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ef4123>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자치구 | ||||
동구 |
남구 |
북구 |
광산구 |
}}}}}}}}} |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005263>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행정동 | 법정동 | ||||
<colbgcolor=#0079be> 양림동 | 양림동 | |||||
방림1, 2동 | 방림동 | |||||
사직동 | 구동 | 사동 | 서동 | |||
월산, 월산4, 월산5동 | 월산동 | |||||
백운1, 2동 | 백운동 | |||||
봉선1, 2동 |
구청
봉선동
|
|||||
주월2동 | {{{#!wiki style="margin: -16px -11px -5px;" |
백운동
|
월산동
|
}}} 주월동 | ||
주월1동 | ||||||
진월동 | 진월동 | |||||
효덕동 | 노대동 | 덕남동 | 행암동 | |||
송암동 | 송하동 | 임암동 | ||||
대촌동 | 구소동 | 대지동 | 도금동 | |||
석정동 | 승촌동 | 신장동 | ||||
압촌동 | 양과동 | 양촌동 | ||||
원산동 | 월성동 | 이장동 | ||||
지석동 | 칠석동 | 화장동 |
광주광역시의
자치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
남구
南區 Nam-gu |
}}} | |||
<colbgcolor=#005263><colcolor=#fff> 구청 소재지 | 봉선로 1 ( 봉선동) | |||||
광역자치단체 | 광주광역시 | |||||
하위 행정구역 | 17 동[1] | |||||
면적 | 60.96㎢ | |||||
인구 | 207,321명[2] | |||||
인구 밀도 | 3,400.94명/㎢[3] | |||||
구청장 |
|
김병내 (재선) | ||||
구의회 |
|
10석[4] | ||||
|
1석[5] | |||||
시의원 |
|
3석[6] | ||||
국회의원
|
<colbgcolor=#005263><colcolor=#fff> 갑 |
|
정진욱 |
|||
을 |
|
안도걸 |
||||
상징 | 구화 | 철쭉 | ||||
구목 | 은행나무 | |||||
구조 | 비둘기 | |||||
지역번호 | 062 | |||||
홈페이지 | ||||||
SNS | | | | | | |
[clearfix]
1. 개요
|
광주광역시 남구청 |
광주광역시의 5개의 자치구들 중에서 역사가 비교적 짧은 자치구다. 1995년 서구에서 분구했으며[9], 이로부터 한 달 후에는 광산구 대촌출장소를 편입했다.[10] 이름 그대로 광주광역시의 남쪽에 위치하며, 동쪽으로는 동구, 서북쪽으로는 서구와 맞닿아 있으며, 서쪽 끝 화장동, 양촌동, 승촌동 쪽으로는 광산구랑 맞닿아 있다. 북구와는 서구 양동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고 있는 형태이다. 아래쪽으로는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읍과 맞닿아 있어 나주시로 가는 관문 중 하나이며, 2000년대 들어 노대동 쪽에 칠구재터널도 뚫림으로서 화순군에 직빵으로 갈 수 있는 도로가 뚫렸다.
그러나 현재는 도시의 지속적인 확장으로 인해 도심이 옮겨지면서 동구와 함께 도심공동화를 겪는 자치구이다.
2. 상징
|
BI |
마스코트 재석이&금당이 |
3. 지역 특징
광주의 과거, 현재, 미래가 공존하는 자치구이다. 양림동에 광주수피아여자고등학교 일대[11]를 위시하여 광주의 근대화 유적이 자리잡은 곳이며 광주의 개신교 문화의 발상지이기도 하며 현재 광주서현교회나 양림교회 등이 그 역사를 보여준다.그 외 임진왜란 때 혁혁한 공로를 세우고 전사한 의병장 고경명 장군과 그 가족들의 충절을 기린 사당 포충사가 남구 원산동에 소재한다. 남구 월산동과 백운동 지역은 광주의 발전에 따라서 주거지역이 생성되어서 비교적 오래된 가옥들이 위치하며, 광주 내에서 동구와 함께 쇠락하고 있는 자치구이다. 이후 광주가 발전함에 따라 주월동, 진월동, 봉선동이 점차적으로 주택단지 개발이 되면서 발전해가고 있으며 2015년부터는 효천역 역세권에 효천지구가 개발되고 있다. 광주 도시철도 2호선이 건설된다면 이 지역을 통과할 가능성이 크다.
