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8 21:21:49

유희왕

yugioh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애니메이션\에 대한 내용은 유희왕 프랜차이즈 문서
번 문단을
목록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유희왕
遊☆戯☆王
Yu-Gi-Oh![1]
<nopad> 파일:k732839440_1.jpg
장르 다크 판타지, 오컬트, 카드배틀
작가 타카하시 카즈키
출판사 파일:일본 국기.svg 슈에이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원씨아이
연재처 파일:일본 국기.svg 주간 소년 점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코믹 챔프
레이블 파일:일본 국기.svg 점프 코믹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챔프 코믹스
연재 기간 파일:일본 국기.svg 1996년 42호 ~ 2004년 15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2년 12호 ~ 2004년 19호
단행본 권수 파일:일본 국기.svg 38권[2] (2004. 06. 04. 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8권[3] (2004. 08. 15. 完)

1. 개요2. 줄거리3. 발매 현황4. 특징5. 등장인물6. 설정7. 인기8. 관련 작품
8.1. 애니메이션8.2. 외전 / 후속작
9. 매직 더 개더링과의 관계10. 기타11.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카드배틀을 소재로 한 일본의 오컬트· 판타지 만화.

처음에는 보드게임 등 다양한 게임을 소재로 시작했으나 매직 더 개더링을 패러디한 에피소드가 히트 친 이후 카드배틀이 주 소재가 된다.

유희왕 시리즈의 초석이 된 원작이다.

2. 줄거리

게임의 역사, 그것은 아득히 먼 5000년 전 고대 이집트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고대에서 행해진 게임은 인간과 왕의 미래를 예언하고, 운명을 결정하는 마술적인 의식이었다. 그것들은 ' 어둠의 게임'이라 불리었다.
지금 천년 퍼즐을 풀고, 어둠의 게임을 계승한 소년이 있다.
빛과 어둠… 두 개의 마음을 가진 소년. 사람들은 그를 유희왕이라고 부른다.

(ゲームの歴史…それは遥か五千年の昔、古代エジプトにまでさかのぼるという。
古代におけるゲームは、人間や王の未来を予言し、運命を決める魔術的な儀式であった。それらは「闇のゲーム」と呼ばれた。
今、千年パズルを解き、闇のゲームを受け継いだ少年がいた。
光と闇…二つの心を持つ少年。人は彼を「遊戯王」と呼ぶ。)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유희왕/에피소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발매 현황

