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가나 오십음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
<colbgcolor=#eee,#2d2f34> | あ단 | い단 | う단 | え단 | お단 | |
あ행 | あ | い | う | え | お | ||
か행 | か | き | く | け | こ | ||
さ행 | さ | し | す | せ | そ | ||
た행 | た | ち | つ | て | と | ||
な행 | な | に | ぬ | ね | の | ||
は행 | は | ひ | ふ | へ | ほ | ||
ま행 | ま | み | む | め | も | ||
や행 | や | ゆ | よ | ||||
ら행 | ら | り | る | れ | ろ | ||
わ행 | わ | ゐ | ゑ | を | |||
ん | ん | ||||||
기타 | 탁점 · 요음 · 촉음 · ヴ · ヶ, ヵ | }}} |
* 음영 처리: 현대에 잘 쓰이지 않거나 쓰지 않는 가나 * 둘러보기: 틀:히라가나 · 틀:가타카나 |
1. 개요
히라가나 | 가타카나 |
'''へ''' | <colbgcolor=white,#1f2023> '''ヘ''' |
국립국어원 표기법 | 헤 (베/페[1]) |
라틴 문자 표기 | he/be/pe |
IPA | [he̞][2], [be̞][3], [pe̞][4] |
히라가나 자원 | 部의 초서 |
가타카나 자원 | 部의 약자 |
일본어 통화표 | [ruby(平和, ruby=へいわ)]のヘ(헤이와노 헤)[5] |
유니코드 | U+307(D)8 |
일본어 모스 부호 | ・ |
2. え단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え단의 모음은 전설 평순 중모음. 한국어의 ㅐ(/ɛ/)와 ㅔ(/e/)의 중간 정도의 발음이지만 현재 한국어에서 ㅐ와 ㅔ가 합쳐지는 식으로 변하고 있기 때문에 거의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え단 모음의 장음은 히라가나에서는 え를 쓰기도 하지만 주로 い를 써서 표현한다. 가타카나로는 다른 모음과 마찬가지로 장음 기호 ー를 쓴다. 자세한 설명은 일본어 장음 판별법의 '기본' 부분 참고.
3. 발음
は와 마찬가지로 성문 마찰음(/h/)이다. 모음은 다른 え단과 마찬가지로 전설 중모음이고 미리 문서가 만들어진 て에도 썼듯이 한국어의 ㅔ와 ㅐ가 흔들리고 있는 상황이라 현 한국어의 ㅔ와 거의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は행을 전부 스치고 지나간 순음퇴화에 へ 역시 영향을 받았지만 へ 자체가 は행의 다른 글자보다는 덜 쓰이기 때문에 변화한 예를 찾기는 조금 더 어렵다. 조사 へ를 /e/로 읽는 것이 그 흔적이다.
4. 모양
둘 다 한자 部에서 따 왔다. 히라가나와 가타카나의 모습이 거의 동일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も - モ, か - カ처럼 조금 비슷한 것들은 꽤 있지만 이 정도로 비슷하게 생긴 것은 へ가 유일하다.
다만 이 글자도 약간은 다르다. へ(히라가나)와 ヘ(가타카나). 가타카나 쪽이 오른쪽 부분이 조금 더 위로 올라가 있고 뾰족하다. 모양뿐만 아니라 문자 코드도 다르다. 물론 정말 약간의 차이라서 손글씨로는 거의 차이를 두는 게 불가능한 수준이다.
へヘへヘヘヘヘヘへヘ 이 중 뭐가 히라가나일지 찾아보자. (정답 3개)[정답]
눈썹 모양을 닮아서
헤노헤노모헤지에서는 눈썹 역할을 하기도 하며 입의 역할로도 쓰인다. 화학 쪽에서 등장하는
에틸기와도 모양이 비슷하다.5. 쓰임
조사로 쓰인다. 상술했듯이 이 때는 발음이 '에'. 한국어 '(으)로'와 용법이 유사하다. 완전히 그렇다는 것은 아니며, 상황에 따라 의역이 필요하다. 일례로 '未来への遺産', 未来への逆転'은 주로 미래로의 유산, 미래로의 역전이 아닌 미래를 위한 유산, 미래를 향한 역전 등으로 번역된다. '(에)게'와 용법이 겹칠 때도 있다.이로하 노래에서는 イロハニホヘ로 6번째이다. 음악에서는 바(F).
