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4 02:05:50

T1/배틀그라운드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T1
''''''
{{{#!wiki style="margin: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8px"
2024 연간 시드 프로팀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DN 프릭스 로고.svg 파일:Danawa e-sports logo.png 파일:Dplus KIA 로고.svg 파일:Dplus KIA 로고(화이트).svg
Gen.G DN FREECS DANAWA ATTACK ZERO Dplus KIA
파일:T1 로고.svg 파일:gnl-esports.png 파일:Game_Coach_Academylogo_square.webp 파일:IFYOUMINE_GAME_PT.png 파일:IFYOUMINE GAME PT White.png
T1 GNL ESPORTS GameCoach Academy IFYOUMINE GAME PT
파일:PENTAGRAM_2023_allmode.png 파일:PENTAGRAM_2023_allmode_white.png 파일:e-sports FROM DAEJEON LOGO.png 파일:e-sports FROM Logo White.png 파일:Eagle_Owls_allmode_2022.png 파일:Sentinel_KR_allmode.png
AZLA PENTAGRAM e-sports FROM DAEJEON Eagle Owls Sentinel
배틀그라운드 대한민국 아마추어 게임단 | 전체 배틀그라운드 프로게임단 }}}}}}}}}}}}

'''{{{#!wiki style="margin:-10px" <tablewidth=320><table bordercolor=#151042> 파일:PWS EAST ASIA whitelogo.png PWS }}}'''
'''{{{#!wiki style="color: #151042; margin:0 -10px -5px;" dark-style="color: #ddde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프로 시드
파일:FN esports.png 파일:T1 로고.svg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Dplus KIA 로고.svg 파일:Dplus KIA 로고(화이트).svg
FN eSports T1 Gen.G Dplus KIA
파일:PENTAGRAM_2023_allmode.png 파일:PENTAGRAM_2023_allmode_white.png 파일:DN 프릭스 로고.svg 파일:DN 프릭스 로고 화이트.svg 파일:GNL ESPORTS_allmode.png 파일:IFYOUMINE_GAME_PT.png 파일:IFYOUMINE GAME PT White.png
AZLA PENTAGRAM DN FREECS GNL ESPORTS IFYOUMINE GAME PT
파일:Eagle_Owls_allmode_2022.png 파일:Sentinel_KR_allmode.png 파일:e-sports FROM DAEJEON LOGO.png 파일:e-sports FROM Logo White.png 파일:Game_Coach_Academylogo_square.webp
Eagle Owls Sentinel e-sports FROM DAEJEON GameCoach Academy
PLS (일반) 시드
파일:Overwhelm_allmode.png 파일:Aura_new_logo-removebg-preview.png 파일:TM_Clan_allmode.png 파일:SUPERFECT_Esports_allmode.png
Overwhelm AURA Divine tM SUPERFECT Academy
해체된 배틀그라운드 프로게임단 }}}
}}}}}}'''

파일:T1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league-of-legends.png T1
T1 Esports Academy
파일:valorantlogo.png T1
T1 VALORANT Academy
파일:PUBG: BATTLEGROUNDS 아이콘.svg T1
파일:tftblack.png T1
파일:tekken8_logo_nonum.png T1
파일:오버워치 2 프로그램 아이콘.svg T1 }}}}}}}}}
파일:T1 로고.svg
<colbgcolor=#e4002b><colcolor=#fff> 티원
T1
창단 2018년 8월 12일
팀명 SK telecom T1(2018.8~2019.12)
T1(2020.1~)[1]
모기업 ㈜에스케이텔레콤씨에스티원
CEO [[조 마쉬|조 마쉬
Joe Marsh
]]
COO 안웅기
Josh
파트 오너 [[이상혁|이상혁
Faker
]]
단장 [[정회윤|정회윤
Becker
]]
사무국장 송종호
프런트 문경남
감독 [[신명관|신명관
ssonic
]]
주장 [[김종명(프로게이머)|김종명
Rain1ng
]]
약칭 T1
파일:T1 로고.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우승 기록
BSC
(1회)
2021 시즌 5
EWC
KR Qual

(1회)
2024
로스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4002b><colcolor=#fff> ACTIV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재성(1998)|이재성
ZeniTh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노태영|노태영
EEND
]]
파일:crwn.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종명(프로게이머)|김종명
Rain1ng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진우(e스포츠)|이진우
Type
]]
}}}}}}}}}
팀 컬러
{{{#!wiki style="margin:0 -10px"
{{{#373a3c,#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0px"
팀 컬러
}}}}}}}}}}}}

[clearfix]

1. 개요

파일:T1 로고 화이트.svg
파일:T1_PGC2024.jpg
#Brotherhood
T1 소속 배틀그라운드 프로게임단. 팀 약자는 T1.

2021년 10월 4일에 해체하였으나, 2024년 6월 11일 Esports World Cup 참가를 위해 Beyond Stratos Gaming 로스터 전원을 영입하며 재창단하였다. #

2. 상세

SKT T1에서 공식 발표로 최병훈 감독이 롤팀 감독직을 사임하고 새로이 창단되는 팀의 감독으로 선임되었다고 기사가 나왔는데, 사람들은 현재 배틀그라운드로 예상 중이다. 만약 이게 맞다면 SKT T1이라는 e스포츠의 유서깊은 명문 대기업팀이 들어오는 것이기에 파급력이 상당히 클 것이고, 배틀그라운드 e스포츠 역시 탄력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이후 공식 발표되었으며, 창단 예정시기는 2018년 8월로 잡혔다. 그리고 2018년 4월 20일에 5월 9일까지 선수 모집을 공지했다. 또 6월 1일부터 6월 3일까지 추가 선수 모집을 발표했다.

한국의 E스포츠 명가인 SKT T1이 배틀그라운드 프로팀을 창단한다는 이야기는 단숨에 배틀그라운드 E스포츠 팬덤의 이목을 끌었다. 최초로 오피셜로 언급된 것은 OGN 게임 플러스에 출연한 T1의 오경식 단장이 17년 말부터 배틀그라운드 프로팀 창단을 고민했었고, 1월에 창단을 결심했다고 이야기한 것.( 기사) 그리고 PKL 1시즌부터 구체적인 모집 공고가 등장해서 4월에 공개모집 소식이 나왔었고, 6월부터 프로씬 스크림에서 T1의 아이디를 단 스쿼드가 테스트를 겸해서 참여하는 것이 보였다. 연습생들의 스크림 참여여서 그런지 스크림 성적은 평이했지만 그렇다고 약팀이라고 보기는 어려운 수준의 경기력을 보여줬다. 일단 6월에 스크림에 참여한 멤버가 정식 멤버라고 할 수는 없는 상황.

7월 현재 구체적으로 드러난 것은 코치로 배틀그라운드 게이머와 ZEN EVO-X의 코치였던 최정진(Toad)이 들어갔으며, # 17년 11월에 롤 T1 감독직을 사임한 최병훈이 감독으로 유력하다는 것 정도. 6월 초에 선수 추가 모집에 들어간 것을 볼 때 2팀 체제로 갈 것 같다는 추측도 나오고 있다.

