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6 11:31:35

노선

ㅇㅇ선에서 넘어옴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토막글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1. 개요2. 운행계통
2.1. 운행계통 목록2.2. 운행계통 관련 법령
3. 관련 항목

1. 개요

, Route, Line

1. 자동차 선로, 철도 선로, 항공로 따위와 같이 일정한 두 지점을 정기적으로 오가는 교통선. 위의 영단어에선 Route, Line 모두 의미에 부합하나, Route가 좀 더 교통선의 의미를 많이 담고 있다.

2. 개인이나 조직 따위가 일정한 목표를 실현하기 위하여 지향하여 나가는 견해의 방향이나 행동 방침. 위의 영단어에선 Line의 의미에 부합한다.

2. 운행계통

철도 동호인들은 일본에서 유래한 '운행 계통'이라는 개념을 '노선'과 구분해서 사용한다. 이는 대한민국 수도권 전철에서 여러 운행계통을 하나의 노선으로 묶고 있기 때문이다. 수도권 전철 1호선/운행 계통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운행 계통 문서가 대표적인 사례이다. 강릉선 KTX의 경우 지역 주민들이 경강선이라는 노선명을 선호하지 않아 붙여진 운행계통명이기도 하다.

이로 인해 노선명과 운행계통명 사이에 혼동이 생기기도 한다. 호남고속철도의 경우 오송역 광주송정역을 잇는 새 고속철도노선 건설사업의 사업명인 동시에 용산역 목포역을 잇는 운행계통명으로도 사용된다. 그리고 사업 완료 후 오송역과 광주송정역을 잇는 새 노선은 호남고속선이라고 이름(노선명)이 붙었다.

미국에도 이러한 개념이 있는데 뉴욕 지하철에서 'Line'은 물리적 철로(physical track)을, 'Service' 혹은 'Route'는 기종착역이 있는 운행계통을 의미한다. 실생활에서 보는 노선은 한국과 마찬가지로 운행계통명이 된다. 뉴욕 지하철/노선 뉴욕 지하철/노선번호를 참조할 것.

2.1. 운행계통 목록

분류:철도 운행계통을 참조할 것.

2.2. 운행계통 관련 법령

철도시설 최소유지관리기준(국토교통부고시 제2021-888호)
제3조(관리그룹의 구분) 철도시설의 체계적 관리를 위하여 다음 각 호와 같이 관리그룹을 구분한다.
1. 제1그룹 : 고속철도(경부고속철도, 호남고속철도, 수서고속철도)
2. 제2그룹 : 일반 간선철도(경부선, 호남선, 강릉선, 전라선, 중앙선, 경전선, 동해선 등)와 광역철도(경인선, 경원선, 경의중앙선, 분당선, 일산선, 과천선, 안산선, 수인선, 경춘선 등), 민자철도(공항철도, 신분당선 등)
3. 제3그룹 : 제1그룹과 제2그룹에 포함되지 않지만 정기적인 열차운행이 이루어지고 있는 철도(정선선, 평택선, 대구선 등)
4. 제4그룹 : 열차가 운행되지 않거나 비계획적ㆍ일시적인 열차운행이 이루어지는 철도(교외선 등)

물리적인 노선명과 다르게, 운행계통의 명칭은 정식으로 고시되지 않고 있다. 다만, 위 고시에서 간접적으로 강릉선, 경부고속철도 경의중앙선이라는 명칭을 쓰고 있어 각각 경부고속선, 경의선, 중앙선으로 쓰고 있는 철도거리표와 구분되는 용례를 확인할 수 있다.

3. 관련 항목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