수행하는 경우 기록하지 않지만, 국방부 정기인사 보도자료의 항목으로 존재하는 선임된 대리직이므로 기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