||<-3><table align=center><table width=1200><table bordercolor=#010101><rowbgcolor=#010101> 유희왕 발매 현황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1권 02권 03권 04권
파일:external/img2.wikia.nocookie.net/Yu-Gi-Oh%21_Vol_1_JP.jpg 파일:유희왕2권.jpg 파일:유희왕3권.jpg 파일:유희왕4권.jpg
파일:일본 국기.svg 1997년 03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년 10월 05일
파일:일본 국기.svg 1997년 05월 01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년 10월 05일
파일:일본 국기.svg 1997년 07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년 10월 05일
파일:일본 국기.svg 1997년 09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년 10월 05일
05권 06권 07권 08권
파일:유희왕5권.jpg 파일:유희왕6권.jpg 파일:유희왕7권.jpg 파일:유희왕8권.jpg
파일:일본 국기.svg 1997년 11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년 11월 02일
파일:일본 국기.svg 1998년 01월 09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년 11월 02일
파일:일본 국기.svg 1998년 03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년 11월 02일
파일:일본 국기.svg 1998년 05월 01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년 11월 02일
09권 10권 11권 12권
파일:유희왕9권.jpg 파일:유희왕10권.jpg 파일:유희왕11권.jpg 파일:유희왕12권.jpg
파일:일본 국기.svg 1998년 08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년 11월 30일
파일:일본 국기.svg 1998년 10월 02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년 11월 30일
파일:일본 국기.svg 1999년 01월 08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년 12월 07일
파일:일본 국기.svg 1999년 03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년 12월 07일
13권 14권 15권 16권
파일:유희왕13권.jpg 파일:유희왕14권.jpg 파일:유희왕15권.jpg 파일:유희왕16권.jpg
파일:일본 국기.svg 1999년 04월 30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년 01월 04일
파일:일본 국기.svg 1999년 07월 02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0년 03월 21일
파일:일본 국기.svg 1999년 10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0년 05월 02일
파일:일본 국기.svg 1999년 12월 22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0년 05월 30일
17권 18권 19권 20권
파일:유희왕17권.jpg 파일:유희왕18권.jpg 파일:유희왕19권.jpg 파일:유희왕20권.jpg
파일:일본 국기.svg 2000년 03월 0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0년 06월 20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0년 04월 28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0년 07월 2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0년 07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0년 09월 01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0년 09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0년 12월 19일
21권 22권 23권 24권
파일:유희왕21권.jpg 파일:유희왕 22권 .jpg 파일:유희왕23권.jpg 파일:유희왕24권.jpg
파일:일본 국기.svg 2000년 11월 02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년 02월 13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0년 12월 22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년 04월 10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1년 04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년 06월 26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1년 06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년 08월 14일
25권 26권 27권 28권
파일:유희왕25권 .jpg 파일:유희왕25권.jpg 파일:유희왕27권.jpg 파일:유희왕28권.jpg
파일:일본 국기.svg 2001년 09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년 11월 20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1년 11월 02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2년 01월 29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2년 03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년 11월 20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2년 05월 01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2년 07월 30일
29권 30권 31권 32권
파일:유희왕29권.jpg 파일:유희왕30권.jpg 파일:유희왕31권.jpg 파일:유희왕32권.jpg
파일:일본 국기.svg 2002년 08월 02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2년 10월 1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2년 10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2년 11월 2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2년 12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년 02월 1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3년 03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년 05월 30일
33권 34권 35권 36권
파일:유희왕33권.jpg 파일:유희왕34권.jpg 파일:유희왕35권.jpg 파일:유희왕36권.jpg
파일:일본 국기.svg 2003년 05월 01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년 07월 30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3년 08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년 10월 30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3년 11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4년 01월 30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4년 02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4년 03월 30일
37권 38권
파일:유희왕37권.jpg 파일:유희왕38권.jpg
파일:일본 국기.svg 2004년 04월 30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4년 06월 1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4년 06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4년 08월 15일
}}}}}} ||

||<-3><table align=center><table width=1200><table bordercolor=#010101><rowbgcolor=#010101> 유희왕 문고판 발매 현황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1권 02권 03권 04권
파일:attachment/cYbtsxwAPzZEXbHu.410x410.jpg 파일:유희왕(애장판)2권.jpg 파일:유희왕(애장판)3권.jpg 파일:유희왕(애장판)4권.jpg
파일:일본 국기.svg 2007년 04월 18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년 10월 28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7년 04월 18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년 11월 28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7년 06월 15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년 02월 22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7년 06월 15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년 05월 10일
05권 06권 07권 08권
파일:유희왕(애장판)5권.jpg 파일:유희왕(애장판)6권.jpg 파일:유희왕(애장판)7권.jpg 파일:유희왕(애장판)8권.jpg
파일:일본 국기.svg 2007년 07월 18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년 08월 31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7년 07월 18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년 11월 1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7년 08월 10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년 02월 06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7년 08월 10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년 03월 29일
09권 10권 11권 12권
파일:유희왕(애장판)9권.jpg 파일:유희왕(애장판)10권.jpg 파일:유희왕(애장판)11권.jpg 파일:유희왕(애장판)12권.jpg
파일:일본 국기.svg 2007년 09월 1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년 05월 29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7년 09월 1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년 08월 1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7년 10월 18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년 09월 30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7년 10월 18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년 11월 29일
13권 14권 15권 16권
파일:유희왕(애장판)13권.jpg 파일:유희왕(애장판)14권.jpg 파일:유희왕(애장판)15권.jpg 파일:유희왕(애장판)16권.jpg
파일:일본 국기.svg 2007년 11월 16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7년 11월 16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7년 12월 13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7년 12월 13일
17권 18권 19권 20권
파일:유희왕(애장판)17권.jpg 파일:유희왕(애장판)18권.jpg 파일:유희왕(애장판)19권.jpg 파일:유희왕(애장판)20권.jpg
파일:일본 국기.svg 2008년 01월 18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8년 01월 18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8년 02월 1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8년 02월 15일
21권 22권
파일:유희왕(애장판)21권.jpg 파일:유희왕(애장판)22권.jpg
파일:일본 국기.svg 2008년 03월 18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8년 03월 18일
}}}}}} ||

