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7-14 11:21:59

광주광역시경찰청

광주시경에서 넘어옴
파일:대한민국 경찰청 문장.svg 대한민국 경찰조직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국가경찰위원회
경찰청 소속기관
국가수사본부
( 경찰수사관)
경찰대학 경찰인재개발원 중앙경찰학교 국립경찰병원 경찰수사연수원
소관단체 및 산하기관
한국도로교통공단 경찰공제회 총포화약안전기술협회 제주자치경찰단 재향경우회
시·도자치경찰위원회
시·도경찰청
서울특별시경찰청 부산광역시경찰청 대구광역시경찰청 인천광역시경찰청 광주광역시경찰청
대전광역시경찰청 울산광역시경찰청 세종특별자치시경찰청 경기도남부경찰청 경기도북부경찰청
강원특별자치도경찰청 충청북도경찰청 충청남도경찰청 전북특별자치도경찰청 전라남도경찰청
경상북도경찰청 경상남도경찰청 제주특별자치도경찰청
세부 조직
사이버수사대 경찰기동대 경찰특공대 안보수사대 과학수사대
교통경찰
( 고속도로 순찰대)
( 교통정보센터)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
( 반부패공공범죄수사대 · 금융범죄수사대)
형사기동대 마약범죄수사대
국제범죄수사대 독도경비대 정보경찰
( 치안정보국)
항공경찰대 공항경찰대
항만경찰대 경호경찰 지하철경찰대 경찰 해외 주재관
둘러보기
해양경찰청 · 군 사법기관 · 소방조직
}}}}}}}}} ||

파일:광주경찰청사.png
광주광역시경찰청

<colbgcolor=#2350a9>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fff><tablebgcolor=#ffffff> 파일:대한민국경찰참수리.svg 광주광역시경찰청
光州廣域市警察廳
Gwangju Metropolitan Police
}}}
약칭 광주경찰청/광주청/광주시경/광주광역시경
설립일 2007년 7월 2일
청장 치안감 한창훈
관할 구역 광주광역시
상급 기관 대한민국 경찰청(국가)
광주광역시 자치경찰위원회(자치)[1]
국가수사본부(수사)
전신 전남지방경찰청[분리]
광주지방경찰청
소재지
광주광역시 광산구 용아로 112
웹 사이트 광주광역시경찰청 공식 홈페이지

1. 개요2. 역대 청장
2.1. 본청2.2. 직할대2.3. 관할 경찰서
3. 의경 생활4. 매체에서의 등장5. 사건 사고

[clearfix]

1. 개요

광주광역시 일대를 관할하는 시·도경찰청. 치안감이 청장으로 보임된다.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산하 자치단체일 때는 전라남도경찰부가 광주 지역을 관할하였고, 광주가 직할시-광역시로 분리된 후에도 한동안 당시 전남지방경찰청이 계속해서 관할하였으며 전남청 청사도 계속 광주광역시에 있었다. 그러다가 2007년 광주지방경찰청이 신설되어 옛 전남도청에 있던 전남지방경찰청 자리에서 광주광역시 지역을 관할하게 되었고, 2011년 당시 전남지방경찰청은 서구 농성동 소재 옛 광주서부경찰서 청사를 사용하다 전라남도 무안군 삼향읍의 남악신도시로 청사를 신축 이전하였다. 광주지방경찰청도 광산구 소촌동에 청사를 신축 이전하였다. 옛 전남지방경찰청 청사 부지는 재개발 후 아파트 단지가 되었다.

2. 역대 청장

파일:대한민국경찰참수리.svg
광주광역시경찰청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치안감계급장.svg
<nopad> 참여정부 <nopad> 이명박 정부
초대
하옥현
제2대
최병민
제3대
김남성
제4대
이송범
제5대
양성철
<nopad> 이명박 정부 <nopad> 박근혜 정부
제6대
이금형
제7대
안재경
제8대
정순도
제9대
장전배
제10대
최종헌
<nopad> 박근혜 정부 <nopad> 문재인 정부
제11대
강인철
제12대
이기창
제13대
배용주
제14대
김규현
제15대
장하연
<nopad> 문재인 정부 <nopad> 윤석열 정부
제16대
최관호
제7대
김교태
제18대
김준철
제19대
임용환
제20대
한창훈
<nopad> 윤석열 정부
제21대
박성주
}}}}}}}}} ||

2.1. 본청

2.2. 직할대

2.3. 관할 경찰서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0054a6><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0054a6>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광주광산경찰서* 광주동부경찰서 광주서부경찰서 광주남부경찰서 광주북부경찰서
[[중심경찰서|
* 경무관 서장이 보임되는 중심경찰서
]]
}}}}}}}}}

3. 의경 생활

2022년 6월 29일 기준으로 광주 의무경찰은 역사속으로 사라졌다. 아래 후술된 내용은 그 이전 사실이다.