대체로 월산동과 백운동, 양림동 지역은 광주의 발전에 따라서 주거지역이 형성되어서 오래된 주거지역이 많은 편이며, 동구와 함께 도심 공동화를 겪고 있다. 이중에서 백운동 지역은 2010년대에 대규모 재개발이 되어 휴먼시아아파트들이 들어섰다.
나주로 가는 길목에 있는 주월동 주택단지, 진월동과 최근에 개발된 노대동, 고급주거지역으로 각광받는 봉선2지구 등에 걸쳐 형성된 주거지역은 인기있는 학군이 형성되어 있어 비교적 높은 가격에 주택거래가 이뤄진다. 특히 봉선2지구는 의사, 변호사 등 전문직들이 많이 살아 광주의 강남 또는 이를 합성해서 봉남이라고 부른다.[12] 학군 때문에 이 곳으로 이사하는 교육열이 높은 학부모는 통칭 봉남아줌마라고 불린다고 한다. 2015년 들어서는 효천역 역세권에 개발된 효천지구가 새로운 인기 주거지역으로 떠오르고 있다.
광주광역시의 특성화 사업 중 하나로 김치 중심도시를 강조하고 있는데, 광주김치타운이 남구 임암동에 소재한다. 또한 남구의 중점 사업 중의 하나인 노인 복지를 위한 노인건강타운(빛고을노인복지센터)과 전남대학교병원 노인병원(빛고을전남대병원)이 남구 노대동(진월지구)에 소재한다.
광주의 자치구 중에 유일하게 영화관이 없는 자치구이다.[13]
4. 인구
광주광역시 남구 인구 추이 (1995년~현재) |
1995년
3월 1일 광주광역시
서구 일부지역[14] → 광주광역시 남구 설치 1995년 4월 20일 광산구 대촌출장소 → 대촌동 전환 및 남구 편입 |
1995년 257,989명
|
2000년 231,501명
|
2005년 214,524명
|
2010년 216,863명
|
2015년 221,318명
|
2020년 214,579명
|
2024년 10월 207,307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
행정동별 인구 통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진월동 28,284명
|
봉선2동 27,710명
|
|
송암동 21,238명
|
|
주월1동 21,174명
|
|
효덕동 15,547명
|
|
봉선1동 12,840명
|
|
백운1동 11,688명
|
|
월산동 8,531명
|
|
대촌동 8,215명
|
|
방림2동 8,188명
|
|
월산4동 8,174명
|
|
주월2동 7,561명
|
|
방림1동 6,780명
|
|
백운2동 6,720명
|
|
양림동 6,627명
|
|
월산5동 5,972명
|
|
사직동 4,730명
|
|
2023년 11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
분구될 때만 해도 26만명 가까이 되는 인구를 보였으나, 도심공동화의 여파로 인구는 계속해서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효천지구 개발로 인구가 다시 늘어나나 했더만 감소세를 막지 못하고 있는 상태.
