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6 14:50:04

Mr. Incredible Becoming Uncanny

Uncanny Meme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밈에 등장하는 캐릭터에 대한 내용은 로버트 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희망편에 대한 내용은 Mr. Incredible Becoming Canny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Mr. Incredible Becoming Uncanny/파생 밈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유래3. 쓰임새4. 문제점 및 비판5. 상세 밈
5.1. 1단계, 원본 (1~10페이즈)5.2. 2단계, 확장판 (11~18페이즈)5.3. 추가 확장판 (Roll th8 Die 포함)
6. 설명
6.1. 밈의 확장6.2. 밈의 활용
7. 파생 밈8. 여담

[clearfix]

1. 개요

Traumatized Mr. Incredible 또는 People Who Don't Know vs. People Who Know에서 시작한 밈이다.[1]

2. 유래

트위터 유저 Nathan Shipley가 영화 인크레더블 2 등장인물 4명인 대쉬 파, 헬렌 파, 로버트 파, 그리고 윈스턴 데버 컨셉아트를 StyleGAN 인공지능 소프트웨어로 실사체 스타일로 재구성한 이미지 #에서 유래되었다.[2]

처음엔 로버트 파 그림으로 두 가지를 비교하는 용으로 쓰이다가 2020년 11월 10일 레딧 유저 PARILIZEDpArrOT243가 학교에서 선생님의 문서 & 학생이 받은 것[3]라는 이름으로 실사화된 오른쪽을 무섭게 흑백화한 짤을 올린게 이 밈의 시작이 되었다.

3. 쓰임새

원본 이미지와 흑백화한 실사화 이미지를 비교하려는 두 가지 대상에 대응시켜 고퀄리티와 저퀄리티의 대립을 표현하거나, 겉만 보면 멀쩡해보이지만 속은 잔혹한 작품을 모르고 있는 사람 vs 알고있는 사람 식으로 ( 예시 #) 쓰이는 경우가 많았다. 반대로 로버트 파 이미지들의 순서를 바꿔놓은 버전들도 나타났다. 또한 점차 사용되는 양식이 많아짐에 따라 두 가지 시나리오/상황을 비교하는 경우도 생겼다. 이 경우에는 원본 이미지가 좋은 상황을 나타내면 기괴해진 흑백 이미지는 영 좋지 않거나 나쁜 상황을 나타내는 경우로 많이 쓰인다. 2021년 말부터는 이 사진들을 활용해서 만든 하단에 나오는 영상 버전이 유행하기 시작했고, 2022년에는 거기서 파생된 버전들도 나와서 유행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두 이미지를 나란히 놓고 비교하는 내용이라 만드는 난이도가 무척 쉬워서 초보자들도 손쉽게 제작할 수 있고, 이런 점 때문인지 '영상'이 유행한 지 2달이 넘도록 인기가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여기에 파생 버전들도 더 만들어지는 상황이라 evolving Meme (진화하는 밈) 이란 별명까지 생겼다.

게다가 로버트뿐만 아니라 다른 가족 구성원들의 실사화 사진을 가지고 만든 버전들도 서서히 등장하고 있으며, 아예 다른 픽사 캐릭터나 옐레나를 비롯한 다른 작품의 캐릭터들을 대상으로 만든 버전들도 생기는 듯 하다. 이런 인기 때문에 한국과 일본에서도 점점 사용되고 있으며, 중국의 경우 틱톡에서 이러한 것들을 빠른 속도로 양산하고 있다.

2023년부터는 거의 유행이 식어 잘 보이지 않는다. 그마저도 비슷한 성격의 밈인 Pizza Tower 에 밀려 거의 전멸하였다. 과거 Uncanny 밈을 양산하던 채널들도 이젠 Pizza Tower 등의 다른 밈을 양산중이다.

얼마 안 되긴 하지만 그나마 계속 쓰이는 이유라면 템플릿의 길이 연장하기, 혐짤, 갑툭튀 등의 저연령층이 좋아할 만한 유치한 뇌절을 할 수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2023년 중반 이후부터는 일부 창작 템플릿에서 Brainrot 밈이 가미되거나 disturbing facts의 내용으로 쓰는[4] 모습을 보인다.

