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 |||
甘 | 呑 | 苦 | 吐 |
달 감 | 삼킬 탄 | 쓸 고 | 토할 토 |
1. 개요
겉 뜻은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 속 뜻은 옳고 그름을 자신의 기준으로만 판단하며 설령 그것이 거짓임을 안다 해도 자신의 입맛에 맞을 때 받아들이고 맞지 않을 때는 진실임을 알아도 받아들이지 않는다는 것이다.이 말의 뜻을 글자 그대로 받아들이면 맞는 말이 된다. 단맛, 쓴맛 문서 참고. 보통 단 것(꿀이라든지)은 동물이 먹기(먹고 소화되지 않는 씨앗은 멀리 퍼뜨림) 좋으라고 만들어 놓은 식물의 유인책 내지는 그 식물이 영양을 저장하는 부분(고구마의 뿌리라든지) 자체다. 당이니까 단맛이 나고 영양이 풍부한 것은 당연하다. 반대로 쓴 것은 대체로 먹지 말라고 동물을 내쫓는 수단(독)이다. 달콤한 독도 없는 것은 아니고 단맛을 아예 못 느끼는 동물도 있지만 대체로 이렇게 되니 동물이라면 당연히 단 것은 일단 먹어도 될 가능성이 큰 것, 쓴 것은 먹으면 위험한 것으로 인식한다.[1]
사실 이 사자성어가 부정적인 의미로 쓰이는 것은 비유적인 의미이기 때문이다. 주로 사리사욕을 위해 친하게 지내던 사람도 자기가 불리해지면 버리는 사람을 비판할 때 사용한다. 이와 비슷한 의미를 가진 사자성어로 ' 토사구팽'이 있다.
2. 출전
다산 정약용의 속담집 이담속찬(耳談續纂)
昔
以甘
茹
今
乃苦吐.(석이감여 금내고토) 言 人 情 巧 於 自 利 也.(언인정교 어자리야) 이전에는 달게 먹던 것도 지금은 쓰다고 뱉는다. 사람은 이익에 따라 교묘히 바뀐다. |
3. 예시
대개 이권이 얽힌 편향 문제이다. ' 맞을 짓', ' 의지드립' 등과 유관하기도 하다.- 내가 어려울 때는 남들이 무시하고 배척하지만 얻어먹을 건덕지가 알려지면 갑자기 친한 척하며 들러붙는다. 바꿔 말하면 내가 어려울 때에도 그렇지 않은 사람들이 진정한 혈육이나 친구다.
- 갑자기 돈 생기니 사람들이 몰려든다.
- 평소에 절대악으로 여기면서 얻어갈 게 알려지면 필요악으로 여긴다.
- 이와 비슷하게 올챙이들이 출세를 위하여 '개구리'라는 기득권에 오른 자에게 들러붙어 무임승차하려는 이기주의적 행태를 보일 수도 있는데, 이는 개구리들에게 반발을 부르곤 한다. 또 다른 관련 표현으로 ' 호의가 계속되면은, 그게 권리인 줄 알아요.'가 있다.
- 속담 중에 '대감 죽은 데는 안 가도 대감 말 죽은 데는 간다'는 속담이 있다.
- 은행장 부모가 죽으면 조문객이 운동장을 메우지만, 은행장이 죽으면 조문객이 적게 온다.
-
나는 똑같은 사람인데 부귀해지자 친척이 나를 경외하고 가난할 때는 나를 경시하니, 하물며 다른 사람들은 오죽하겠는가! 만약 내가 낙양 근교의 좋은 밭 두 이랑만이라도 있었다면 설마 6국 재상의 인수를 찰 수 있었을까?
-
국수주의
일부 감정이입, 대리만족, 집단 이기주의와도 겹쳐 있다. - 한국계 외국인이나 외국계 한국인이 좋은 성과를 올리면 " 역시 한국이다."라면서 극찬하지만 한국계 외국인이나 외국계 한국인이 문제를 일으키면 외국인으로 취급하는 경향이 있다.[2]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1922년 4월 6일, 소르본 대학에 보낸 편지에서. - 비슷하게 올림픽이나 월드컵에서 자기 나라 팀의 선수가 좋은 성과를 올리면 미친듯이 열광하지만 반대로 고전하면 ' 자동문', ' 방화범', 심지어 '배신자', '반역자' 같은 비하어로 까내리기도 한다.