원작은 주간 소년 점프 1996년 42호부터 2004년 15호까지 연재되었다.

단행본은 슈에이샤에서 '점프 코믹스' 레이블로 총 38권까지 완결되었으며 2007년 총 22권으로 문고판이 나왔다. 문고판은 초반부의 작화가 모조리 수정되었다. 팬이라면 소장가치가 충분하다. 이 문고판에는 특전으로 유희왕 버전 타로카드 일러스트가 있다. 동영상[4][5] 미흡했던 초기 작화의 보강 이외에 인종 차별적 문제로 인해 육망성의 저주를 위시한 육망성 관련 표현도 전면적으로 수정되었다.

한국어판은 1999년부터 도서출판 대원이 정발하여 38권까지 전부 나왔으며, 번역은 초기에 단행본 기획팀 명의로 맡다가 18권부터 문준식, 29권부터 강신구가 각각 물려받았다. 국내판의 번역은 그 당시 심의 탓인지 일부 대사가 수정되었다.

세월이 흘러 전권 모두 절판되어 구하려면 중고밖에 방법이 없다. 거기다 절판된 지 상당히 오래된 책이다 보니 중고 물량 대부분이 상태가 나쁜 편. 그래도 한국만화박물관 2층에 있는 만화도서관 일반열람실에 여전히 비치 중이라 열람 목적으로 찾으려면 큰맘 먹고 부천 상동까지 가면 볼 수 있다. 그 외에 국립중앙도서관에서도 소장 중이다.

이후 한동안 관련 코믹스의 정식 발매는 유희왕 ZEXAL 코믹스가 끝이었지만, 유희왕 마스터 듀얼의 인기에 힘입었는지 2022년 하반기에 대원씨아이를 통해 문고판이 발매된다는 소식을 알렸다.

10월 중순부터 애장판 예약을 개시했으며, 10월 29일에 발송되는 것이 확정되었다. 초판 한정 특전은 일본어판과 동일한 일러스트 타로카드가 동봉된다. 애장판의 번역은 김동욱이 담당하였다. 다만 1, 2권에서의 출간 텀에 비해 3권부터는 전권 대비 점점 출판 기간이 길어져서 3~4달 수준이 된 탓에 아쉬운 목소리가 다소 있다.[6]

4. 특징

원래는 오컬트물을 빙자한 게임 만화였다.[7] 이는 유희왕/등장 게임 문서에서 볼 수 있다. 카드 게임 관련 에피소드인 매직 앤 위저드 에피소드도 전편, 후편으로 딱 2화만에 끝났다. 하지만 이 에피소드의 예상 외의 인기로 몇 권 뒤에 원래 단역이었던 카이바도 재등장하면서 다시 한 번 연재, 이 역시 인기를 끌자 아예 페가수스가 나오면서 대부분의 이야기가 카드 게임으로 전개되었다.

그렇게 졸지에 최초의 카드배틀물[8] 만화가 되었다. 이후 만화와 애니메이션의 인기에 힘입어 출시된 오피셜 카드 게임은 판매량으로 기네스북에 등재된[9] 트레이딩 카드 게임이 되었으며, 스포츠물 초전개를 섞어놓은 유희왕 특유의 전개 방식은 후발주자 카드배틀물과 두뇌, 추리게임물에 막대한 영향을 주었다. 이에 배틀 시티 편부터는 OCG나 게임에서만 나온 카드나 설정이 원작으로 역수입되는 등 원작과 유희왕 프랜차이즈는 이미 초기부터 양방향으로 큰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원작자가 문고판 후기에 쓴 코멘트에 의하면 담당자가 " 빨리 카드 배틀을 하자!"고 하는 바람에 결국 DEATH-T편에서 원래 예정했던 분량을 줄였다고 한다. 원래는 바쿠라 료 TRPG를 중심으로 하는 전개를 할 예정이었던 듯하다. 이게 완전히 사라지진 않아서, 그 외의 게임이자 최후반부의 주요 게임은 '다크 RPG'라는 TRPG 형식의 게임이다. 다만 진짜 마지막 게임은 듀얼이 되었다.

