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2-08-23 18:45:05

고복수(탐라국)

파일:hangukeojok_jeju_little.png
탐라 군주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e3f36, #8d473d 20%, #8d473d 80%, #7e3f36); color: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신화
시대
신화상 족보상
<rowcolor=#8d473d> 첫째 둘째 셋째 초대
양을나 고을나 부을나 고을나왕
삼국
시대
족보상 (~6세기)
<rowcolor=#8d473d> 제15대 제26대 제27대 제30대
고후 담왕 지운왕 담왕
문헌상 기록 (7세기)
<rowcolor=#8d473d> 제?대 제?대 제?대
도동음률 유리도라 고여
족보상 (9~10세기)
<rowcolor=#8d473d> 제43대 제44대 제45대
경직왕 민왕 자견왕
기타 고후 | 고청 | 고계
담왕 | 도동음률
고려
시대
고자견 | 고말로 | 주물 | 고오노 | 가리 | 고일 | 두량 | 가야잉 | 가어내 | 가양잉 | 고복령 | 의인 | 구대 | 양호 | 고인조 | 고인단 | 고수좌 | 고복수 | 고순량 | 고순원 | 고실개 | 고신걸 | 고봉례
두라 | 양구미 | 호잉 | 수운나 | 문창우 | 문창유 | 문충걸 | 문충보 | 문충세
조선
시대
좌도지관
고봉례 | 고상온 | 고충원
우도지관
문충세
* 신라에 세 형제가 내조하여 각각 받은 칭호. 시기 불명. 고려사상 확인됨.
** 백제 문주왕에게 담왕이 받은 칭호로 족보상 기록됨, 후대 도동음률(명칭에 이설 있음)은 삼국사기상 좌평으로 확인됨.
}}}}}}}}}}}}


1. 개요2. 행적


高福壽
(? ~ ?)

1. 개요

공민왕 시기의 탐라 성주다.

2. 행적

고복수가 성주로서 남긴 가장 큰 행적은 몽골인 목호들과 함께 고려에 대항하는 반란을 일으킨 것이다.

50여년 전 성주 고인단 원나라에 청해 탐라국은 다시 고려에 예속됐다. 그러나 제주도 현지에서 말을 키우던 몽골인 목호들은 키운 말을 모국에 바치기를 그만두지 않았다. 목호들은 원나라를 배격하고 명나라를 따르게 된 공민왕을 달가워하지 않았을 것인데[1], 마침 제주도의 유력 토호인 고복수가 이들과 손을 잡았다.

공민왕 11년(1362) 8월 24일 고복수는 목호 초고독불화(肖古禿不花), 석질리필사(石迭里必思)와 함께 고려에 배반하는 반란을 일으켰다. 고복수 등은 원나라에 예속되기를 요청함과 동시에 새 만호 임명을 부탁했다. 10월 22일 부추 문아단부카가 탐라만호로 새로 임명됐으며 반란 세력은 기존 제주만호 박도손(朴道孫)을 살해했다. 고복수가 세운 새 탐라만호 체제는 공민왕 12년(1363) 6월 만호 문아단부카가 고려에 동생 문인부를 사절로 보낼 때까지도 유지됐다. 『 신증동국여지승람』과 『 선조실록』에 따르면 고려에서 임명한 제주목사 성준덕이 반란군을 진압하며 끝을 맺는다. 『 고려사』에 따르면 성준덕이 목사에 오른 것은 문인부의 내방 6개월 뒤인 12월 5일의 일이다.

성주 고복수는 이후 기록에서 나오지 않지만 초고독불화와 석질리필사 두 목호는 여전히 남아있었다. 이 둘은 원수 최영 목호의 난을 진압할 때 죽임을 당한다. 『 동문선』의 「성주고씨가전」에서 주요한 역대 성주의 이름과 행적이 나열되는데, 고복수의 일은 부끄러운 역사라도 되는지 별도로 언급되지 않았다.


[1] 목호들은 이후에도 자기들이 키운 말이 조국의 적국인 명나라에 간다는 것을 달가워하지 않았으며 말을 조공하기를 거부했다. 1374년 고려 조정에서 목호의 난을 진압하게 된 배경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