2024년 중후반에 들어서 인기가 상당히 식긴했어도 xQc, Wojak과 함께 감정표현 리액션의 대명사 자리가 어느정도 굳긴 한건지, 인크레더블 밈의 뼈대는 보이지 않아도 밈에 사용되는 사진은 리액션용으로 간혹 보이곤 한다. 반대로 음원만 쓰이는 경우도 있는데 밈을 모르는 사람들에겐 섬뜩하게 들린다.

4. 문제점 및 비판

밈이 한국에 수입된 이후 소위 잼민이 급식충의 질 낮은 영상이 계속 양산되고 있어서[5][6] 결국 다른 밈들처럼 억지 밈으로 전락해버리고 말았다. Trollge는 공포의 대상으로 바뀌기는 했지만 몇몇 인기없는 영상 외에는 막장 스토리로 장난 치는 경우는 이것보다 훨씬 적기 때문에 인기가 식지 않는다. 사실 Trollge 처럼 십 년 넘게 인기를 얻기도 쉬운 건 아니지만, 이 밈은 갑자기 확 떡상해서 유튜브 플랫폼을 휘젓다가 갑자기 몇 달 만에 검색하지 않는 이상 유령처럼 사라져버렸고, 아예 이 밈 자체를 취급도 안 해서 그런지 심지어 저연령층 중에서도 모르는 경우도 많다. 서양권에서도 한국 못지 않게 심한 질 낮은 영상이 양산되고 있다.[7] 파생 밈 문서에 서술할 Mr. Incredible Becoming idiot이나 Mr. Incredible Becoming Uncanny - disturbing facts의 경우 동영상들 간의 내용 중복이 많아서 질리는 사람이 많다.

굳이 저질 밈이 아니더라도 며칠만에 보기 싫어졌다고 하는 사람들도 꽤나 있는데, 역시 여느 밈처럼 너무 커져버린 인기와 똑같은 레퍼토리를 계속 반복하는 것 때문인 듯. 특히 고퀄리티 편집에 익숙한 경우라면 펀치라인 없이 천천히 얼굴이랑 텍스트만 보여주는 게 계속 보이면 텍스트의 스토리가 워낙 창의적이지 않은 이상 식상하게 느껴졌을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이 영상 올리는 사람들은 대부분 병맛을 즐기는 저연령층 이어서 그런지 컴퓨터에 소질이 있는 상위 1% 저연령층이 아닌 이상은 저퀄리티 영상이 대부분이다. 밈의 단순한 구성상 일부러 고퀄리티로 구성하기도 어렵다.

또한 외국에서도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주제로 한 영상들이 급격히 늘어나기 시작했는데, 이를 두고 일각에선 전쟁 유머로 풀어낼 우려 고인드립으로 비춰질 우려가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국내에서는 한 틱톡 유저가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와 비슷하게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를 해당 밈으로 풀어낸 영상(삭제됨), 그리고 도카이 촌 방사능 누출사고를 다룬 영상(삭제됨)도 있다. 게다가 이태원 압사 사고 ( 영상) 를 다루기도 하였다. 이런 영상들은 고인드립이 아니냐며 비판이 크다.[8]

2022년 5월 이후로는 페이즈가 쓸데없이 길어지고 거의 다른 혐짤들이 쓰여져 로버트 파가 없는 Mr. Incredible Becoming Uncanny가 되며 뇌절 밈이 되었다.[9][10] 원래 더 무서워져야할 밈인데, 후반으로 갈수록 주관적으로 봐도 공포의 정도가 들쑥날쑥하고, 인크레더블의 모습은 어디에도 없는 해골, 귀신, 괴물 등 무서운 이미지를 흑백화시킨 성의없는 페이즈들도 등장한다. 이 뿐만 아니라 Mr. Incredible Becoming Canny에서도 10 페이즈 마지막에 매우 좋지 못한 상황을 넣어서 반전성 내지 억지성 밈을 양산함으로서 인크레더블 밈의 개연성과 전통성을 깨뜨리기까지 한다. 이렇다보니 인크레더블 밈을 좋아하나, 뇌절을 싫어하는 유저들은 대부분 높게 줘봐야 2단계까지만 인정하는 편. 게다가 페이즈에 대한 정확한 정의도 없어서 이런 것과 초 확장판이 충돌하기도 한다.