첫 캐릭터 가이드북인 '진리의 복음'에 수록된 원작자 인터뷰에 의하면, 이 작품의 주요 테마는 '우정', '사랑', '죽음'이 세 개의 기둥이다. 물론 성장과 자립도 주요 테마다. 그 외에도 문고판 6권 후기에서는 빛과 어둠, 선과 악, 하늘과 땅 등의 '서로 상반되는 두 가지 성질'(=양면성)도 테마라고 언급했다. 실제로도 원작 37권 표지의 작가 코멘트에도[10] 이와 관련된 언급이 있으며, 완결인 38권의 후기에서는 다른 사람과의 대립과 이해, 소통을 위해 선택한 수단이 '게임'이었다고 언급했다.

5.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유희왕/등장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설정

7. 인기

새삼스럽지만, 제 만화가로서의 경력을 얘기할까 합니다. 19세 때 그린 작품이 운 좋게 입선, 일단 데뷔를 했습니다. 하지만 그때부터가 고생길!! 아무리 그려도 늘어나는 것은 퇴짜맞은 원고더미뿐. 출판사를 몇 군데나 돌아다니는 사이 10년이라는 세월이 흘렀습니다. 그 후, <유희왕>을 연재한 지 7년. 아~ 포기하지만 않는다면 인생은 어떻게든 되는 법입니다!!
― 단행본 36권 작가 코멘트
유희왕, 카드의 신화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구 SBS판 1기 오프닝 中[11]

매직&위저드 에피소드가 시작되기 전에는 인기순위에서 바닥을 기록했기 때문에 편집부가 연재를 끝내려고 했으나 매직&위저드 편이 운좋게 매니아들의 취향을 제대로 저격했고 그후 본격 카드게임 만화 노선을 타면서 인기가 급상승해 99년~2000년대 초 원피스 다음 가는 인기작들인 헌터×헌터, 샤먼킹, 테니스의 왕자, 출동! 세기말 리더 다케시, 히카루의 바둑, 나루토 등과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된다.

만약 초기에 끝났으면 작가에게나 잡지사와 출판사에게나 큰 손해였을 것이다. 단행본은 3600만 부 이상 팔렸으며 카드는 2016년 3월 기준으로 300억 장이 넘게 팔려 그 수많은 소년 점프 연재작 중에서도 상품 매출이 항상 5위권 안에 드는 위엄[12]을 자랑하기 때문. 심지어 TCG의 인기는 비약적으로 상승해서 '가장 많이 팔린 트레이딩 카드 게임'으로 기네스북에 등재되기까지 했다. # 근데 그 전 기록도 유희왕이었다. TCG 카드 판매량은 꾸준히 오르고 있어서인지 언제나 자기 기록을 경신 중. 그리고 전세계 미디어 프랜차이즈 누적 수익 순위 21위인데, 점프 소년 만화 중에서는 드래곤볼에 이어 2위이다. # 그리고 작가는 유희왕 이후로는 일본 만화가 수입 순위에서 한 번도 5위 밑으로 떨어지지 않았다. 참고로, 이는 추가적인 만화의 연재를 더 이상 하지 않는 상태에서 유희왕 애니메이션에 제작 자문 참여만 했는데도 현재까지 벌어들이고 있는 수익이다. [13][14]

바쿠만을 보면 이 때에 유희왕을 담당하던 편집자 헤이시 요시히사가 편집장까지 오른 것을 볼 수 있는데, 실화다. 그야말로 모든 관계자에게 대박을 선물한 작품.