T1의 배그 프로씬 합류는 기대하는 의견과 우려하는 의견이 반반인 상황인데, 일단 기대하는 의견은 모든 종목에서 전통의 강팀들을 배출한 국내 E스포츠계 최대 네임밸류를 지닌 구단인 만큼 T1의 합류 자체만으로 리그 흥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 반면 우려하는 의견은 배틀그라운드 E스포츠가 흥행 면에서 여타 종목에 비해 현저하게 부진하고 있는 만큼 T1의 합류가 그렇게 긍정적이지는 못할 것이라는 의견과 배틀그라운드 리그 자체가 강팀이라도 항상 좋은 성적을 내지는 못하는 만큼 여타 종목처럼 강팀의 모습을 보이지 못하지 않겠느냐는 의견이다. 물론 합당한 의견이지만, 흥행력이 강력한 팀이 들어오는 것은 어떤 식으로든 리그 흥행 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고, PKL 시즌 2까지 끝난 상황에서 Gen.G GOLD처럼 기복없이 좋은 모습을 보여주는 강팀은 분명히 있는 만큼 결과적으로 이 팀의 성과는 하반기 시즌에 투입될 배틀그라운드 T1이 어떤 모습을 선보이느냐에 달려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6월 초부터 스크림 경기에 등장하고 있다. 팀 약자는 SKT. 2개 팀을 운영하기로 했으나 아직 1팀만 구성한 것인지 아니면 1팀 체제로 운영하는 것인지는 불분명하다. 6월 초 추가 선수 모집을 한 것으로 보아 2팀 체제로 갈 듯 하다. 6월 초에 추가로 진행한 선수 모집에서도 인재를 찾지 못했는지 e스포츠 프로게임단 최초로 공개 오디션을 통해 팀에 합류할 연습생을 선발한다고 27일 밝혔다. # 이미 6월부터 스크림 경기에 나선 1팀은 하반기부터 공식 대회에서 볼 수 있을 전망이고, 추가로 구성할 2팀은 빠르면 2018년 4분기, 늦으면 2019년 초에나 공식 대회에서 볼 수 있을 듯하다.

예상보다 배틀그라운드 이스포츠의 인기가 부진하면서 2팀 창단 계획은 백지화되고, 단일팀 운영 쪽으로 노선이 기운 듯하다. 2019 PKL 페이즈3에서는 드디어 T1에 괴물이 있다며 소문만 무성하던 HelleN이 공식 경기 데뷔전을 치르게 되었다. 01년생이여서 만 18세 이상 출전 가능 조항 때문에 출전을 못하고 있다가 드디어 출전이 가능했는데 데뷔전에서 신인답지 않은 오더와 샷 능력을 뽐내면서 WEEK 1 1위의 호성적을 거뒀다. PKL 팬들 사이에서는 대기업 팀이 호성적을 내다보니 기대치가 꽤나 높아진 모습이다.

본래 유망주를 발굴하는 방향을 취했었으나, 베테랑 선수인 스타로드의 영입효과를 보자 PCS가 진행되는 21년도 기준으로 리빌딩의 방향을 타 팀에서 검증된 선수를 영입하는 방향으로 선회했다.

선수 영입과 방출 과정에 대해 대회 팬들에게는 일종의 인재 양성소로 취급받고 있다. 티원에서 활동하다가 성적 부진이나 폼 저하로 방출된 선수들이 이적한 팀에서 좋은 활약을 선보이는 경우가 유달리 자주 보이고 있는데,[2] 정작 티원 출신 멤버의 팀이 호성적을 낼 때 티원의 성적 부진이 이어지고 있어서 특별한 비전이나 기준 없이 선수들을 소모품처럼 갈아치우고 있는 구단 프론트에 대한 팬들의 불만이 많은 상황이다. 게다가 리빌딩에 대한 불만도 적지 않은 상황이다. 일단 리빌딩 자체야 어느 구단이든 자주 하는 것이니 그 자체로 비판거리가 되지는 않지만 티원은 유독 큰 대회를 앞두고 리빌딩을 하는 경우가 잦다는 인식이 많다. 게다가 상술했듯 방출한 선수가 폼을 되찾으면서 활약하고 있으니 팬들의 불만은 더 쌓여간다.

해체를 선언했다가 2024년 이스포츠 월드컵을 앞두고 돌연 복귀를 선언했다. 당연히 상금을 노리고 복귀한거란 의견이 많았으며, 대회가 종료되면 바로 해체할 것이라는 썰이 돌았지만, 일단 2024년 대회 전체 동안은 운영을 계속 할것으로 보이며 Type 선수도 새롭게 영입하면서 좋은 성적에 대한 기대감&그에 대한 좋은 유망주 영입이라는 투자도 하고 있다. 이번 PGC 2024에 진출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었으나, PWS 2024 Phase 2에서 3위를 기록하며 PGS 5, PGS 6 PGC 2024 자력 진출에 성공하였으며, PGC 2024 이후 왠만한 교전에 밀리지 않는 깡패팀으로 거듭난것으로 보았을때 T1 배틀그라운드 팀은 앞으로 계속 승승장구 할 것으로 보인다.

3. 주요 기록

우승 기록
PCS2 ASIA Korea Qualifier 우승
GRIFFIN T1 OGN ENTUS
BATTLEGROUNDS SMASH CUP 2021 Season 5 우승
ATA LAVEGA T1 Gen.G
EWC 2024 Korea Qualifiers 우승
대회 출범 T1 미정
준우승 기록
2019 HOT6 PUBG Korea League Phase 3 준우승
DPG danawa SK telecom T1 폐지

4. 스폰서

LEAD
파일:SK텔레콤 로고.svg
T 우주 (모기업)[3]
PREMIER
파일:삼성 오디세이 네오 로고 블랙.svg 파일:레드불 로고.svg 파일:골스튜디오 텍스트 로고.svg
Samsung Odyssey Neo Red Bull [[골스튜디오|{{{#fff GOALSTUDIO의류}}}]]
파일:SOOP 로고.svg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파일:나이키 로고.svg
SOOP Mercedes-Benz[4] NIKE
PARTNER
파일:하나은행 로고.svg 파일:스틸시리즈 로고.svg 파일:랄프 로렌 로고.svg
[[하나은행|{{{#fff 하나은행}}}]] SteelSeries Ralph Lauren
파일:KLEVV 로고.svg 파일:HSBC 로고.svg 파일:인스파이어 엔터테인먼트 리조트 로고.svg
[[에센코어|{{{#fff KLEVV}}}]] HSBC 인스파이어 엔터테인먼트 리조트
SUPPORTER 업무계약 MOU
파일:Secretlab 로고.svg 파일:OP.GG 로고.svg
Secretlab[5] OP.GG

5. 로고 변천사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파일:T1 LoL 로고.svg 파일:T1 로고.svg
2018~2019[6] 2019~2023 2024~

6. 행적

6.1. 2018 시즌

6.1.1. KT 10 기가 인터넷 펍지 코리아 리그 2018 하반기

SKT가 출전하게 되는 첫 프로 경기. 1주차 1일차 경기에는 인터뷰를 통해 강한 도발을 한 것에 비하면 평소 스크림에서 보여주던 준수한 모습과는 달리 지속적으로 초반에 멤버를 잃거나 교전 중 손해를 보는 일이 많았다. C9과의 멸망전에서 승리한 것 이외에 활약상은 거의 전무. 8킬 8점으로 종합 15위로 최하위권 성적을 내며 위클리 파이널에 진출하지 못 하고 마무리했다.