이러한 몰락에 못을 박은 게 바로 MrDweller라는 채널으로, 자극적인 클릭 유도 썸네일과 보기 싫게 온갖 방법으로 찡그린 얼굴들, 말도 안 되는 상황 설명 등으로 주목을 받고 신랄하게 까였다. 사실, 그냥 돈벌이용으로 만든 채널에 가깝다. 거의 매일 영상이 올라왔으나, '도네 주면 채널 삭제함' 식의 낚시 스트리밍을 한번 한 후로 조금 올리다 잠적했다.

또한 이 밈으로 살기 좋은 지역과 반대되는 지역 등을 평가하는 맵핑 시리즈도 문제가 되는게, 이 시리즈 중 canny로 평가된 지역이면 모를까 uncanny로 평가된 지역 출신 사람들이 불쾌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또한 오하이오 등 밈과 결합해 오하이오 주에만 uncanny 페이즈 100을 박는 등 억지 밈 특유의 뇌절까지 보여주고 있다.[11]

또한 '소름돋는 사실' 시리즈[12]도 문제가 있는데, 정확하지 않은 정보를 긁어와 영상에 집어넣는 영상들이 많으며, 심지어 그런 정보가 얼마나 많은지 이 장르 영상을 가져와 팩트 체크하는 하위 장르도 생긴 상태.

이러한 문제점들 때문에 2023년 후반 기준 유튜버들도 대부분 빠져나오고, 옛날부터 이 밈을 주 컨텐츠로 했던 저연련층 유튜버들중 아직 안 접고 활동을 이어나가는 일부분이나, 추억 회상 용도로 이 밈을 올리는 유튜버 등을 제외하면 영상이 잘 안 나오고 죽어버린, 현재는 아는 사람만 아는 밈이 되었다.

5. 상세 밈

5.1. 1단계, 원본 (1~10페이즈)

1 0:00 원본 이미지
가장 평범한 상태를 나타낸다.
마이클 지아키노 - Life's Incredible Again[13]
(인크레더블 테마곡)
2 0:03 StyleGAN 인공지능 소프트웨어로 실사화 스타일로 재구성한 이미지[A] #
무난한 상태를 나타낸다.[15][16]
Kevin MacLeod - Sneaky Adventure
3 0:07 실사화를 흑백화시킨 버전
여기서부터 6페이즈까지 해당 원본에서 유래되었다.
마이클 지아키노 - Life's Incredible Again - distorted
( 귀갱으로 변조된 인크레더블 테마곡)
4 0:10 구형: 셀레네 델가도 로페즈 괴담의 데릭 토드 리의 얼굴과 길쭉하게 만든 3페이즈를 합성한 짤
신형: 길쭉하게 만들지 않은 3페이즈에 데릭 토드 리의 얼굴을 합성한 사진 [17]
자살하는 쥐 테마곡[18]
5 0:13 구형: 길쭉하게 만든 3페이즈에서 눈을 지운 사진
신형: 3페이즈에서 눈만 지운 사진. 3페이즈하고 구별이 어렵다.
6 0:17 구형: 4페이즈 구형에서 명도를 낮추고 눈과 입을 지운 사진
신형: 4페이즈 신형에서 명도를 낮추고 눈을 파낸 사진. [19][20]
7 0:19 5페이즈에서 더욱 명도를 낮춘 사진 [21] 시베리아 지하의 지옥 비명 #
8 0:24 구형: 입이 기괴하게 일그러진 로버트 파의 일부
신형: 구형의 화질을 높이고 기괴한 입을 로버트 파 전체까지 늘린 사진
최신형: 그냥 3페이즈를 스케치화한 사진
Repulsive - Cry of unheard
9 0:30 구형: 입을 크게 벌린 검은빛 해골이 로버트 파 전체까지 확대된 사진
신형 : 구형보다 조금 흰빛이 돌고 2페이즈의 흔적이 남는 사진
Sonic.exe - Hill
9.5 확장판 없음[22] 어두운 화면에 있는 로버트 파의 눈알[23] 알레산드로 모레스키 - Ave Maria
10[24] 0:44 구형: 굉장히 슬퍼보이는 Trollge [25]
신형: 구형보다 밝은 색상에다가 화질이 높아지고, 표면이 매끄럽고 동글동글해진 모습
더 케어테이커 - 'It's just a burning memory'의 변형 #
( 알 보울리의 Heartaches 리믹스를 느리고 암울하게 변조시킨 버전)