===# 행정동별 인구 #===
양림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57년 12월 1일 양림동(법정동) → 양림동(행정동) |
1966년 11,040명
|
1970년 14,999명
|
1975년 17,891명
|
1980년 13,841명
|
1985년 13,637명
|
1990년 13,565명
|
1995년 9,986명
|
2000년 7,480명
|
2005년 5,288명
|
2010년 9,721명
|
2015년 8,714명
|
2020년 7,325명
|
2023년 11월 6,627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
방림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14,785명
|
1970년 7월 1일 방림동 → 방림1동 , 방림2동 분동 |
1970년 8,971명
|
1975년 10,747명
|
1980년 10,780명
|
1985년 11,098명
|
1990년 11,482명
|
1995년 8,266명
|
2000년 5,953명
|
2005년 6,947명
|
2010년 8,655명
|
2015년 8,077명
|
2020년 7,031명
|
2023년 11월 6,780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
방림2동 인구 추이 (1970년~현재) |
1970년 7월 1일 방림동 → 방림1동, 방림2동 분동 |
1970년 11,063명
|
1973년 7월 1일 법정동 봉선동 → 방림2동 편입 |
1975년 13,654명
|
1980년 20,186명
|
1985년 23,147명
|
1990년 1월 1일 방림2동 → 방림2동, 봉선동 분동 |
1990년 28,572명
|
1995년 24,198명
|
2000년 19,896명
|
2005년 14,077명
|
2010년 12,161명
|
2015년 10,835명
|
2020년 9,156명
|
2023년 11월 8,188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
봉선1동 인구 추이 (1990년~현재) |
1990년 1월 1일 방림2동 → 방림2동, 봉선동 분동 |
1990년 25,950명
|
1995년 3월 1일 봉선동 → 봉선1동, 봉선2동 분동 |
1995년 17,298명
|
2000년 15,161명
|
2005년 19,754명
|
2010년 17,121명
|
2015년 17,163명
|
2020년 14,041명
|
2023년 11월 12,840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
봉선2동 인구 추이 ( 1995년~현재) |
1995년 3월 1일 봉선동 → 봉선1동, 봉선2동 분동 |
1995년 22,739명
|
2000년 22,461명
|
2005년 26,599명
|
2010년 28,731명
|
2015년 29,680명
|
2020년 29,218명
|
2023년 11월 27,710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
사직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18,295명(사구동 6,620명 + 서동 11,675명)
|
1970년 7월 1일 서동 → 서1동, 서2동 분동 |
1970년 20,562명(사구동 6,430명 + 서1동 6,044명 + 서2동 8,088명)
|
1975년 22,267명(사구동 6,573명 + 서1동 6,760명 + 서2동 8,934명)
|
1980년 19,973명(사구동 5,694명 + 서1동 6,488명 + 서2동 7,791명)
|
1985년 19,269명(사구동 5,642명 + 서1동 5,945명 + 서2동 7,682명)
|
1990년 17,495명(사구동 5,423명 + 서1동 5,101명 + 서2동 6,971명)
|
1995년 12,500명(사구동 3,739명 + 서1동 4,053명 + 서2동 4,708명)
|
1998년 10월 1일 사구동 + 서1동 + 서2동 → 사직동 합동 |
2000년 8,938명
|
2005년 7,221명
|
2010년 6,316명
|
2015년 5,415명
|
2020년 5,418명
|
2023년 11월 4,730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
월산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24,288명
|
1970년 7월 1일 월산동 → 월산1동, 월산2동, 월산3동 분동 |
1970년 31,943명(월산1동 9,925명 +월산2동 15,231명 + 월산3동 6,787명)
|
1975년 38,886명(월산1동 11,502명 +월산2동 19,248명 + 월산3동 8,136명)
|
1979년 5월 1일 월산2동 → 월산2동, 월산4동 분동 |
1980년 34,729명(월산1동 10,654명 +월산2동 16,166명 + 월산3동 7,909명)
|
1985년 36,497명(월산1동 11,433명 +월산2동 16,695명 + 월산3동 8,369명)
|
1990년 33,984명(월산1동 10,278명 +월산2동 15,954명 + 월산3동 7,752명)
|
1995년 21,416명(월산1동 6,083명 +월산2동 8,998명 + 월산3동 6,335명)
|
2000년 7월 1일 월산1동 + 월산2동 + 월산3동 → 월산동 합동 |
2000년 15,390명
|
2005년 12,488명
|
2010년 10,772명
|
2015년 9,978명
|
2020년 7,488명
|
2023년 11월 8,531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
월산4동 인구 추이 (1980년~현재) |
1979년 5월 1일 월산2동 → 월산2동, 월산4동 분동 |
1980년 16,283명
|
1985년 31,968명
|
1985년 11월 1일 월산4동 → 월산4동, 월산5동 분동 |
1990년 23,602명
|
1995년 19,157명
|
2000년 14,750명
|
2005년 12,525명
|
2010년 11,370명
|
2015년 10,365명
|
2020년 8,850명
|
