從 좇을 종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彳, 8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1획
|
||||
중학교
|
|||||||
従
|
|||||||
일본어 음독
|
ジュウ, (ショウ, ジュ)
|
||||||
일본어 훈독
|
したが-う, したが-える
|
||||||
从
|
|||||||
표준 중국어
|
cóng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從은 '좇을 종'이라는 한자로, '좇다'(follow), '따라가다', '따르다'라는 뜻을 나타낸다.2. 상세
이 글자는 원래 从(U+4ECE)으로 썼다. 人(사람 인) 자 두 개로 이루어진 회의자로, 한 사람이 앞서고 다른 사람이 뒤따라간다는 의미에서 '따라가다'라는 뜻이 만들어지고, 이후 '따르다', '순종하다'의 의미도 갖게 되었다. 그러다 뜻을 더 명확히 하기 위해 길을 나타내는 彳(조금걸을 척)과 발을 나타내는 止(그칠 지)를 더하여 지금의 從 자가 되었다. 설문해자에서 한자를 설명할 때 '从A'와 같은 단어를 자주 볼 수 있는데, 이 从이 바로 從 자이다. 현재 중국 대륙에서는 從의 간체자로 從의 고자(古字)인 从을 사용하고 있다.이 글자는 자형적으로 굉장히 특이한 글자인데, 보통 어떤 글자에 彳과 止가 같이 있으면 전서에서 辵의 형태, 해서에서는 더 나아가서 ⻍ 같은 형태로 바뀌기 때문이다. 즉 정상적인 과정을 거친다면 이 글자는 ⻍+从의 형태를 띠어야 하지만[1], 그렇지 않고 원형을 보존하고 있다. 이런 자형을 가지는 글자는 강희자전 기준으로는 從 외에는 徙(옮길 사), 徒(무리 도)밖에 없다. 辵부의 글자가 총 572자이므로, 彳+止 : 辵의 비율은 거의 1:191.
초급 한문에서는 이 從 자는 '~부터'라는 의미의 개사로도 쓰인다. 病從口入, 禍從口出(병은 입으로부터 들어가고 재앙은 입으로부터 나온다)할 때 從이 이 의미로 쓰였다.
조선시대에서는 관리의 품계 앞에 正(바를 정)과 從(좇을 종)을 붙여서 위아래를 나눴다. 같은 1품일 경우 정1품이 종1품보다 높다.
유니코드는 U+5F9E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HOOOO(竹人人人人)으로 입력한다. 특이하게도 맨 처음의 竹을 제외하면 人이 네 번 반복되는데, 왜 저렇게 人자가 네 번이나 반복되냐면, 왼쪽의 彳이 竹人, 从이 人人, 止 자의 마지막 두 획이 人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3. 용례
3.1. 단어
- 고종( 姑從)
- 복종( 服從)
- 순종( 順從)
- 시종( 侍從)
- 이종( 姨從)
- 종군(從 軍)
- 종래(從 來)
- 종량제(從 量 制)
- 종사관(從 事 官)
- 종속(從 屬)
- 종수(從 嫂)
- 종숙(從 叔)
- 종업(從 業)
- 종전(從 前)
- 종질(從 姪)
- 추종( 追從)
- 추종( 騶從)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3.4. 기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실제로 이런 형태의 이체자도 있다. 유니코드 U+28479인 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