5.2. 2단계, 확장판 (11~18페이즈)

8.5 없음[26] - 소리
11 0:54 우울하고 비참해 보이는 모습으로 어두운 방 안에 쪼그려 앉아 있는 Trollge의 모습 모습[27] Repulsive - Kyomi's Lullaby
12 0:58 해골처럼 알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기괴하게 합성된 붉은 Wojak Repulsive - Starvation
13 1:03 썩소를 짓고 있는 트롤지
( 원본은 원래 움짤이다.)
Repulsive - Judah's Lullaby
14 1:07 피눈물을 흘리는 Trollge의 모습[28]
( 원작자)
Repulsive - In The Dark
15 1:15 현실적인 버전의 흑백 해골. 9페이즈보다 현실적이라는 평이 많다. Sonic.exe - 그린 힐 존 테마곡
(낮은 음조(단6도 아래)로 변조되었다.)
16 1:24 장산범마냥 검은 화면 속에서 긴 머리카락에 붉은 점눈이 쳐다보는 장면 #[29][30] Sonic.exe - 로보트닉 테마곡
(낮은 음조로 변조되었다.)
17 1:36 절규하는 표정[31] # Sonic.exe - 게임오버 테마곡
(낮은 음조(단6도 아래)로 변조되었다.)
18 1:45 역삼각형 모양으로 눈이 파이고 얼굴이 심하게 일그러진 남자가 절규하는 표정
( 원작자)[32][33]
공포 영화 트랙맨의 OST & 러시아 자장가 민요
Tili Tili Bom 원본
Tili Tili Bom 변조(썸네일 주의)[34]

5.3. 추가 확장판 (Roll th8 Die 포함)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추가 확장판 펼치기 · 접기 (썸네일 주의)]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추가 확장판
페이즈 시간 설명 BGM
2.5 0:00 맨 위 페이즈 2에 나오는 실사화 흑백 사진이 검은 두줄기의 눈물을 흘리고 있는 사진 유메닛키 - Shield Folk World
5.5 0:10 페이즈 5의 사진의 눈과 입에 포토샵으로 넓히고 그 안에 눈들을 그려 넣은 사진[35] Five Nights at Freddy's 3 배드 엔딩 테마 [36]
9.5 0:22 위의 사진에 붉게 하고 더욱 포토샵을 하여 왜곡시킨 사진 Roblox - Halloween 2
(0.1배속 재생)
9.75 0:30 9.5페이즈 사진에서 조금 더 왜곡시킨 뒤 입 부분에 눈을 추가한 사진[37][38] myuu - It's a Small World
(역재생) 역재생 [39]
11.5 0:43 흑백으로 편집된 핏쨩의 모습.
11페이즈와 12페이즈 사이에 삽입된다. 원본 (깜놀, 혐오주의)
myuu - Angst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Roll th8 Die 펼치기 · 접기 (혐오주의)]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추가 확장판
페이즈 설명 BGM
9.1 9페이즈하고 구별이 거의 안 가는 페이즈 Sonic.exe 게임 오버 테마
9.2 스케치화된 9페이즈 Sonic.EXe 게임 오버 테마 (2)
9.3 눈이 위로 올라가고 입이 벌어진 사진 Sonic CD BOSS!! 북미판
9.4 R-3페이즈에 눈알을 집어넣은 사진 Ben drowned 브금

또는 18페이즈에서 이전 페이즈로 빠르게 역재생되다가 9.4페이즈로 바뀌며 Roll the die 문구가 나오는 템플릿도 있다.