2주차에는 A조로 2일차 경기에 출전했으나 광탈을 거듭해 도합 7킬의 성적으로 최하위인 16위를 기록. 교전 능력은 분명 괜찮은 편임에도 계속해서 미끄러지는 모습을 보여 다시 위클리 파이널 진출에 실패. 네임밸류에 걸맞지 않게 상당히 혹독한 데뷔전을 치르고 있다. 김정민 해설의 설명에 의하면 최 감독이 팀에 대해서 매우 길게 바라보고 있다고 하니 스크림에서 보인 모습을 본선에서도 보여줄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되는 중.

3주차에 드디어 첫 라운드 우승을 차지하여 스크림의 폼을 공식 경기에서 드러냈으며 특히 슈퍼플레이를 지속적으로 선보인 Adder의 피지컬에 대한 평가가 매우 좋다. 좋은 기세를 타 종합 3위로 첫 위클리 파이널에 진출하였다.

5주차에는 A조로 1일차 경기에 출전, 폭발적인 기량을 보여주며 마지막 라운드에 OGN ENTUS FORCE를 제치고 PKL 시즌 2 일일포인트 전체 4위 (38점)을 달성하여 1위로 위클리 파이널에 진출하였다.

정규시즌 최종성적 17위로 결승전 진출에는 실패했다. 하지만 신생팀 치고는 준수한 성적을 보여주었다.

6.2. 2019 시즌

Phase 2부터 지수보이가 극찬한 강력한 필드 교전 능력을 바탕으로 자기장 외곽을 타면서 다른 팀들을 하나하나 닦아내면서 킬 포인트를 다수 획득하고 제프로카의 메인 오더를 통해 전력 보전 능력이 한층 업그레이드 되면서 이전보다 순위를 높일 수 있었다. 자기장 중앙이여도 적극적으로 다른 팀들의 교전 상황을 이용하거나 인원을 분산 배치해서 킬 포인트를 올리려는 것이 특징. 다만, 외곽에서 피지컬로 밀고 들어가는 메타가 여타 팀들의 상향평준화 이후 인원 소모가 극심해지면서 점수가 점점 떨어지면서 PGC 2019 이후 기량이 떨어져 국제전에 진출하지 못하는 등, 악재가 겹치고 멤버들이 대체로 신인급이다 보니 과감한 반면 흔들리는 경우가 많아서 평범한 중위권 팀이 되어가고 있었다.

6.2.1. 2019 HOT6 PUBG Korea League

파일:T1 LoL 로고.svg T1
연도 디비전 시즌 경기 점수 대미지 기절 부활 생존시간 잔류/강등 순위 상금
2019 코리아 페이즈 1 48 287 181 668.3 3.7 1.4 21:38 잔류 8위 ₩ 10,000,000
페이즈 2 48 254 171 746.4 3.4 1.1 20:53 잔류 14위 -
페이즈 3 48 358 245 831.8 4.6 1.4 20:22 잔류 준우승 ₩ 35,000,000

6.2.2. 2019 HOT6 PUBG Korea League Phase3

생일이 지나 출전이 가능해진 HelleN 안강현의 투입으로 오더가 보강되었다. 메인 오더라는 소문이 무성했는데, 실제 팀장 방송을 들어보면 제프로카가 오더를 주도한다. 헬렌과 애더가 정보 수집을 기반으로 제프로카를 뒷받침한다. 사람들은 B조의 피해자로 상대적 약팀인 티원을 지목했으나 페이즈3 초반부터 엄청난 기세로 경기를 씹어먹었다.

1주차에서 78포인트로 기존 강팀을 제치고 종합 1위를 차지했다. 헬렌의 투입으로 오더가 보강되었을 뿐더러 아카드가 괴물같은 공격력을 자랑하기 시작했다. 2주 1일차까지 데이 우승을 차지하며 기세를 이어갔다. 그러나 2주 3일차에서 12위에 머물렀고 추석으로 일주일 휴식기를 갖자 기량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모습을 보였다. 물론 젊은 팀 특성인지, 회복이 빨라 3주차까지 1위를 유지했다.

4주차까지 1위를 유지하는데 성공했으나 OGN엔투스 포스가 무서운 기세로 연속 데이 우승을 차지하며 5주차에 역전을 허용했다. SK텔레콤은 우승과 동시에 PGC 시드권 박탈 위기에 놓였다. 여기에 VSG의 도발로 멘탈이 박살날 위기까지 직면했다. 그러나 VSG 보란듯 페이즈3 마지막 날 치킨으로 깔끔하게 2위 수성에 성공, 결국 창단 첫 PGC 진출권을 따냈다. 팀장 방송을 들어보면 청심환이 큰 도움이 됐다고 한다. 아카드는 89킬로 페이즈3 최다킬을 차지했고, 티원은 245킬로 팀 최다킬을 올렸다.[7]

6.2.3. PUBG Global Championship 2019

SKT T1 배틀그라운드 창단 첫 국제대회에 입성했다. 경험이 전무한 신생 팀인 점, 나이가 어린 유망주 위주 팀인 점을 감안해 모두들 큰 기대가 없는 모양. 그러나 어찌저찌 그랜드 파이널까지 진출하는데 성공했다. 세미파이널 첫날 40포인트 가량을 먹으며 한국 팀 중 가장 준수한 모습을 보였으나, 바로 다음날 스스로 물을 엎지르며 기복 있는 모습도 보였다. 그래도 탈락하는 일 없이 그랜드 파이널로 진출했다.

최종 성적은 11위.

6.3. 2020 시즌

2020년 PCS1에서도 별다른 성과를 못 내며 약팀이 되는 듯 했는데, PCS2부터 VSG의 스타로드 이종호 선수를 메인 오더로 영입하면서 T1의 기존 스타일과 스타로드의 운영스타일을 합치면서 팀 스타일이 확연하게 변했다. 보통 스타로드의 오더에 아카드가 서브 오더로 들어가는 편이나, 에더와 헬렌 역시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낸다.

리빌딩 이후 훨씬 안전 지향적인 운영을 보여주며 특기할 만한 점은 외곽 운영 스타일의 변화인데, T1 특유의 인원 배치는 여전히 과감하지만 이전보다 더 정교하게 인원의 시야와 위치를 조절하면서 시야를 놓치는 일 없이 생존력을 최대한 끌어올리면서도 일방적으로 사격할 수 있는 각을 만드는 데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샷 능력과 개인 행동 능력이 종합적으로 강한 헬렌을 과감하게 배치해서 이득을 보는 그림이 많이 나오고 인원 손실이 있거나 자기장이 어렵게 튀어도 어떻게든 인원을 욱여넣는 모습을 보여주며, PCS2 5일차 기준 생존점수가 81점(총점 183점)으로 압도적인 생존점수를 보여주고 있다.

