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e3f36, #8d473d 20%, #8d473d 80%, #7e3f36); color: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신화 시대 |
신화상 | 족보상 | |||
<rowcolor=#8d473d> 첫째 | 둘째 | 셋째 | 초대 | |||
양을나 | 고을나 | 부을나 | 고을나왕 | |||
삼국 시대 |
왕 | 족보상 (~6세기) | ||||
<rowcolor=#8d473d> 제15대 | 제26대 | 제27대 | 제30대 | |||
고후 | 담왕 | 지운왕 | 담왕 | |||
문헌상 기록 (7세기) | ||||||
<rowcolor=#8d473d> 제?대 | 제?대 | 제?대 | ||||
도동음률 | 유리도라 | 고여 | ||||
족보상 (9~10세기) | ||||||
<rowcolor=#8d473d> 제43대 | 제44대 | 제45대 | ||||
경직왕 | 민왕 | 자견왕 | ||||
기타 | 고후 | 고청 | 고계 | |||||
담왕 | 도동음률 | ||||||
고려 시대 |
고자견 | 고말로 | 주물 | 고오노 | 가리 | 고일 | 두량 | 가야잉 | 가어내 | 가양잉 | 고복령 | 의인 | 구대 | 양호 | 고인조 | 고인단 | 고수좌 | 고복수 | 고순량 | 고순원 | 고실개 | 고신걸 | 고봉례 | |||||
두라 | 양구미 | 호잉 | 수운나 | 문창우 | 문창유 | 문충걸 | 문충보 | 문충세 | ||||||
조선 시대 |
좌도지관
고봉례 | 고상온 | 고충원
|
|||||
우도지관 문충세
|
||||||
* 신라에 세 형제가 내조하여 각각 받은 칭호. 시기 불명. 고려사상 확인됨. ** 백제 문주왕에게 담왕이 받은 칭호로 족보상 기록됨, 후대 도동음률(명칭에 이설 있음)은 삼국사기상 좌평으로 확인됨. |
||||||
}}}}}}}}}}}} |
高厚
(? ~ ?)
1. 개요
탐라국의 인물. 신라에 입조한 탐라국 최초의 성주(星主)다.2. 생애
고후는 탐라국의 신화적인 군주 고을나의 15대손이다. 동생이 둘 있는데 하나는 고청(高靑)이고, 막내동생(季)의 이름은 알려지지 않았다.[1]제주 고씨 족보에 따르면 탐라국의 왕을 지냈는데 그 재위 기간은 BC 58년 ~ BC 7년으로 나와 있다.
고후는 두 형제와 배를 만들어 타고 탐진(耽津)을 거쳐 서라벌에 이르러 신라 조정에 입조한다. 문무왕은 고후 형제가 먼 곳에서 와 입조한 것을 가상하게 여겨 각각 특별한 이름을 하사한다. 고후는 거동이 별과 같은 모습이라고 해서 성주(星主)라고 불리게 된다. 고후 등은 탐라라는 읍호(邑號)를 받고 보개(寶盖)·의대(衣帶)를 하사받은 뒤 탐라로 돌아간다.
각종 백과사전에는 이 시기가 신라 문무왕 시기인 662년으로 나와있는데, 막상 동국통감 원문이나 고려사 원문 상으로는 문무왕때 내조한 것은 도동음률로 나와있으며, 고후가 내조한 때는 그보다 더 이전으로 명확한 시기는 알 수 없는 것으로 나온다. 추가적인 확인이 필요해보인다.
사후에는 조선 시대에 제주 고씨 후손들이 삼을나에 제사를 지내는 사당을 만들며 고후와 형제들의 신위를 배향한다.[2] 영조 때 유생 고한준(高漢俊)이 사액 사당으로 높여줄 것을 상소했는데 왕의 각하로 이뤄지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