6. 설명

2021년 12월 부터는 위의 실사화 이미지를 사용하는 Mr. Incredible becoming uncanny라는 영상 버전이 등장했다. 로버트 파의 사진에 어떤 대상을 빗대어 표현하는 방식은 이전부터 만들어진 이미지 버전과 비슷하지만, 영상 버전에서는 로버트의 실사화 이미지를 더욱 기괴하게 변형시킨 여러 이미지들이 차례대로 등장하면서 이 이미지들에 비유되는 대상들이나 상황들이 점차적으로 악화되어가는 것을 나타낼때 쓰인다. 특히 뒤로 갈수록 로버트 파의 이미지가 단계적으로 기괴해지고 흑화되다가 마지막 단계에는 아예 로버트 파가 아닌 Trollge가 나오는 걸로 최악의 상황을 표현하며 끝나는 경우가 일반적이었다. 10페이즈에 트롤지가 등장하는데, 이게 원본 템플릿이었지만 병맛을 밝히는 유저들때문에 결국은 완전 낙서가 되어버린다. [40] 차례대로 기괴해지는 내용은 서양 인터넷에서 몇년 전부터 쓰이던 빙산의 일각과 유사한 개념으로도 쓰이는 듯 하다.[41]

그러나 2022년 1월부터는 10페이즈를 가볍게 넘기는 확장된 버전들도 많이 만들어져서 쓰이고 있다.[42] 위에 있는 영상인 18페이즈까지 있는 버전이 보통 주요 템플릿으로 쓰이는 편이다. 그러나 아예 40페이즈까지 있는 경우도 있는데다, 페이즈 사이를 또 세부적으로 나누는 중간 페이즈와 Trollge영상에서 가져온걸 붙이는 사례까지 생겨서 늘어난 페이즈들에 더 기괴한 사진들이 이어서 나오는 버전들도 늘어나고 있다.

그리고 특히 10페이즈대[43]가 가장 무섭다는 의견, 추가 확장판 중에는 11.5페이즈가 가장 무섭다는 의견이 많다. 원래는 그냥 로버트 파 얼굴을 흑백화시키거나 놀람을 줄 수 있는 사진을 오려서 엉성하게 붙여놓는 것이 끝이었다면, 10페이즈대부터는 Trollge를 기괴하게 합성한 사진, 피눈물, 눈알, 귀신, 일그러진 사진 등의 요소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기괴하고 무서운 사진들에 약한 사람들에게 공포감을 선사할 수 있다. 그리고 11.5페이즈는 그냥 보면 별로 안 무섭지만, 다수는 핏쨩을 합성한 사진이라는 것을 알고 보기 때문에 더 생각나고 무섭게 느껴진다고 한다.

이런 식으로 페이즈를 더 확장한 버전들도 나오고 있으며, 이중 일부는 시간을 끌거나 더 공포스럽게 보이려고 무리하게 포토샵을 한 사진을 넣기도 하기 때문에 과도하게 우려먹는다는 비판이 있으며 그리고 페이즈 10을 넘어서부터는 Wojak이나 Trollge같이 로버트 파가 아닌 다른 캐릭터들이 나오는 경우들이 많으며 아예 변조한 귀신 짤이나 악마의 사진들도 쓰이듯이 로버트 파의 모습은 온데간데 없이 사라지고 그냥 공포스러운 이미지만 넣어놓는 경우가 많아 통일성이 사라졌고 19페이지 이상의 뇌절 버전부터는 노골적인 갑툭튀도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다. 이런 점 때문에 정작 로버트 파과 무관한 사진들이 더 쓰이는것 같은게 아이러니하다는 말도 있다.[44]

6.1. 밈의 확장

여기에서는 이 밈의 확장판들을 서술하는 곳이다.
조금 더 확장된 버전 6분정도 되는 버전 , 40분쯤 되는 버전, 50분을 넘는 버전, 1시간을 넘는 버전, 이후 7시간을 넘는 버전 8시간을 넘는 버전 9시간을 넘는 버전 10시간을 넘는 버전과 11시간을 넘는 버전, 반나절을 넘는 버전( #1 #2) 심지어 하루를 넘는 버전도 나왔다. ( #1, #2, #3)[45] [46]

6.2. 밈의 활용

같은 시기 인기가 급상승한 The Backrooms 리미널 스페이스를 주제로 한 영상도 급격히 양산되고 있으며 3월 들어서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주제로 한 영상이 급격히 양산중이다.