리빌딩 이후 T1의 스타일에서 아쉬운 점은 에란겔에 비해 미라마 운영이 약간 아쉬운 부분과 킬 점수가 여타 상위권 팀들과 비교해서도 약간 낮은 부분인데, 당장 VRLU GHIBLI가 PCS2 5일차 기준 188점으로 1위, 132킬, 생존점수 56점으로, 5일차 2위의 T1과는 완전히 상극의 운영을 보여주고 있다. 생존과 치킨이라는 안정성에 특화된 스타로드의 오더 덕분에 운영적으로 치킨에는 가까워지는 만큼 반대로 다수의 킬에는 약간 멀어지는 편이다. 킬 결정력도 약간 아쉬운 편이라 후반부 자기장에서 기절을 올릴 때마다 다른 팀들에게 빼앗기는 그림이 자주 나온다. 김동준 해설 역시 공격적인 메타를 보여주는 중국을 위시한 해외 팀들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T1이 전투 경험을 좀 더 쌓아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PCS3에서는 2에서의 활약이 무색하게 본선 진출에도 실패하는 등 고전을 면치 못했다. 1인 별동대로 다방면에서 활약하던 헬렌이 공황장애로 팀을 나가면서 활동반경이 심각하게 줄어든데다 PCS2에서 압도적인 활약을 선보인 아카드와 렉스의 폼이 심각하게 저하됨과 더불어 역시 그나마 PCS2 시절의 폼을 유지하던 스타로드와 에더까지 기복을 보인 것이 원인. 스타로드 혼자, 에더 혼자 킬을 올리는 경우도 적지 않은 수준이었고, 결국 리그가 끝난 11월 24일, 아카드와 렉스가 계약을 종료했다.

6.3.1. 2020 PCS 2 ASIA

PCS1은 본선 진출에 실패하며 위기론이 대두되었고, VSG의 오더 스타로드를 영입한 팀 리빌딩 이후 한국 대표 선발전에서 매우 안정적인 모습을 선보였다. 하루 5라운드씩 총 30라운드가 진행된 경기 1일차부터 멤버들이 전반적으로 좋은 기량을 선보이면서 심상치 않은 모습을 보여주었는데, 약점으로 지적되던 외곽에서 찔러 들어가는 운영과 뒷심에서 상당히 개선된 모습을 보여주며 기존과는 다른 모습으로 압도적인 생존점수를 가져가면서 지속적으로 상위권을 기록했고, 하루도 빠지지 않고 왼쪽 순위 안에 들어갔다. 8월 15일에 열린 67일차 경기에서 49점을 쓸어담으며 PCS2 본선 진출권 획득은 물론, 종합우승을 차지하는 데에도 성공했다. [PCS]'스타로드' 더한 T1, 선발전 우승…아프리카는 극적 진출(종합)

PCS2 ASIA 본선에서도 IFTY와 1위 자리를 놓고 싸우다 4일차에 1위를 탈환했고 5일차까지 이어갔으나 DAY 6에서 4광탈을 기록하며 TSG에게 우승을 내줬고, 3위로 마무리했다.12만표 증발

6.3.2. 2020 PCS 3 ASIA 선발전

전 시즌에서 준수한 모습을 보여주며 기대감이 컸지만 멤버들의 전반적인 기복이 커진 것인지 좋은 경로 선정에도 불구하고 초반 멤버 손실이 자주 일어났고 4:4 파이트에서 거의 이기지 못한다거나 자리를 잡고 버티지 못하고 멤버를 계속 잃는 모습이 보이며 시즌 내내 낮은 순위를 보여주었다. 더군다나 OGN에서 진행한 위클리 시리즈에서도 안좋은 모습을 보여주며 서울컵 본선 진출에 실패해서 전략 개선이 필요한 상황.

6.4. 2021시즌

21년도 PGI.S 기준으로 댕채와 아쿠아5가 들어오면서 다시 리빌딩이 이루어졌다. 영입된 두 선수가 희생플레이에 능하면서 샷 능력도 좋은 멤버들이기에 멤버간의 유기성과 상호 백업 능력을 갖추겠다는 의도로 보인다. 다만, PGI.S 시작 기준으로 '합을 맞춘지 얼마 되지 않았다'는 감독의 언급처럼 합을 맞추는 데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경기에서 멤버들이 따로 놀고 있다가 인원손실이 나는 경우가 상당히 잦아졌다. 이는 김동준 해설을 위시한 대부분의 해설들이 지적하는 사항이기도 한데, 이동중에 후발대가 잘려나가거나 초반 파밍 시점에 한명씩 잘리는 등. 후반부까지 온전한 스쿼드를 보는 경우가 거의 없을 정도로 인원보존에 애를 먹고 있고, 이는 자연히 교전에서 위축되는 결과를 가져오곤 한다. 더욱이 교전 합도 PCS2 시점의 멤버 구성에 비해 미숙한 편이다. 자기장 외곽 변수에 대한 대응도 과감함이 지나친 것인지 적 풀쿼드가 단단히 방어하고 있는 곳에 돌진하다가 4점을 헌납하는 경우가 자주 나오고 있다.

더욱이 멤버들의 기복이 돌아가면서 주사위를 굴리고 있는 점도 풀어나가야 할 숙제 중 하나인데, 에더의 경우 폼이 좋을 때는 팀을 승리로 이끄는 플레이메이커이나 공복의 에더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매 경기마다 폼이 오락가락 하고 있고, 스타로드는 PCS2 이후로 폼이 떨어져 있는 상황이며[8], 댕채의 경우 원거리 샷 기복은 거의 없는 편이나 근접전 기복이 존재하며, 아쿠아5 역시 영입 초에는 디토네이터에서 보여준 엄청냔 샷 능력을 보여주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힘이 다소 빠진 상황이다. 덕분에 팀파이트에서도 특정 멤버가 좋은 플레이를 보여도 다른 멤버에서 구멍이 나며 패배하는 그림이 심심찮게 나오고 있다.

결국 PGI.S가 끝난 이후, 창립 멤버였던 토드 감독과 T1의 마지막 원년 멤버였던 Adder 선수와 PCS2에서 오더로 영입되었던 Starlord 선수가 팀을 나가게 되었고, 곧 다른 선수가 영입되어 T1의 올해 두번째 리빌딩이 이루어졌다. 물론 2021 PGC[9]에서 시드권을 얻으려면 앞으로의 대회[10]에서 상위권의 성적을 기록해야 하기 때문에 교전력이 약하다는 평가를 상쇄시키기 위해서 리빌딩을 한 것으로 보이나, 막주차 파이널에 교전합이 올라가면서 1위를 노리기도 했고 해당 주차 한국 팀 중 가장 높은 성적을 내며 다음 시즌을 기대해볼만 했는데 또다시 리빌딩을 하느냐는 반응도 있어서 아직까지는 좋은 선택을 했는지는 미지수이다.

일단 위클리 시즌을 기준으로 새로 영입된 헐크가 전성기 VSG 시절의 기량을 내지 못하고 있고, 신인이나 다름없는 빈이 기복있는 플레이를 보이고 있는데다 전 시즌의 주포 격인 아쿠아5가 오더를 잡으면서 샷 능력이 돋보이지 못하고 있다. 그나마 댕채의 준수한 원거리 샷으로 자잘한 킬점수를 올리는 모습이지만, 치킨룰에서 팀을 승리로 이끄는 결과로는 가지 못했다. 이처럼 리빌딩 조합이 별다른 팀 색깔을 갖지 못한 상황에서 경기 내내 팀의 존재감까지 사라져버렸고 그 때문인지 PGI.S보다 수준이 낮은 대회임에도 2주차 동안 예선 치킨 획득이 좌절되며 위클리 파이널 진출에 실패했다. 멤버들의 폼을 끌어올리면서 팀 교전 능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는 평이다.