2023년 11월 8,174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5만 명 |
월산5동 인구 추이 (1990년~현재) |
1985년 11월 1일 월산4동 → 월산4동, 월산5동 분동 |
1990년 16,275명
|
1995년 14,486명
|
2000년 11,160명
|
2005년 9,496명
|
2010년 8,396명
|
2015년 7,743명
|
2020년 6,555명
|
2023년 11월 5,972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
백운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8,551명
|
1970년 13,204명
|
1975년 18,166명
|
1980년 27,074명
|
1985년 33,472명
|
1985년 11월 1일 백운1동 → 백운1동, 백운2동 분동 |
1990년 15,335명
|
1995년 13,747명
|
2000년 12,726명
|
2005년 11,697명
|
2010년 8,559명
|
2015년 14,131명
|
2020년 12,532명
|
2023년 11월 11,688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
백운2동 인구 추이 (1990년~현재) |
1985년 11월 1일 백운동 → 백운1동, 백운2동 분동 |
1990년 16,360명
|
1995년 11,437명
|
2000년 8,868명
|
2005년 7,256명
|
2010년 6,297명
|
2015년 5,274명
|
2020년 6,345명
|
2023년 11월 6,720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
주월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3,461명(봉주동)
|
1970년 4,342명(봉주동)
|
1973년 7월 1일 봉주동 → 주월동 개편[15] |
1975년 5,884명
|
1980년 19,521명
|
1985년 38,258명
|
1985년 11월 1일 주월동 → 주월1동, 주월2동 분동 |
1990년 35,333명
|
1995년 33,261명
|
2000년 29,399명
|
2005년 21,517명
|
2010년 20,192명
|
2015년 20,915명
|
2020년 19,554명
|
2023년 11월 21,174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
주월2동 인구 추이 (1990년~현재) |
1985년 11월 1일 주월동 → 주월1동, 주월2동 분돌 |
1990년 14,409명
|
1995년 15,461명
|
2000년 13,324명
|
2005년 12,380명
|
2010년 10,878명
|
2015년 9,885명
|
2020년 8,368명
|
2023년 11월 7,561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
진월동 인구 추이 (2021년~현재) |
2021년 7월 26일 효덕동 → 진월동, 효덕동 분동 |
2021년 7월 29,448명
|
2021년 10월 29,403명
|
2022년 1월 29,374명
|
2022년 4월 29,034명
|
2022년 7월 28,821명
|
2022년 10월 28,617명
|
2023년 1월 28,504명
|
2023년 4월 28,362명
|
2023년 7월 28,291명
|
2023년 10월 28,225명
|
2023년 11월 28,284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
효덕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57년 12월 1일 노대동 + 진월동 + 덕남동 + 행암동 → 효덕동 신설 |
1966년 3,013명
|
1970년 2,837명
|
1975년 3,073명
|
1980년 3,824명
|
1985년 7,409명
|
1990년 14,601명
|
1995년 19,395명
|
2000년 29,605명
|
2005년 35,179명
|
2010년 44,666명
|
2015년 48,541명
|
2020년 46,125명
|
2021년 7월 26일 효덕동 → 진월동, 효덕동 분동 |
2023년 11월 15,547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만 명 |
송암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57년 12월 1일 송하동 + 임암동 → 송암동 신설 |
1966년 2,666명
|
1970년 2,809명
|
1975년 3,158명
|
1980년 3,365명
|
1985년 5,054명
|
1990년 5,385명
|
1995년 3,813명
|
2000년 7,741명
|
2005년 6,899명
|
2010년 6,489명
|
2015년 8,508명
|
2020년 20,347명
|
2023년 11월 21,238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
대촌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16,015명
|
1970년 14,569명
|
1975년 14,142명
|
1980년 12,392명
|
1985년 11,072명
|
1988년 1월 1일 광산군 대촌면 → 광주직할시 광산구 대촌출장소 전환 |
1990년 9,218명
|
1995년
4월 20일 광산구 대촌출장소 → 남구 이관 대촌출장소 → 대촌동 전환 |
1995년 8,046명
|
2000년 6,639명
|
2005년 5,209명
|
2010년 6,539명
|
2015년 6,094명
|
2020년 6,216명
|
2023년 11월 8,215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
구가 처음 설치될 때가 인구의 정점으로, 이후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아무래도 남구의 주요 인구 밀집지역인 봉선동, 주월동 등의 개발이 완료가 되었기 때문. 대촌동 에너지밸리 산단 조성이 원활하게 진행되면 인구가 늘 것으로 보인다.