이젠 아예 음악으로 리믹스해서 만들기까지 하였다. #

최근에는 고화질 버전이 나오기도 했다. BGM에 더 공포스러운 효과가 생기고 9페이즈 같은 것들은 아예 사진도 현실적으로 변했는지라 충격을 받을 수도 있다.

대한민국 한정으로 절망편이라고 불리며 Mr. Incredible Becoming Canny 희망편이라고 불리는데, 이는 2000년대 중후반의 밈이었던 이것이 미래세계다!!의 용례가 그대로 남은 것.

이 두 가지 종류의 차이점을 설명하는 영상

한 나라의 지도의 각 지역마다 Canny[47]혹은 Uncanny[48]를 이용해 살기 좋은 지역과 안 좋은 지역으로 구분하는 영상이 양산 중이다.

한 나라를 시점으로 Canny 혹은 Uncanny[49] 로 국가 관계도를 구분하는 영상이 양산 중이다.

이런 지오그래피 영상들은 밈이 죽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나오고 있다. 하지만 이 밈은 죽었고 재미도 없다며 죽게 냅두라는 댓글들도 많다.

또한 이런 지오그래피 영상으로 지역을 좋은 곳과 안 좋은 것으로 구분하는 것 자체가 지역 혹은 나라를 무시하는 내용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논란이 있다.지역감정 물론 좋게 평가된 지역들은 큰 문제가 없겠지만 전쟁 등의 이유로 안 좋게 평가된 지역에 사는 사람들이 우연히 이 영상을 본다고 생각해보자. 전쟁 뿐만 아니어도, 언캐니로 평가된 지역 출신 사람들이 불쾌감을 호소하는 댓글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50][51]

7. 파생 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Mr. Incredible Becoming Uncanny/파생 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여담