T1 출신인 아카드, 렉스, 에더 등이 다른 팀에서 좋은 모습을 선보이고 있고, 역시 T1출신 토드 감독이 코칭하는 NCT마저 심상치 않은 여포력을 선보이는 가운데 팬들은 큰 경기 직후마다 멤버들을 갈아치우는 그간의 운영 방식에 대한 불만을 드러내고 있다. 감독도 공석인 상황에서 위기를 어떻게 타개할지가 21년도 대회의 중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나마 위클리 시리즈 하반기 들어서 헐크와 빈의 기량이 돌아옴에 따라 상당히 준수한 교전력을 자랑하면서 그랜드파이널 진출에도 성공하는 등, 상당히 개선된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ATA에서 에이스로서 다시 괴물같은 피지컬을 되찾은 환이다가 T1으로 오게 되면서 부족한 팀 공격력이 보충될 것으로 보인다. 그 결과 방출된 스타로드를 제외한, 구 VSG의 전성기를 지냈던 멤버 세명이 다시 한 팀이 되었다.

그리고 PCS4에서는 아쉬운 모습이 많았지만 폭발적인 모습도 종종 보이면서 향후의 기대를 가지게 했고, 담원기아의 케일과 빈을 트레이드하면서 공격력을 강화했다. PWS페이즈 2부터는 강화된 공격력에 맞는 과감한 전략을 자주 선보이고 있다. 특히 헐크의 기량이 상당히 올라오면서 팀 전반적인 전투능력이 매우 좋아져서 약체팀이라는 평을 듣던 21년도 초중순과 비교했을 때 몰라보게 잘 싸우는 모습을 보여준다. 다만, 그 공격성 덕분인지 후반부까지 4명 인원보존을 하는 경우가 쉽사리 보이지 않는 것은 개선이 필요한 부분. 게다가 PWS 2가 4주차까지 진행된 시점 기준으로 공격성도 희석돼서 4:4 교전에서도 쉽게 전멸하고 후반부에 인원보존이 잘 됐을 때도 갈팡질팡하다가 멸망하는 그림이 계속 나오고 있다. 선수 개개인은 손색없음에도 운영이나 코칭 문제가 있는지 의심되는 부분. 팬들은 "이번에 성적을 못 내면 또 리빌딩 할거냐"며 비전 없는 팀 운영에 대해 프론트가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도통 알 수 없다며 답답해하고 있다.

6.4.1. 2021 PUBG WEEKLY SERIES: EAST ASIA Pre-Season

6.4.2. PUBG Global Invitational.S 2021

리빌딩 직후에 치르게 된 국제전으로, 새 멤버들의 활약이 기대되었으나, 6주차까지 진행된 상황에서 T1의 경기력은 그렇게 좋다고 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11] PCS3에서 보여준 기복과 초반 멤버 손실, 교전력 부족 등의 문제가 계속 드러나고 있다. 특히 경로 선정에서 아쉬울 수밖에 없는데, 과감한 중앙 지르기 전략의 성공률이 극히 낮아져 있는 상황이 T1의 광탈을 지속적으로 유도하고 있다. 좀 더 확실한 정보 취득과 기복 극복이 급선무인 상황.

PGI.S가 끝난 이후, 전체적으로 T1이 한국의 Gen.G나 Afreeca Freecs 같은 엄청난 모습을 보여주지는 못했으나, 2주차 바텀 16에서 2라운드 연속 치킨을 가져간 이후로는 꾸역꾸역 Weekly Survival에서 한번은 무조건 치킨을 차지하면서 3주부터 6주까지 4주 연속 진출이라는 나름 좋은 성과를 내었다. 그러나, weekly final에서 진출하는 라운드가 무조건 후반인 것을 보았을 때, 분명히 T1이 강팀이라는 것을 증명하지는 못했다. 그리고 Weekly Final 에서는 약한 교전력으로 다른 팀들을 만나면 쉽게 전멸당하는 일이 너무나도 많다.
마지막 주차에서는 각성하면서 5경기와 6경기를 지나면서 1위까지 오르며 유종의 미를 보여주나 했지만 뒷심이 조금 부족한 탓인지 마지막 4매치에서 순위점수를 단 1점밖에 획득하지 못하며 아쉽게 광탈하였고, 그럼에도 한국팀 중 가장 높은 7위를 기록했다. 다만 여전히 약한 교전력은 다른 대회에서도 T1의 발목을 잡을 것으로 보인다.

6.4.3. 2021 PUBG WEEKLY SERIES: EAST ASIA Phase 1

6.4.4. PUBG Continental Series 4 Asia

6.4.5. 2021 PUBG WEEKLY SERIES: EAST ASIA Phase 2

PGI.S 이후 지속적인 리빌딩을 통해 반등을 꾀하고 있다. 환이다의 영입과 담원기아의 케일을 빈과 트레이드해오며 화력을 보충하면서 확실히 교전력에서는 준수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페이즈2 초반부에는 과도한 공격성으로 인한 인원보존 실패로 공격적인 메타가 성과를 보이지 못하자 중후반부 들어서는 전략이 다시 바뀌었는데, 역으로 인원보존도 못하는 미묘한 운영에 더해 공격력도 약해져서 4:4 파이트에서 이기는 모습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팀 전력이 약체화된 상황이다.

당장 PWS2 들어서 아무리 일본팀들의 기량이 오르고 있다고 해도 한국팀 대비 상대적 약체팀으로 분류되는 ZETA와의 4:4에서도 아무런 트레이드조차 하지 못하고 일방적으로 전멸당하거나(4주차 서바이벌 1매치) 2:4로도 전멸당하는 충격적인 모습과(4주차 파이널 9매치) 4주차 위클리파이널 마지막 경기에 돌산 남쪽 2층집에서 인원보존을 잘 했음에도 연막속에서 우왕좌왕하다가 전멸당하는 그림에 많은 시청자들이 허탈해하기도 했다. PGI.S의 약한 모습이 리빌딩 이후에도 그대로 재현되고 있는데, 분명 강한 교전력을 보였던 팀이 귀신같이 약해진 것을 보면 운영이나 코칭 부분에서 삐걱거리고 있는 것이 아닌가 의심되는 부분.

전략 실패가 겹치면서 PCS5 진출에 빨간불이 켜진 상황인데, PWS2 5주차에서 T1은 반드시 위클리 파이널 진출과 파이널 치킨이 필요한 상황이다. 만약 5주차에서도 치킨 획득에 실패해서 PWS 그랜드파이널 진출에 실패하게 되면 PCS5, PGC까지 진출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남은 21년도를 생으로 날려야 하기 때문이다. 팬들은 그렇게 되면 가뜩이나 리빌딩을 자주 하던 T1이 아예 팀 자체를 터트릴 수도 있다는 우려를 하고 있다.