5. 교통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5263><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5263> | }}} |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colbgcolor=#005263> 2 | <colbgcolor=#ffffff,#191919> 2순환로 | |
ㄱ | 경열로 · 고싸움로 · 구성로 · 군분로 · 금당로 · 금화로 · 김치로 | ||
ㄴ | 노대실로 | ||
ㄷ | 독립로 | ||
ㅂ | 방림로 · 백서로 · 백양로 · 백운로 · 봉선1로 · 봉선2로 · 봉선중앙로 · 빛가람장성로 | ||
ㅅ | 산남로 · 서동로 · 송암로 · 수박등로 | ||
ㅇ | 양림로 · 영산로 · 오방로 · 용대로 · 월산로 | ||
ㅈ | 정율성로 · 제석로 · 제중로 · 주월로 · 중앙로 · 진다리로 | ||
ㅊ | 천변좌로 | ||
ㅍ | 포충로 | ||
ㅎ | 화산로 · 회서로 · 회재로 · 효덕로 · 효우1로 · 효우2로 · 효우로 · 효천1로 · 효천2로 · 효천3로 · 효천로 · 효천중앙로 | ||
광주광역시의 도로 틀 둘러보기 | }}}}}}}}} |
광주에서 나주 방면으로 이어지는 교통의 요지로 진월동 남부시외버스정류소는 나주시 이남으로 가는 직행 시외버스가 경유하는데, 직통 버스들이 늘어나면서 진월동의 비중이 많이 줄었다. 철도역으로는 경전선 효천역이 있다. 경전선 이전으로 남광주역이 폐역되어 이곳의 수요가 많이 늘어난 상황. 최근에는 효천역 주변으로 역세권 주택단지 개발이 한창이다.
시내교통으로는 광주광역시 내부지역을 순환하는 대남대로[16](통칭 외곽도로 또는 제1순환로)가 방림동, 백운동, 월산동을, 광주광역시 외곽지역을 한바퀴 순환하는 광주제2순환도로가 봉선동, 진월동, 송암동을 통과하고 있어 역시 교통의 요지다. 특히 맨 위에 나온 신 남구청사가 있는 백운동 로터리는 남구지역 시내버스 노선들의 결절점 역할을 하고 있다.
지하철역은 없으나 광주 도시철도 1호선 돌고개역 출구 절반이 월산동과 서구 농성동의 경계쪽으로 나있다. 광주 도시철도 2호선이 개통되고 나면 그간 지하철 사각지대였던 남구의 중심(백운광장, 월산동 남부, 주월동, 방림동, 양림동)을 지나가게 되어, 대중교통체제가 크게 편리하게 바뀔 것으로 예상된다. 광주 2호선의 혜택을 가장 크게 받을 지역이다.
종합적으로, 광주의 5개 자치구 중에서 교통이 가장 좋지 않다.