[1] People who don't know VS people who know 밈은, People who don't know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 의 표정은 해맑은 표정(1페이즈)이고 People who know (무언가를 알게 된 사람) 는 절망적인 표정 (3페이즈)을 하고 있는 밈이자 Uncanny 밈의 근본이다. [2] 원본은 웃는 표정인데, 재구성한 이미지는 왠지 무표정이다. [3] 교사들이 교무에 쓰는 문서의 인쇄 퀄리티는 좋은데, 학생들에게 배부하는 문서의 퀄리티는 복사를 하여 열화되었고 질도 좋지 않다는 경험을 주제로 이야기 한 것이다. 한국에서도 처음에는 A4지에 컴퓨터에서 직접 컬러 프린트를 사용하지만, 대규모로 배부하는 가정통신문이나 시험지는 질이 낮은 갱지에 한번 뽑은 것을 복사해 열화시키면서 지독한 잉크 냄새가 나는 흑백 프린트로 뽑혀진 것을 받아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4] 현대의 기술력으로 스키비디 토일렛의 타이탄을 재현할 수 있을 것이다, 프레디의 피자가게는 실화를 바탕으로 하였다 등. [5] 대표적으로 스토리이며 대부분이 어디로 감->어떤 일이 일어남->그 일은 지하실의 바람때문->지하실에 창문 없음->누군가가 다가옴->그 후 좋은 일이 일어남(또는 개같이 멸망하는) / 뭐가 됨->누군가에 쫓김->잡아먹힘->꿈이었음->학교가야함 이런 식이다. [6] 스토리가 아니더라도 예를 들어 당신이 만진 것: 설사, 혹은 당신이 먹어야 할 것: 우주 등등 완전 더럽고 말도 안 되는 것들 갖고 장난을 치다 보니 표정이 무섭다기보다는 웃긴 내용에 더 집착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암튼 스토리나 차례대로나 마지막에 공통적으로 개같이 멸망하는 것이 특징이다. [7] 아예 Kracc Bacc 같은 몇몇 유명 밈 창작자들은 이러한 저질 밈을 양산해내는 저연령 층을 풍자한 밈을 업로드하며 신랄하게 까는 중이다. [8] 그냥 뇌절 양산형 영상이라면 사회적으로 크게 문제될 것은 없지만 저런 식으로 세월호 피해자가 사고에서 느꼈을 공포감을 아무 생각도 없이 유가족의 마음에 큰 금을 만들게 하는 밈으로 희화화 하고, 보는 이들로 하여금 불쾌감을 일으키는 밈 영상을 만드는 것은 세월호 참사 사건의 피해자와 제 3자에게 큰 불쾌함과 상처를 주는 짓이다. [9] 주로 Trollge Wojak 합성들이 주를 이루며 나와 통일성이 사라지며 페이즈가 내려가면서 로버트 파의 형상은 안 보이는 것이다. [10] Trollge(10,11,13,14페이즈) Wojak (12페이즈) 혐짤 버전을 제외하고도 핏쨩(11.5페이즈) 같은 귀신, 괴물 짤들도 사용한다. [11] 애초에 해당 지역들은 못살거나, 전쟁, 독재 등 고통 받는 지역들이긴 하나 오하이오, 군마 등 지역드립을 소재로 하는 경우도 있다. 당연히 저곳 출신들은 이걸 볼 때 매우 불쾌함을 느낄 거다. [12] Disturbing facts. 한국에선 잠잠하지만 외국에선 죽은 밈 치고는 상당한 인기를 끌고 있다. 그나마 현재까지도 남아있는 유형이다. [13] 고화질 버전은 원곡을 그대로 사용하나 오리지널의 경우 약간 피치를 낮춘 버전을 사용한다. [A] 해당 페이지에서 나오는 사진을 세부적으로 나누면 3D인 사진과 3D와 2D를 합친 사진과 2D인 사진으로 나누어 지지만 3개의 사진 모두 거의 비슷하다.(단, Uncanny의 파생인 old meme의 경우 3D이미지만 쓴다.) [15] 1페이즈보다 입꼬리가 내려가 있고, 눈썹이 조금 더 현실적이다. [16] 원본과 Canny 버전에 비해 이미지 색감이 미묘하게 깨져 있다. [17] 신형이 퀄리티가 좋은 대신 합성한 티가 너무 난다. [18] 4페이즈의 경우 영상을 틀자마자 나오며, 5페이즈의 경우 5분 7초, 6페이즈의 경우 6분 10초에 나온다. 뒤로 갈수록 점점 공포성이 심화된다. [19] 4페이즈와 반대로 6페이즈는 구형이 입이 있는 흔적이 있고, 신형은 입을 완전히 잘라내어 버렸다. 가끔은 2차 창작 버전인 4페이즈에서 눈은 지웠는데 입은 그대로인 버전도 나온다. [20] 5.5페이즈가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6페이즈를 건너뛰는 일이 발생해 이 페이즈의 사용이 대폭 감소하였다. 