- 꼭 국수주의까지는 아니어도 자기네 진영의 어떤 사람이 이득을 보면 ' 우리가 남이가', '우리는 하나' 식으로 좋아하지만 손해를 보거나 잘못을 저지르면 일부 드립으로써 잘못을 다른 곳으로 돌리려 하거나 누칼협 등으로써 자기 진영에서 냉정히 내쳐버린다.
- 기본적으로 취좆을 저지르며, 어떤 대상이 자신의 이권에 맞으면 다른 걸 못 해도 천재라며 좋아하고, 안 맞으면 다른 걸 잘 해도 둔재라며 싫어한다. 이는 " 그딴 직업으로 돈 벌 생각도 하지 말고 꿈도 꾸지 마라."와 비슷하며, 출세, 황금만능주의(방법, 수단에 집착하기)와도 유관하다.[3]
- 가해자와 피해자 사이에서도 나오는데 인과 상관없이 가해자가 자신의 이권에 안 맞고 피해자가 맞으면 가해자 비난과 피해자 옹호를 저지르지만 가해자가 자신의 이권에 맞고 피해자가 안 맞으면 가해자 옹호와 피해자 비난을 저지른다.
- 상대의 생각이 자신의 생각과 다르면 남의 생각도 생각임을 부정히며 "생각을 해봐." 식으로 말한다.
- 성즉군왕 패즉역적
- 논증, 키배 등에서 자신네는 선이고 상대네는 악이라는 전제를 깔고 어떻게든 지지 않으려고 악은 악으로를 저지르기도 한다.
- 외교 - 정치현실주의
- 올챙이가 '개구리'라는 기득권에 오름에 따라 가치관이 바뀌어 올챙이를 이해하지 못하는 현상 역시 감탄고토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 뉴스에서 잘못된 정보가 나오면 가짜 뉴스라며 난리를 치지만, 잘 나가는 프로그램에서 잘못된 정보( 태양의 후예/사실관계 오류 등)가 나오는 것이 지적되면 그저 잘 나가는 게 배아파서 그런 거라고 한다. SNS에서도 비슷한데 결국은 사람이 문제라고 지적한 사람도 있다.
-
잘 되면 내 탓, 못 되면 조상 탓.
속담
4. 관련 문서
- 개구리 올챙이 시절 모른다
- 견리망의
- 권력
- 기회주의자
- 내로남불
- 냄비근성
- 논리적 오류: 이런 오류를 저지르는 이유일 때도 있다.
- 님비현상, 핌피현상
- 면종복배
- 병먹금
- 불편한 진실
- 사회적 태만
- 생존주의
- 손바닥 뒤집기
- 악마화
- 약한 것은 죄악
- 양날검
- 우월의식: 해당 문서에도 관련 예시가 있다.
- 위 아 더 월드
- 위선, 위악
- 유행
- 이기심, 이타심
- 이율배반
- 이중잣대
- 진영논리
- 체리피킹
- 침묵의 나선
- 토사구팽
- 편견 및 고정관념
- 편향
- 피해자 비난
- 황금만능주의, 금전교
- 후광반사효과
- Mamihlapinatapai
[1]
그런데 약이 쓰지만 몸에 좋다고 말하기도 하는데 애초에 약으로 쓰는 성분들은 조금만 바꿔도 독으로 만들 수 있으며 그러지 않아도
오남용하면 독이 될 수도 있다. 약이랑 독은 같다는 말과 '독약'이라는 말이 괜히 있는 게 아니다.
[2]
사실 전자건 후자건 국적상으로 한국계 외국인은 말 그대로 외국인이고, 외국계 한국인은 말 그대로 한국인이다.
[3]
2021년자
유 퀴즈 온 더 블럭/123회에서 나온 도배사 배윤슬은 주변의 부정적 시선이나 평가는 잠깐뿐이고 자기가 하고 싶어 하는 것을 하는 게 좋다고 했는데 이런 꼰대들이나
헬리콥터 부모들은 배윤슬처럼 못 하고 사람들에게서 멸시되면서 원한을 품었을 수도 있다. 곧 일종의
보상 심리인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