6. 금융
광주 남구에 위치한 금융기관 [괄호] | |||
제1금융권 [괄호] | |||
국가기관 | |||
광주우체국 (7) | |||
국책은행 | |||
중소기업은행 (1) | |||
특수은행 | |||
농협은행(중앙회) (4) | |||
시중은행 | |||
신한은행 (1) | 우리은행 (2) | ||
하나은행 (1) | 국민은행 (3) | ||
지방은행 | |||
광주은행 (9) | |||
제2금융권(상호금융) [괄호] | |||
농업협동조합 | |||
대촌농협 (3) | 남광주농협 (10) | 광주축협 (1) | 전남낙농농협 (1) |
수산업협동조합 | |||
완도금일수협 (1) | |||
새마을금고 | |||
송원새마을금고 | 푸른새마을금고 | 서양새마을금고 | 주월새마을금고 |
유은학원새마을금고 | 광남새마을금고 | 월산새마을금고 | 무진새마을금고 |
신용협동조합 | |||
광주YWCA신용협동조합 | 남광주신용협동조합 | 방림신용협동조합 | 광주신우신용협동조합 |
광주약사신용협동조합 | 샘신용협동조합 | 광주웨슬리신용협동조합 | |
상호저축은행(상호금고) | |||
삼호저축은행 (1) |
7. 교육
광주광역시 남구의 초등학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광주농성초등학교 | 광주대성초등학교 | 광주방림초등학교 | 광주백운초등학교 |
광주봉주초등학교 | 광주삼육초등학교 | 광주송원초등학교 | 광주월산초등학교 | |
광주제석초등학교 | 광주학강초등학교 | 광주효덕초등학교 | 대촌중앙초등학교 | |
무학초등학교 | 봉선초등학교 | 불로초등학교 | 빛여울초등학교 | |
유안초등학교 | 장산초등학교 | 조봉초등학교 | 진남초등학교 | |
진월초등학교 | 진제초등학교 | 효천초등학교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광주광역시 남구의 중학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
||||
광주동성여자중학교 | 광주동성중학교 | 광주무진중학교 | 광주서광중학교 | ||
광주송원중학교 | 광주수피아여자중학교 | 금당중학교 | 대성여자중학교 | ||
대촌중학교 | 동아여자중학교 | 문성중학교 | 봉선중학교 | ||
숭의중학교 | 주월중학교 | 진남중학교 | 효천중학교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광주광역시 남구의 고등학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
||||
광주동성고등학교 | 광주석산고등학교 | 광주수피아여자고등학교 | |||
◈ 광주여자상업고등학교 | 광주인성고등학교 | 대광여자고등학교 | |||
대성여자고등학교 | 동아여자고등학교 | ◈ 동일미래과학고등학교 | |||
문성고등학교 | ◈ 서진여자고등학교 | 설월여자고등학교 | |||
송원고등학교 | 송원여자고등학교 | ◈ 송원여자상업고등학교 | |||
◈ 숭의과학기술고등학교 | 호남삼육고등학교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사립학교법인이 많아서 남구 지역의 인기가 높은데 일조를 한다.[20] 특히 대부분의 사립학교들이 기숙사를 운영한다. 타 지역 사람들이 이 얘기 들으면 놀라는 경우도 있다. 인서울 대학 입학률이 높은 편이다.
고등교육기관은 진월동에 위치한 광주대학교와 2012년 4년제로 전환된 송원대학교가 있다.
8. 의료기관
의료기관으로는 광주광역시에서 세번째로 큰 광주기독병원(583병상)이 있으며, 그 뒤를 잇는 종합병원으로 동아병원(276병상), 빛고을전남대학교병원(208병상), 광주씨티병원(175병상)이 있다. 동신대학교광주한방병원, 원광대학교 광주한방병원도 있다. 마륵동에 서남대학교 의과대학의 수련병원인 남광병원이 있었으나 대학과 함께 병원도 망했다. 해당 부지는 철거되어 현재 아파트단지로 조성 중이다.9. 정치
자세한 내용은 남구(광주광역시)/정치 문서 참고하십시오.10. 하위 행정구역
남구 행정구역 변천사 | |||||||||||||||||||
전라남도 광주시 (全羅南道 光州市, 1949) |
→ |
광주시 (光州市, 1955) |
→ |
광주시 (光州市, 1957) |
→ |
광주시 (光州市, 1963) |
→ |
광주시 서구 (光州市 西區, 1973)[21] |
→ |
광주직할시 서구 (光州直割市 西區, 1986) |
→ |
광주광역시 남구 (光州廣域市 南區, 1995) |
|||||||
광산군 효지면 (光山郡 孝池面, 1935) |
|||||||||||||||||||
광산군 대촌면 (光山郡 大村面, 1935) |
광산군 대촌면 (光山郡 大村面, 1963) |
→ |
광주직할시 광산구 (光州直割市 光山區, 1988) |
자세한 내용은 남구(광주광역시)/행정 문서 참고하십시오.