모스 부호로는 점 하나로 일본 가나 중에서 제일 간단하다. 그러나 후술하듯 정작 쓰임이 많은 イ가 아니라 매우 쓰임이 적은 ヘ가 단 부호를 담당하고 있다.
감탄사로 'へえ' 라는 표현이 쓰이기도 한다. 무언가 이야기를 듣고서 '아~ 그렇구나' 싶을 때 쓰는 감탄사. 한국어에선 쓰이지 않기 때문에 번역체 문장에서 그냥 '헤에'라고 써버리기 쉽다.
へ, べ, ぺ 합쳐서 둘 다 별로 안 쓰이는 가나 중에 하나이다. 누군가가 약 11만 7433 글자의 일본어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전체 글자 중에서 へ는 고작 270자 가량으로 약 0.2%밖에 차지하지 않는 것이다. べ를 합쳐도 0.4%... 링크. 한자로 표기된 것도 가나로 치환했을 때의 결과다. 참고로 제일 많이 쓰이는 것은 い로, 5.6% 가량이다.
일본 자동차 번호판에서는 へ가 방귀를 연상시킨다는 이유로 사용하지 않는다.
6. 한자
6.1. 음독
<rowcolor=black> 日 | 韓 | 한자 | 韓 | 한자 | 특수 | 日 | 韓 | 한자 | 韓 | 한자 | 특수 | |
<rowcolor=black>ヘイ (14) |
병 |
丙兵併並柄 塀餅病[7] |
폐 | 陛閉幣弊蔽 | 평(平) | ベイ | 미 | 米 | ||||
<rowcolor=black>ヘキ | 벽 | 壁璧癖 | ||||||||||
<rowcolor=black>ベツ | 멸 | 蔑 | 별 | 別 | ||||||||
<rowcolor=black>ヘン (9) |
변 | 辺変 | 편 | 片偏遍編 |
ベン (3) |
변 | 弁 | 편 | 便 | |||
<rowcolor=black> 반 | 返[8] | 면 | 勉 |
밑줄은 오음으로도 읽는 것들이다. ヘイ의 오음은 ヒョウ/ビョウ이며 ベイ의 오음은 マイ이다.
반탁음 ぺ로 읽는 글자는 없지만 단어 중 っ, ん 뒤에 올 때는 반탁음으로 나타난다. 겐페이 전쟁(源平合戦), 완벽(完璧, かんぺき) 등. 규칙적으로 나타나므로 상용한자표에서는 이때의 ぺ 독음을 따로 실어두고 있지 않다.
병사 병(兵)은 일본어로 보통 ヘイ나 ヒョウ로 읽지만[9] 뒤에 衛가 붙으면 ベ라고 읽을 때가 있다. 타케나카 한베에나 야규 쥬베 등이 그 예. 이 때는 ベ와 エ를 가리키는 兵과 衛가 각각 다른 글자이기 때문에 장음처럼 보여도 한글로는 '베에'라고 따로 적는 게 맞다. 장음은 한 형태소 내에서만 성립하기 때문.
6.2. 훈독
- へだてる/へだたる(隔てる): 사이를 띄우다
- へる(経る): 거치다
- へる/へらす(減る): 줄다/줄이다
- へび(蛇): 뱀
- べに(紅): 연지
- べ(辺): 변. 渡辺( 와타나베) 등 성명에도 자주 들어간다.
표 외로 유래가 된 部 역시 훈 읽기로 여전히 へ라고 읽는다. 部屋(へや;방)가 대표적인 예. 방귀를 屁로 쓰고 へ라고 읽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