8. 관련 작품

원작 만화와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는 작품만 기재되어 있으며, 그 외의 작품은 유희왕 프랜차이즈 문서 참고.

8.1. 애니메이션

8.2. 외전 / 후속작

9. 매직 더 개더링과의 관계

한국에서는 매직 더 개더링의 인지도가 높은 편은 아니기 때문에 잘 모르는 사람이 많지만, 유희왕 흥행의 시작이 된 듀얼리스트 편은 세계 최초의 TCG 매직 더 개더링을 오마주한 에피소드에서 출발했으며, 몬스터 디자인도 비슷한 경우가 있었다. 대표적인 예시가 데몬 소환으로, 디자인이 지옥의 왕과 상당히 유사하고 작명 방식도 매더개에서 따왔다.

당시에 매직 더 개더링의 개발자와 배급사였던 리처드 가필드 위저드 오브 더 코스트는 미국에서 TCG 라는 장르에 대한 특허권을 따놨었는데, 이 때문에 다른 TCG 카드 게임이 발매될 때마다 표절이 아니냐는 잡음이 끊이질 않았고, 유희왕 OCG 역시 전술한 이유 때문에 이런 구설수에 휘말렸었다. 그러나, 구체적인 게임 방식에서는 다른 부분이 꽤 많았기에 특허권을 가지고 있는 가필드와 돈법사 모두 별 다른 언급을 하지 않고, 00년대에 들어서 유희왕의 매출액과 인기가 매더개보다 높아지면서 이러한 말도 자연스럽게 들어가게 되었다.

현재에는 유희왕 OCG 역시 매더개와 방향성이 아예 달라지면서 이젠 아예 다른 게임 취급이 된지 오래이며, 유희왕을 제외한 다른 TCG 장르 게임이 대거 등장하면서 더 이상 이런 논쟁 자체가 무의미해졌다.

