辟을 간체자로 하는 한자에 대한 내용은 闢 문서 참고하십시오.
辟 물리칠 벽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辛, 6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3획
|
||||
미배정
|
|||||||
-
|
|||||||
일본어 음독
|
ヒ, ヘキ
|
||||||
일본어 훈독
|
かたよ-る, きみ, さ-ける,
ひら-く, めす, よこしま |
||||||
-
|
|||||||
표준 중국어
|
bì, pì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辟은 '물리칠 벽'이라는 한자로, '물리치다', '임금' 등을 뜻한다.2. 상세
卩(병부 절)과 辛(매울 신)이 합쳐진 회의자이다. 이후 卩 아래에 동그라미가 추가되고, 이 형태가 尸 아래에 口가 있는 형태로 변하여 현재의 자형이 되었다.특급에 수록된 만큼 일상에서 쓰는 용례는 거의 없고 파생자들이 더 많이 쓰인다. 壁(벽 벽), 僻(궁벽할 벽), 避(피할 피)가 대표적이다. 그래서 선진시대 문헌에 나오는 辟은 본의로 쓰일 수도 있고 앞서 언급한 여러 글자의 뜻으로도 쓰일 수 있기 때문에 문맥을 잘 살펴봐야 한다.
중국에서는 闢(열 벽)의 간체자로 쓰인다.
3. 용례
3.1. 단어
3.2. 인명
3.3. 지명
3.4. 창작물
4. 유의자
5. 상대자
- 臣(신하 신)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7.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幦(덮개 멱)
- 㠔(산골짜기 배)
- 擗(가슴칠 벽)
- 鼊(거북 벽)
- 璧(구슬 벽)
- 僻/ 𠒱(궁벽할 벽)
- 𠪮(기울 벽)
- 𨐯(나눌 벽)
- 鷿/ 𪇊/ 鸊/ 𩁊(논병아리 벽)
- 𨐢(다스릴 벽)
- 𧾑(달리는모양 벽)
- 廦(담 벽)
- 繴/ 𦌠(덮치기 벽)
- 䌟(띠 벽)
- 䑀(배꼽/버릇 벽)
- 癖(버릇 벽)
- 𨐨(법 벽)
- 霹/ 礕/ 礔(벼락 벽)
- 壁(벽 벽)
- 甓(벽돌 벽)
- 鐴(보습의귀 벽, 칼갈 폐)
- 𠮃(본받을 벽)
- 澼(빨 벽)
- 糪(설익은밥 벽, 선떡 팔)
- 㵨(섬 벽/비/피)
- 薜(승검초 벽, 줄사철나무 폐, 갈라질 박)
- 躄/ 𣦢/ 躃(앉은뱅이 벽)
- 擘/ 孹(엄지손가락 벽)
- 闢(열 벽)
- 襞/ 𧞃(주름 벽)
- 㱸/ 𣩩(죽어가는모양 벽)
- 𤢣(짐승이름 벽)
- 劈(쪼갤 벽)
- 憵(초췌할 벽)
- 噼(터지는소리 벽)
- 檗/ 檘(황벽나무 벽)
- 壀(붙좇을 비)
- 譬(비유할 비)
- 䡶(수레뚜껑 비)
- 臂/ 𦡜(팔 비)
- 䁹(흘겨볼 비)
- 䢃(다스릴 예)
- 嬖(사랑할 폐)
- 𢐦(창애 폐)
- 鐾(칼갈 폐, 보습의귀 벽)
- 𩼎(물고기이름 피)
- 隦(성가퀴 피)
- 避/ 𢕾(피할 피)
- 𩪧(활고자 피)
- 𤴣(벽)
- 𠙮
- 𠙱
- 𨐬
- 𤖟
- 𤐙
- 𤗺
- 𤩹
- 𥴬
- 𧓄
- 𨐽
- 𨐴
- 𧲉
- 𧲜
- 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