결국 8월 20일에 열린 와일드 카드에서 멤버들의 분전에도 불구하고 킬점수는 제법 먹었으나 치킨이 전부 좌절되면서 위클리 파이널 진출에 실패하면서 2021 시즌을 마무리 지었다. 당장 국제전인 PCS 5와 PGC까지 진출을 못해 팀 존속의 위기에 처해있다고 봐야 하는 심각한 상황이 되었다. 가뜩이나 에이펙스 팀이 해체된지 사흘밖에 안되는 시점이었는데, 배그팀과는 달리 폼이 매우 좋은 팀이었고, 배그팀은 그보다 횔씬 상황이 안좋다. 심지어 T1에서 나간 선수들이 속해있는 팀인 다나와, 이엠텍, 아프리카, 담원, E36이 전부 그랜드 파이널 가시권을 앞두고 있기 때문에 팬들은 T1의 형편없는 프론트의 안목과 무능한 코치진을 비판하는 중.( ##, ##, ##)

6.4.6. 배틀그라운드 스매쉬 컵 2021 시즌 5

2021년 9월 4일 ~ 9월 5일에 열린 대회. 토탈 포인트 90점을 기록한 팀이 승리하는 스매시컵에서 갑자기 달라진 모습을 보여주었다. 오더가 아쿠아5에서 환이다로 다시 바뀌면서 PWS2 초반에 보여준 여포력이 다시 나오면서 킬을 쓸어담으며 우승을 차지했다. 글로벌 대회인 PCS5와 PGC가 좌절된 상황에서 이룬 성과인 만큼 팬덤에서는 긍정적인 반응과 아쉬운 반응이 동시에 나오며 포인트 제도를 다시 도입할 22년도 시즌을 기대하게 만들었다. 그런데...

6.5. 해체

2021년 10월 4일, 공식 SNS를 통해 해체를 발표했다. #

사실 9월 PWS에서 처참한 성적으로 탈락하는 바람에 2021 PGC 진출이 좌절되면서 대규모 리빌딩 혹은 해체는 예견된 수순이기는 했지만, 그런 부진조차도 창립 멤버였던 최정진 감독을 경질하는 등 PGI.S부터 탈티(입티) 효과라는 조롱을 받을 정도로 프런트의 이해할 수 없는 멤버 영입과 방출, 더불어 우왕좌왕하며 제대로 된 전략을 세우지 못한 코치진의 무능한 전략 문제가 적지 않았던데다 9월에 열렸던 유사 포인트 룰 대회인 스매쉬 컵에서 우승하며 준수한 모습을 보이며 다시 포인트 룰을 적용할 예정이었던 2022 시즌을 충분히 기대하게 만들었던 팀을 곧바로 없애버린 것에 대해서 프런트를 비판하는 여론이 높은 상황이다. 더군다나 2019년 PGC 진출, PCS 2의 호성적 등으로 팬덤이 늘어난데다 과거 인기 팀이던 VSG의 멤버들을 데려오면서 적지 않은 팬덤을 보유한 팀이었던 만큼 더욱 아쉬워하는 의견이 많이 나왔다.

이처럼 대부분의 팬덤들이 비정상적인 운영 끝에 해체를 해버리는 프런트의 행각에 대해 비판하는 한편, 2021년의 배틀그라운드 리그 자체가 중국 내 PUBG 리그 전부 폐지 및 스트리밍 금지라는 초대형 악재가 터졌고 펍지의 막대한 삽질로 인해 안 그래도 투자 대비 이득이 안 나오는 리그가 더 축소되어 버리는 바람에 PUBG 리그에서 T1이 손을 떼는 건 당연하다는 반응도 있는 편이다. 당장 PUBG: BATTLEGROUNDS/e스포츠 항목을 보면 2021 시즌을 기준으로 작년 대비 시청자가 50% 이상 줄어들었고, 방만한 운영진의 태만 및 소통 부재로 인한 많은 선수와 팀들이 은퇴 및 해체를 하고 있다. 펍지 측의 삽질로 인해 리그의 미래를 걱정해야 하는 수준이 된 상황인데다 해체 이후 소위 근본 선수라고 불리던 댕채와 아쿠아5가 은퇴하면서 팬덤에서는 더더욱 아쉽다는 의견이 나오는 상황.

6.6. 2024 시즌

Esports World Cup 2024에 참여하기 위해 Beyond Stratos Gaming 선수들을 영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T1 공식 트윗

기대하는 의견도 존재하지만, 사실상 다른 팀을 통째로 사와서 EWC에만 참여하겠다고 선언한 상황이라 배틀그라운드 e스포츠 팬덤 사이에서는 과거 인기 팀을 해체해놓고 큰 대회를 앞두고 은근슬쩍 다시 돌아온 것이냐며 부정적인 반응이 다수 등장한 상태이다. # # T1 측에서도 부정적인 여론이 형성된 것을 인지하고 있는지 데일리e스포츠 기사를 통해 대회 이후에도 배그 팀을 운영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6.6.1. Esports World Cup 2024: Korea Qualifier

그랜드 파이널에서 압도적인 경기력을 뽐내며 1위로 EWC에 진출함과 동시에 PGC 포인트 80점까지 받아가며 완벽한 복귀식을 치렀다.

6.6.2. Esports World Cup 2024

6.6.3. 2024 PUBG WEEKLY SERIES: Phase 2

6.6.4. PUBG Global Series 5

6.6.5. PUBG Global Series 6

6.6.6. PUBG Global Championship 2024

PGC를 대비해 다나와의 신명관 감독이 부임해 PGC 기간동안 팀을 이끌게 되었다.
첫날 서킷 1 1라운드에서 예상치 못하게 매우 부진한 경기력을 보이며 탈락 위기에 몰렸지만, 마지막 6매치에서 극적으로 커트라인에 올라서며 생존했다.
서킷 1 2라운드에서 전날과는 완전히 상반된 경기력을 보여주며 일찌감치 내일 경기 진출을 확정지었다. 1매치에서 Type의 슈퍼플레이를 통해 2위로 첫경기를 기분좋게 시작하였고, 준수한 경기력을 유지하다가 4매치에서 치킨까지 획득하며 T1의 경쟁력을 제대로 보여주었다. 2일차를 2위로 마무리하며 전날의 12위에서 수직상승하였다. 인터뷰에서 밝히기로, 특출나지 않은 운영을 중시하기보다 강점인 교전력을 살리는 방향으로 팀 전략을 수정하였는데 이게 제대로 적중하여 좋은 결과를 얻은 것으로 보인다.

서킷 1 파이널에서도 전날에 이은 각성한 경기력을 이어갔다. 특히 3매치에서는 출혈이 있긴 했으나 페이즈 클랜과의 랜드마크 멸망전을 훌륭하게 처리해내었고, 4매치에서는 어느 팀에도 밀리지 않는 교전력을 바탕으로 14킬 치킨을 획득하였다. 이후에도 경기력을 꾸준히 유지하며 2위로 마치며 서킷 2 파이널 직행티켓을 따냈다. 파이널에서는 물오른 교전력으로 킬포인트를 쏠쏠하게 따냈다. 서킷1의 호성적에 더해 사실상 그랜드파이널 진출 확정권에 가까운 점수를 확보한 후부터는 치킨을 노리는 운영보다는 적극적으로 랜드마크 멸망전이나 상대팀 제거에 임하는 플레이를 보였다. 다만 이런 방식으로 인해 6매치에서 순위가 역전당해 서킷 3은 1라운드부터 시작하게 되었다.