육군훈련소에서 4주 기초군사훈련을 수료한 후, 광산구 하남동에 있는 광주의무경찰교육센터에서 2주 혹은 3주 과정의 의무경찰 신임대원 교육을 받게 된다. 수료 후 컴퓨터 추첨으로 자대가 결정된다.

폐지 전 광주 지역에는 5개의 방범순찰대와 타격대, 기동8중대가 운영되고 있었다. 5개 경찰서에 방범순찰대와 타격대가 같이 생활하고 있었다.

방범순찰대는 해당 경찰서 내 경비교통과 혹은 경비과 소속 부서다.[6] 그렇기 때문에 경찰서 내에 생활관이 있다. 보통 한 개 층을 통째로 쓴다.

각 지역 경찰서의 방범순찰대는 관할 행정동을 순환 근무 형식으로 방범 순찰하거나, 출퇴근 RH와 음주단속에도 지원근무를 나간다. 한달에 한두번씩 검열대비 훈련을 한다.

보통 기동8중대는 광주 전역의 교통관리에 근무한다.[7]

광주광역시경찰청에서는 큰 상황근무는 별로 없다. 대부분 방범/교통과 같은 일상근무다. 하지만 타 지역에서 큰 상황이 발생하면 지원근무를 나간다. 예를 들면 큰 집회가 있거나 미국, 북한에서 주요인사가 방한/방남하여 VIP경호가 대규모로 필요할 때, 경상북도 성주군 사드배치 관련 반대 집회, 부산불꽃축제 등 다양하다.

전남지방경찰청 시절인 1990년대까지는 광주 권내에 있는 전남대학교, 조선대학교 등의 학생운동이 매우 활발해서 이에 대응하기 애를 먹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이에 대한 반대급부로 당시 전남의 의경중대들은 엄청난 진압능력을 갖췄다는 평을 듣곤 했다. 2000년대 중반까지 청카바를 착용했던 중대가 있었을 정도. 그러나 이제는 학생운동도 많이 수그러들어서 옛날 이야기가 되었다.

4. 매체에서의 등장

5. 사건 사고



[1] 2021년 7월 1일 [분리] 2007년 전남지방경찰청에서 광주경찰이 광주지방경찰청으로 분리. [3] 가칭. 2022년 추진 단계로, 첨단3지구 지역에 준공될 예정이다. 광산구의 첨단1지구, 첨단3지구, 비아 공단 지역, 북구의 첨단2지구, 건국동, 운암동, 동림동 등을 관할 할 예정이다. 이을 위한 2023년 예산 중 30억원이 21대 국회에서 반영되었다. 보도자료, 문서뷰어 [4] 광주경찰청 직할부대이며, 교통전담 중대이다. 광주에는 4개 기동대가 있는데 의경 기동대는 8중대가 유일하다. 타 중대와 다르게 일상에서는 방범근무다 없이 교통 업무를 주로 맡는다. [5] 경찰견을 관리하는 견핸들러 특기대원 선발자들만 배치된다. [6] 경찰서 과 아래 부서인 '계'와 같다. 방순대장도 계장과 같은 경감이다. [7] 2022년 상반기까지 유일하게 남아있던 광주 의경부대였다. 6.29 공식 해단식을 가지면서 해체되었고 남은 대원 18명은 희망하는 타시도 경찰청으로 전보발령되었다. [8] 둘 다 SNS로 인해 논란이 일어났다는 점, 집단 폭행 사건 당시 무력한 경찰권을 보여줬다는 점이 통한다. [9] 실제 판결에서는 전체 기간 3시간 중 단 4분만이 인정되어 일부 유죄로 징역 6개월,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는데 남성피의자는 이마저도 여자친구가 달려들어 몸싸움을 한 4분을 감금이라고 인정했다며 억울함을 토로했다. [10] 국가공무원법 제79조, 지방공무원법 제70조에 의거한 징계의 종류는 파면, 해임, 강등, 정직, 감봉, 견책 등 총 6종인데 그 중 가벼운 처분으로 훈계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