10. 기타

11. 관련 문서



[1] 코믹스판의 경우 'Yu-Gi-Oh! Duelist'라는 제목으로 발매되었다. [2] 문고판은 22권 [3] 애장판 22권 예정 [4] 초회판 특전으로 동봉되어 있는 응모권을 응모하면 1000명 추첨으로 문고판에 수록된 일러스트의 타로카드를 받을 수 있었다. 다만, 해당 영상 속 카드들의 몇몇 일러스트는 2023년 현재 볼 수 있는 문고판 수록 일러스트와 차이가 있는 것들이 있다. 정황상 초회판 이후로 해당 일러스트들이 수정된 듯하다. [5] 2022년부터 한국에서 정발하고 있는 애장판에서도 초회 특전으로 주고 있다. 단, 영상 속의 카드와는 달리 링크된 글 속의 현행 일러스트와 동일하게 나오며, 응모를 하는 게 아닌 초회판 단행본에 각각 들어있다. [6] 전권 대비 2권은 1달, 3권은 2달, 4권은 3달, 5권은 4달로, 어째 권수가 지날 수록 출간 텀이 1달씩 늘어나고 있다. 문제는 이 페이스 대로라면 몇 년이 걸려도 원서 기준 22권을 채우는 것은 매우 힘들 것으로 보인다. 도중에 정발이 끊기지나 않으면 다행일 지경 [7] 이를 반영이라도 하듯 단두대 마녀사냥을 차용한 일본판 카드 초기 일러스트는 해외판에서는 모두 수정되었다. [8] 거기에 애니메이션화의 판권 문제 때문에 우리가 아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은 1998년에 나왔다. 디지털 몬스터 카드게임과는 비슷하지만 1996년 등장한 포켓몬스터 TCG보다는 늦은 셈. 하지만 둘 다 이미 다른 장르의 게임으로 존재하던 프랜차이즈를 TCG화시킨 것이었으니, 트레이딩 카드 게임을 주요 소재로 차용한 만화 및 애니메이션은 사실상 유희왕이 최초다. [9] 지금까지 일본 캐릭터 프랜차이즈 관련해서 기네스북에 등재된 건 총 5건이다.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TCG인 유희왕, 200권이라는 최다 단행본 권수를 기록한 여기는 잘나가는 파출소, 누적발행부수 최고였던 드래곤볼과 그 기네스를 재경신한 원피스, 포켓몬 쇼크로 가장 많은 시청자를 발작시킨 포켓몬스터. [10] <유희왕> 잡지 연재가 무사히 끝나, 일단 제가 전하고 싶었던 테마는 전부 그려낸 듯합니다. 카드가 작품의 주류를 이루고 있었던 것은 분명합니다. 그러나 그건 누구나 가지고 있는 양면성 -'빛과 어둠', '선과 악', '샹냥함과 분노'-이라는 마음의 진자에 따라 흔들리며 갈등하는 인간과 그 마찰에 슬퍼하고 괴로워하는 이들의 싸움이 카드 듀얼로 표현된 것에 지나지 않습니다. 하지만 진자를 있는 힘껏 흔들면 '원'을 그리게 되는 법이고, 그게 바로 주인공의 강함이라 할 수 있겠죠. [11] 지금까지 유희왕이 보유한 인기와 많은 기록을 실질적으로 대변하는 가사. 별 인기 없는 평범한 오컬트 만화로 시작한 유희왕은 이후 카드 듀얼을 가닥으로 잡은 후, 정말로 카드게임계의 신화가 됐다. [12] 참고로 이 5위 안에 거쳐갔던 작품들을 열거하면, 살아있는 전설인 드래곤볼, 농구 만화의 상징이던 슬램덩크, 2000년대 부터 지금까지 일본 만화의 자존심이자 자부심인 원피스와 일본에선 물론 전세계적으로 일본 만화의 한 아이콘이 된 나루토, 일본과 서양에서 국민적인 지지를 받던 북두의 권, 2020년대 일본 사회를 강타한 귀멸의 칼날 같은 역사적인 대형 작품들과 경쟁하여 지금도 5위권을 유지하는 것이다. [13] 과거엔 원피스에 인기에 수익이 밀린 적이 있었으나 결국 TCG의 꾸준한 판매량과 라이선스 수익으로 다시 뒤집어졌다. 유희왕을 넘어서는 거의 유일한 프랜차이즈는 포켓몬스터밖에 없을 정도. 카드쟁이들이 은근히 매출에 도움이 많이 된다 [14] 그도 그럴 것이, 카즈키 작가의 신념대로 유희왕 대회는 공식적으론 상금이 없고, 대회 수상자들을 위한 특별 카드를 제작해주는 것이 관례인데, 문제는 이게 희소가치 탓에 컬렉터들 사이에서 무지막지한 가격에 거래된다. 우스갯소리로 '유희왕은 카드가 곧 상금이다.'라고 할 정도. 거기다 카드 판매를 관리하는 코나미 역시 이러한 판매기조를 위해 일정 주기마다 파워 밸런스를 꾸준히 상승시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가끔은 지나치게 돈에 눈이 멀어 욕을 쳐먹기도 하고. [15] 코나미는 이후로도 점프 연재작들을 다수 게임화했는데, 대표적으로 히카루의 바둑, 테니스의 왕자 등이 있다. [16] 그리고 이후 토리시마의 이 판단은 코나미에게 있어 신의 한 수(?)가 되는데, 유희왕 게임들은 현재 코나미의 몇 안 되는 밥줄과도 같은 프랜차이즈이기에 코나미가 현재까지 회사를 유지하는 수단이 되었고, 유희왕 상표를 코나미에 양보한 캡콤은 반대로 현재 바이오하자드 시리즈, 록맨 시리즈, 역전재판 시리즈 등 기존의 명작 프랜차이즈들을 완벽하게 부활시켜 탄탄대로를 걷고 있다. [17] GX 코믹스의 작가 카게야마 나오유키의 말에 의하면, 최초 연재 제의를 받을 당시 타카하시 선생이 'GX 만화는 네가 그려라!'라고 전화로 말했으며, 전화기 너머에서는 술에 취한 목소리들이 들렸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