지난 서킷들의 호성적으로 그랜드파이널 진출을 사실상 확정지은 상황이어서인지 서킷 3 1라운드부터 임전무퇴의 교전 위주 플레이를 마음껏 펼쳤다. 교전이 펼쳐지면 뒤로 빠지지않고 무조건 맞받아치면서 확실히 각성한 교전력으로 되려 상대팀을 잡아버리는 모습을 연신 보여주었다.

그랜드파이널 첫날. 필드의 싸움개 모습을 강렬하게 보이며 교전으로 경기를 계속 풀어나가며 호성적을 기록해나갔다. 순위점수는 8점 뿐이지만 오로지 킬점수로 득점을 올려 첫날을 3위로 마무리 지은 것이 그 증거. 교전에서 강팀인 것을 더할나위 없이 보여주었기에 이후 경기에는 좀더 순위점수를 확보하는 방향이 필요한 상황이다.

그랜드파이널 2일차. 1매치와 3매치에서 치킨을 뜯으며 부족했던 순위포인트를 챙겼다. 특히 3매치는 1명이 일찍 짤린바람에 광동과 3 vs 4의 불리한 구도였음에도 불구하고 치킨을 획득하며 저력을 보였다. 6매치 역시 중반부부터 2명의 인원만이 남았지만 EEND의 슈퍼플레이와 ZeniTh의 포탑플레이로 끈질기게 버텨내며 킬포인트를 쏠쏠하게 챙기고 2위를 따내며 그랜드파이널 1위로 올라서며 일정을 마쳤다. 2일차에서 킬/데미지/생존시간 모두 1위를 오르며 대단한 경기력을 증명했다.

그랜드파이널 3일차. 번번히 발목을 잡히며 점수를 치고 나가지 못했고 결국 5매치에서 역전을 당하며 5위 대회를 마무리했다. 전날까지의 좋았던 분위기를 이어가지 못한건 몹시 아쉬웠지만 지난 PGS5, 6보다 월등히 좋았던 모습을 보이며[12] 세계 어느 팀과 비교해도 꿇리지 않는 모습을 보인것은 괄목할만한 결과다.

7. 구성원

7.1. 로스터 연혁

로스터 연혁
<rowcolor=#fff> ID 이름 이전 소속 입단 탈퇴 이적
Raeng 김성진 N/A 2018년 8월 12일 2018년 9월 28일 파일:OGN_Entus_Acelogo_square.png OGN ENTUS ACE
Daze 박찬혁 2019년 1월 24일 파일:AW-Logo-sc.png Asura Walk
PLIKHE 김성민 파일:teamexl.png EXL-GAMING 파일:GEEKSTAR.Eclipse.png Geekstar_PDV
Adder 정지훈 N/A 2021년 3월 31일 파일:VRLU_GHIBLI_logo.png GPS GHIBLI
JeffLocka 최승영 2020년 6월 30일 파일:Danawa e-sports logo.png Danawa e-sports
NOLF 윤성호 2019년 1월 1일 은퇴
Nana 이학일 2019년 2월 8일 2019년 5월 13일 파일:OP_Gaming_Ardor_std.png.png OP GAMING Ardor
TiHyong 김태형 2019년 6월 30일 은퇴
HelleN 안강현 2020년 10월 14일 파일:Kim-Pirates.png Kim-Pirates
Akad 임광현 2020년 11월 24일 파일:Afreeca Freecs 로고(2016-2020).png Afreeca Freecs
Treasure 이하늘 2019년 5월 13일 2020년 5월 2일 은퇴
Rex 김해찬 2020년 1월 14일 2020년 11월 24일 파일:Danawa e-sports logo.png Danawa e-sports
HowL 박민성 파일:FarmPC_e-sports_symmetrylogo.png FarmPC E-sports
Draft 김동환 파일:Griffin_Red_logo.png Griffin Red 2020년 2월 8일 2020년 4월 2일 파일:emtek-stormx-e-sports.png emTek StormX
Starlord 이종호 파일:Team_VSG.png VSG 2020년 7월 8일 2021년 3월 31일 파일:ENTER FORCE36_only_logo.png ENTER FORCE.36
Aqua5 유상호 파일:Gen.G 로고.svg Gen.G 2021년 1월 4일 2021년 10월 4일 파일:BGP_logo.png BGP
Daengchae 김도현 파일:Afreeca_Freecs.png Afreeca Freecs
BeaN 오원빈 파일:FarmPC_e-sports_symmetrylogo.png FarmPC E-sports 2021년 4월 7일 2021년 6월 28일 파일:DWG KIA 엠블럼.svg DWG KIA
Hulk 정락권 파일:Team_VSG.png VSG 2021년 4월 8일 2021년 10월 4일 은퇴
Hwan2da 장환 파일:ATA라베가-로고2.png ATA LAVEGA 2021년 6월 1일 파일:ATA LOGO (Original-LightStripe).png ATA
kAyle 정수용 파일:DWG KIA 엠블럼.svg DWG KIA 2021년 6월 28일 파일:BC_SWELL.png BC SWELL 발로란트
DAEVA 이성도 파일:Beyond Stratos Gaming full.png Beyond Stratos Gaming 2024년 6월 11일 2024년 9월 14일 N/A
ZeniTh 이재성
EEND 노태영
Rain1ng 김종명
Type 이진우 파일:IFYOUMINE_GAME_PT.png GAME PT 2024년 9월 2일
주전 멤버는 볼드체

7.2. 스태프 연혁

스태프 연혁
<rowcolor=#fff> ID 이름 역할 이전 소속 입단 탈퇴 이적
cCarter 최병훈 감독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SK telecom T1 리그 오브 레전드 2018년 8월 12일 2020년 3월 3일 파일:T1 LoL 로고.svg T1 도타 2
Toad 최정진 감독[13] 파일:amd-ryzen-am4.png ZEN EVO-X 코치 2021년 3월 31일 파일:No Comment 2021.png NO COMMENT 코치
Seok 장민석 코치 파일:Team_VSG.png VSG 2020년 12월 30일 2021년 10월 4일 파일:BGP_logo.png BGP
Alphaca 방지민 감독 파일:Last Dance Logo.png Last Dance 선수 2024년 6월 11일 2024년 11월 15일 N/A
ssonic[임대] 신명관 감독 파일:Danawa e-sports logo.png DANAWA ATTACK ZERO 2024년 12월 3일