11. 기타
남구청사가 백화점같고 매우 거대하다. 실제로 과거 화니백화점이 이 자리에 '화니백화점 주월점'을 개점하려고 지은 건물로 1997년 부도 이후 폐건물 상태로 오래 있었다. 중간에 어느 업체에서 이 건물에 쇼핑몰을 세우려고 했다가 역시 중단된 사례도 있었다. 이 때문에 규모가 제법 크다.남구청과 남구의회, 남구보건소가 입주하고도 자리가 남아서 남은 공간은 원래 용도대로 패션아울렛, 가구아울렛, 개인의원 등이 입주하고 있다.
12. 자매우호도시
12.1. 자매도시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 부산광역시 강서구
- 대구광역시 남구
- 경기도 안산시
- 전라남도 곡성군
- 전라남도 완도군
- 전라남도 영광군
- 전라남도 진도군
- 전라남도 보성군
-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12.2. 우호도시
13. 출신 인물
- 김원중 - 야구인. 현 롯데 자이언츠 야구 선수.
- 나고은 - 가수. 걸그룹 퍼플키스의 멤버.
- 나성범 - 야구인. 현 KIA 타이거즈 야구 선수.
- 문정원 - 배구선수. 송원여상에서 목포여상으로 전학가기 전까지 남구 학교를 다녔다.
- 박신혜 - 배우.
- 서우빈 - 가수. 보이그룹 CRAVITY의 멤버.
- 양소영 - 전 더불어민주당 전국대학생위원장.
- 양현종 - 야구인. 현 KIA 타이거즈, 전 텍사스 레인저스 선수. 초중고교 전부 남구 학교를 다녔다.
- 이수정 - 가수. 걸그룹 러블리즈의 멤버.
- 이용수 - 가수. 보이그룹 OnlyOneOf의 멤버.
- 이의리 - 야구인. 현 KIA 타이거즈 야구 선수.
- 이정후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야구 선수.
- 임창민 - 야구인. 현 키움 히어로즈 야구 선수.
- 임창용 - 야구인. 전 KIA 타이거즈 야구 선수.
- 조광일 - 래퍼. 쇼미더머니10 우승자.
- 최성 - 정치인. 제17대 국회의원, 민선 5·6기 고양시장.
- 홍진영 - 가수. 한끼줍쇼에서 봉선동에서 태어났다고 언급했다. 다만 본적지는 나주시 봉황면.
[1]
30개
법정동, 17개
행정동.
[2]
2024년 11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3]
2024년 11월 기준.
[4]
남구 가선거구 (봉선1동, 월산동, 월산4동, 월산5동, 주월1동, 주월2동): 김경묵, 남호현
남구 나선거구 (봉선2동, 진월동, 효덕동, 송암동, 대촌동): 신종혁, 정창수, 황경아
남구 다선거구 (양림동, 방림1동, 방림2동, 사직동, 백운1동, 백운2동): 박상길, 박용화, 오영순
남구 비례대표: 노소영, 은봉희 [5] 남구 가선거구 (봉선1동, 월산동, 월산4동, 월산5동, 주월1동, 주월2동): 김광수 [6] 남구 제1선거구 (봉선1동, 월산동, 월산4동, 월산5동, 주월1동, 주월2동): 서임석 (초선)
남구 제2선거구 (봉선2동, 진월동, 효덕동, 송암동, 대촌동): 임미란 (재선)
남구 제3선거구 (양림동, 방림1동, 방림2동, 사직동, 백운1동, 백운2동): 박희율 (초선) [7] 봉선1동, 봉선2동, 월산동, 월산4동, 월산5동, 주월1동, 주월2동, 진월동, 효덕동, 송암동, 대촌동. [8] 양림동, 방림1동, 방림2동, 사직동, 백운1동, 백운2동. [9] 서구 시절에도 이 지역은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때부터 소선거구제가 실시되면서 서구 을로 획정되었다. [10] 대촌출장소는 같은 시기에 서구로 편입된 서창출장소와 함께 1957년부터 1963년까지 잠시 광산군에서 광주시로 편입되었다가 환원된 적이 있다. [11] 구한말에서 일제강점기까지 광주에서 활동하던 미국 선교사들의 미국 양식 집과 무덤들이 남아있다. [12] 재미있게도 보수정당 지지성향이 서울에서 가장 높은 강남처럼 봉남지역도 역대 대선에서 보수정당 지지율이 광주에서 가장 높다. 