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4 01:05:19

이종

1.

신라 장군 이사부의 이름을 삼국유사에서는 이종으로 쓰고 있다.

참고로 이사부는 삼국사기에 기록된 이름이며, 일본서기에는 이름이 이질부례라고 기록되어 있다. 지금은 정확히 알 수 없는 신라 고유어를 한자로 음차한 것으로 보인다.

2. 묘호

동아시아 군주가 받는 묘호 중 하나이다.
성명 묘호 시호 재위기간 비고
조윤(趙昀) 남송이종(南宋理宗) 건도비덕대공복흥열문인무성명안효황제
(建道備德大功復興烈文仁武聖明安孝皇帝)
1224 ~ 1264 남송 5대 황제
( 14대 황제)

3.

'다른 종류', '변한 종자'
이종격투기, 이종교배 등의 이종이 이 뜻이다. 이종족의 올바른 말이기도 하다. 한국어에 '이종족'은 없으나 '이종'은 확실히 있으니 '이종족'이라고 하지 말고 '이종'이라고 하는 것이 옳다.

이종의 반대말은 ' 동종(同種)'이다.

3.1. 이종격투기(카페)의 줄임말

보통 "이종", "이종 카페"등으로 불린다. 정작 이종격투기는 이종으로 잘 안불린다.

4.

이모의 자식을 뜻한다. 보통 이종 사촌 등의 용례로 쓰인다.

5. 인물

5.1.

조선 추존왕 도조의 사남 완성대군의 본명

5.2. [1]

태종 원경왕후의 막내 아들 성녕대군의 본명.

5.3.

조선 16대 왕 인조의 본명.

5.4.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종(1940)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성녕대군의 휘는 礻+重. 유니코드 KC02996로 글꼴이 만들어지지 않아서 입력이 불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