8. 성적

파일:T1 로고.svg
기간 순위 대회 획득 상금
2018년
2018.11.23 17위 KT 10 기가 인터넷 펍지 코리아 리그 2018 하반기 - 정규 시즌 -
2019년
2019.03.23 8위 2019 HOT6 PUBG Korea League Phase 1 ₩ 10,000,000
2019.06.29 14위 2019 HOT6 PUBG Korea League Phase 2 -
2019.10.12 2위 2019 HOT6 PUBG Korea League Phase 3 ₩ 35,000,000
2019.11.24 11위 PUBG Global Championship 2019 $40,000[15]
2019.12.22 6위 서울컵 OGN 슈퍼매치 2019 -
2020년
2020.01.19 15위 인텔 배틀그라운드 스매쉬 컵 2020 -
2020.03.14 5위 PGS: Berlin Korea Qualifier -
2020.03.31 16위 Battlegrounds Weekly Series 2020 - Phase 1 Week 1 -
2020.04.21 3위 Battlegrounds Weekly Series 2020 - Phase 1 Week 4 -
2020.04.28 9위 Battlegrounds Weekly Series 2020 - Phase 1 Week 5 -
2020.05.09 10위 배틀그라운드 스매쉬 컵 2020 시즌 2 -
2020.06.10 8위 PCS 1 ASIA Korea Qualifier -
2020.08.15 1위 PCS 2 ASIA Korea Qualifier ₩ 20,000,000
2020.09.09 3위 PCS 2 ASIA $12,000[16]
2020.10.10 11위 PCS 3 ASIA Korea Qualifier -
2020.10.13 11위 Battlegrounds Weekly Series 2020 - Phase 2 Week 1 -
2020.10.20 9위 Battlegrounds Weekly Series 2020 - Phase 2 Week 2 -
2021년
2021.01.24 13위 2021 PUBG WEEKLY SERIES: EAST ASIA Pre-Season -
2021.03.28 20위 PUBG Global Invitational.S 2021 $59,072[17]
2021.05.23 8위 2021 PUBG WEEKLY SERIES: EAST ASIA Phase 1 ₩ 3,000,000[18]
2021.05.30 7위 배틀그라운드 스매쉬 컵 2021 시즌 4 ₩ 1,000,000[19]
2021.06.06 24위 Bilibili PUBG Asia Cup -
2021.06.27 10위 PCS 4 ASIA $6,000[20]
2021.07.12 11위 TMC Global Invitational 2021 ¥ 14,800[21]
2021.07.18 5위 2021 인천 챌린지 컵 -
2021.08.29 17위 2021 PUBG WEEKLY SERIES: EAST ASIA Phase 2 -
2021.09.05 1위 배틀그라운드 스매쉬 컵 2021 시즌 5 ₩ 15,000,000
2024년
2024.07.14 1위 Esports World Cup 2024: Korea Qualifier -
2024.08.25 19위 Esports World Cup 2024/PUBG: BATTLEGROUNDS $ 15,000[22]
2024.09.14 3위 배틀그라운드 스매쉬 컵 2024 시즌 11 -
2021.08.29 3위 2024 PUBG WEEKLY SERIES: Phase 2 ₩ 10,000,000
2024.10.27 16위 PUBG Global Series 5 $5,000[23]
2024.11.10 24위 PUBG Global Series 6 $2,500[24]
2024.12.22 5위 PUBG Global Championship 2024 $78,000[25]
2025년

9.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8px"
2024 연간 시드 프로팀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DN 프릭스 로고.svg 파일:Danawa e-sports logo.png 파일:Dplus KIA 로고.svg 파일:Dplus KIA 로고(화이트).svg
Gen.G DN FREECS DANAWA ATTACK ZERO Dplus KIA
파일:T1 로고.svg 파일:gnl-esports.png 파일:Game_Coach_Academylogo_square.webp 파일:IFYOUMINE_GAME_PT.png 파일:IFYOUMINE GAME PT White.png
T1 GNL ESPORTS GameCoach Academy IFYOUMINE GAME PT
파일:PENTAGRAM_2023_allmode.png 파일:PENTAGRAM_2023_allmode_white.png 파일:e-sports FROM DAEJEON LOGO.png 파일:e-sports FROM Logo White.png 파일:Eagle_Owls_allmode_2022.png 파일:Sentinel_KR_allmode.png
AZLA PENTAGRAM e-sports FROM DAEJEON Eagle Owls Sentinel
배틀그라운드 대한민국 아마추어 게임단 | 전체 배틀그라운드 프로게임단 }}}}}}}}}}}}

{{{#!wiki style="margin: -10px" <table width=320><tablebordercolor=#171043><tablebgcolor=#fff> 파일:BSC_KR_darkmode.png 배틀그라운드 스매쉬 컵
역대 우승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2020 시즌 1 2020 시즌 2 2020 시즌 3 2021 시즌 4
파일:Danawa e-sports logo.png
Danawa e-sports
파일:Team_VSG.png
VSG
파일:Griffin_2020.png
GRIFFIN
파일:ATA라베가-로고2.png 파일:ATA라베가-로고.png
ATA LAVEGA
<rowcolor=#fff> 2021 시즌 5 2022 시즌 6 2022 시즌 7 2023 시즌 8
파일:T1 LoL 로고.svg
T1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Gen.G
파일:Group 1047.png 파일:Game PT White.png
GAME PT
<rowcolor=#fff> 2023 쇼다운 2023 시즌 9 2024 시즌 10 2024 시즌 11
파일:gnl-esports.png
GNL ESPORTS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Gen.G
파일:e-sports FROM Logo.png
e-sports FROM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Gen.G
}}}}}}}}}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0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02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컴캐스트와 파트너십 체결 후 서머 스플릿부터 기존의 이름에서 T1으로 변경하였다. 로고는 2020년에 변경되었다. [2] 탈쥐효과의 원인과 마찬가지로 무능한 코치진과 근시안적인 프론트가 문제라고 지적되고 있다. 아예 팬덤에서는 '입티효과', '탈티효과'라는 단어를 쓰며 조롱하는 중. [3] SK텔레콤의 구독 서비스. [4] 본사가 아니라 한국 지사인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에서 후원한다. [5] 게이밍 체어를 전문으로 하는 싱가포르 의자 제조사. [6] SK telecom T1 [7] https://www.pubgesports.kr/front/notice/detail?postId=1061&postType=NOTICE&page=&postTag= [8] PCS에서 준수한 샷을 보여줬던 것이 무색하게 냉정하게 PGI.S에서 근접전을 이기는 경우가 매우 적을 정도로 근접전 폼은 극악이다. [9] PUBG Global Championship [10] PWS1, PCS4, PWS2, PCS5 [11] 물론 PWS: EA Pre-season 에서 보여준 경기력때문에 기대치는 낮아질 대로 낮아진 상황이었다. [12] 글로벌 배팅사이트에서 T1의 우승가능성은 뒤에서 2등-배당률 126배라는, 말 그대로 광탈이 정배였던 팀이었다. [13] 코치 → 감독 직책 변경. [임대] [15] 2019년 11월 25일 환율 기준 4706만원 [16] 2020년 9월 9일 환율 기준 1425만원 [17] 2021년 3월 26일 환율 기준 6683만 9968원 [18] WWCD 상금 3,000,000원 [19] WWCD 상금 1,000,000원 [20] 2021년 6월 25일 환율 기준 677만 1000원 [21] 2021년 7월 12일 환율 기준 262만 1820원 [22] 2024년 8월 25일 환율 기준 1987만 3200원 [23] 2024년 10월 27일 환율 기준 699만 1000원 [24] 2024년 11월 10일 환율 기준 349만 5500원 [25] 2024년 12월 22일 환율 기준 1억 1316만 474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