물론 이는 광주에서 가장 큰 개신교 교회가 이곳에 위치한 탓으로 보기도 한다. [13] 동구에는 4곳, 서구는 3곳, 북구는 2곳, 광산구는 4곳이 있다. 남구에서 그나마 가까운 영화관은 동구에 있다. [14] 양림동, 방림1동, 방림2동, 봉선동, 사구동, 서1동, 서2동, 월산1동, 월산2동, 월산3동, 월산4동, 월산5동, 백운1동, 백운2동, 주월1동, 주월2동, 효덕동, 송암동 [15] 법정동 봉선동이 방림2동으로 이관 [16] 대남이란 이름은 광주광역시와 자매결연한 대만 타이난시에서 따온 것.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20] 반대로 공립고는 광주에서 유일하게 단 한 곳도 없다. 특목고인 과학고가 있었으나 첨단으로 이전했다. [21] 단, 양림동과 방림동은 동구 관할이었다가 1980년에 서구로 편입.
남구 나선거구 (봉선2동, 진월동, 효덕동, 송암동, 대촌동): 신종혁, 정창수, 황경아
남구 다선거구 (양림동, 방림1동, 방림2동, 사직동, 백운1동, 백운2동): 박상길, 박용화, 오영순
남구 비례대표: 노소영, 은봉희 [5] 남구 가선거구 (봉선1동, 월산동, 월산4동, 월산5동, 주월1동, 주월2동): 김광수 [6] 남구 제1선거구 (봉선1동, 월산동, 월산4동, 월산5동, 주월1동, 주월2동): 서임석 (초선)
남구 제2선거구 (봉선2동, 진월동, 효덕동, 송암동, 대촌동): 임미란 (재선)
남구 제3선거구 (양림동, 방림1동, 방림2동, 사직동, 백운1동, 백운2동): 박희율 (초선) [7] 봉선1동, 봉선2동, 월산동, 월산4동, 월산5동, 주월1동, 주월2동, 진월동, 효덕동, 송암동, 대촌동. [8] 양림동, 방림1동, 방림2동, 사직동, 백운1동, 백운2동. [9] 서구 시절에도 이 지역은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때부터 소선거구제가 실시되면서 서구 을로 획정되었다. [10] 대촌출장소는 같은 시기에 서구로 편입된 서창출장소와 함께 1957년부터 1963년까지 잠시 광산군에서 광주시로 편입되었다가 환원된 적이 있다. [11] 구한말에서 일제강점기까지 광주에서 활동하던 미국 선교사들의 미국 양식 집과 무덤들이 남아있다. [12] 재미있게도 보수정당 지지성향이 서울에서 가장 높은 강남처럼 봉남지역도 역대 대선에서 보수정당 지지율이 광주에서 가장 높다. 물론 이는 광주에서 가장 큰 개신교 교회가 이곳에 위치한 탓으로 보기도 한다. [13] 동구에는 4곳, 서구는 3곳, 북구는 2곳, 광산구는 4곳이 있다. 남구에서 그나마 가까운 영화관은 동구에 있다. [14] 양림동, 방림1동, 방림2동, 봉선동, 사구동, 서1동, 서2동, 월산1동, 월산2동, 월산3동, 월산4동, 월산5동, 백운1동, 백운2동, 주월1동, 주월2동, 효덕동, 송암동 [15] 법정동 봉선동이 방림2동으로 이관 [16] 대남이란 이름은 광주광역시와 자매결연한 대만 타이난시에서 따온 것.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20] 반대로 공립고는 광주에서 유일하게 단 한 곳도 없다. 특목고인 과학고가 있었으나 첨단으로 이전했다. [21] 단, 양림동과 방림동은 동구 관할이었다가 1980년에 서구로 편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