아예 5.5페이즈만 사용되는 스토리 모드도 있다. [21] 5페이즈는 눈만 보이지 않았다면 7페이즈는 명도를 심하게 낮춰 얼굴도 잘 안 보인다 [22] 이 또한 일부 영상에만 있고 여기엔 없다. [23] 원래 밈이 유행한 초기에 만들어진 소수의 영상에 포함되어 있었는데, 무슨 이유인지 어느 순간부터 안 보이기 시작하더니 현재 거의 없어졌다. 확장판에서 생긴 총소리나 추가 확장판보다 찾기 힘들 정도. # 이 링크를 통해 그 모습을 볼수있다. [24] 이제부터는 인크레더블 이라고 보기 힘들고 그냥 무서운 사진들만 모였다고 봐도 무방하다. [25] 일부 영상에서는 원본이 그대로 사용되지만 대부분은 화질이 매우 낮아서 1960년대 TV속 화면의 모습을 방불케 한다. [26] 일부 영상에는 존재하고 이 영상에는 있지 않다. 대신 적은 편은 아니니 찾아보기 쉽다. # 이 링크를 통해 총소리를 들을 수 있다. 단, 8.5페이즈는 로버트 파나 다른 기괴한 것들의 얼굴이 나오지 않고 소리만 나온다. [27] 잘못 보면 졸라맨인데 올가미에 목을 매단 것으로 보일 수도 있다. [28] 옆에 초록색으로 희미하게 Trollface. EXE 라 적혀있다. [29] 원본 출처가 FNaF 2의 구형 보니란 얘기도 있지만 이 짤이 원본이다. [30] 15~18페이즈 사이의 페이드 인.아웃 효과를 제외하면 18페이즈 템플릿 중 유일하게 눈을 깜빡이는 움짤을 볼 수 있다. [31] 최근에는 이게 뭔지 못 알아보는 사람들이 있다보니 가끔씩은 원본 짤인 Crying Radio Man이 나오기도 한다. [32] 이 이미지를 제작한 Fredrik Andreasson 본인의 얼굴이다. [33] Fredrik Anderasson 본인은 이 짤을 고퀄리티로 공유했지만, 다른 밈들과 같이 저퀄이나 아예 검정 버전을 사용한다. [34] 과하게 낮은 음조 (단 10도 아래)로 변조되었다. [35] 이 페이즈가 나올 경우 5페이즈 다음에 나와야 하는 6페이즈가 나오지 않는 경우가 있다. [36] 1924년 사우디의 EAS(Emergency Alert System(긴급 경보 체계)가 원본이다. [37] 일부 사람들은 이 사진이 웃는 표정을 하고 있어서 되려 웃기다고 반응하기도 한다. [38] 또한 이 장면에 삽입된 BGM의 앨범 아트로도 쓰였다. [39] 디즈니랜드의 놀이기구의 테마곡인 It's a Small World를 공포스러운 피아노 톤으로 어레인지 한 다음 역재생 한 것이다. [40] 10페이즈 이후로도 점점 기괴해지다가 나중에는 완전 슬라임을 그려놓는 것을 넘어 그냥 빨간 색연필로 얼굴에 낙서한 것 같은 느낌이 든다. [41] 수면 위로 보이는 부분에는 대중적이거나 밝은 요소를 놓고, 깊어질수록 대중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요소들이나 심오한 것들을 넣는 것을 의미한다. [42] 어느 영상에선 해골에 Grand Theft Auto IV의 BGM Soveit Connetion이 사용된 영상도 있다. [43] 특히 16~18페이즈 [44] 한편으로는 무분별한 사용으로 인해 여기에 나오는 공포스러운 이미지들도 허구한날 보이는 밈으로 전락해 버리기 시작하면서 이제는 여기 나오는 공포 사진들에 면역이 생겨서 더 무섭지도 않고 되려 웃기다는 반응들도 많아지는 추세이다. [45] 모두 제프 더 킬러 등의 혐짤을 사용하고 비명소리 등의 음성도 사용하니 열람에 주의를 요한다. [46] 참고로 반나절 하루를 넘는 버전은 유튜브 최대 재생시간 12시간을 넘었기 때문에 각각 2, 3개로 분리되었다. [47] 최대 11페이즈(확장판 포함) [48] 최대 30페이즈(확장판 포함) [49] 유독 사이가 나쁜 국가가 많을 경우 최대 50페이즈까지 가는 경우가 있다. 심지어 어떤 나라 100페이즈(!) 까지 갔었다. [50] "자신의 지역은 언캐니 페이즈 100이어야 한다" 등 자학개그를 하는 사람들도 일부 있지만, 여전히 일부일 뿐이다. [51] 우리나라 사람들도 외국인들이 우리나라를 이 밈으로 표현한 것에 댓글을 달기도 한다. [52] 헬렌 파가 주로 사용되며, 로버트 파와 같이 사용하여 '특정 상황에 대한 남자와 여자의 반응'을 비교하는 영상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 [53] 확장판이나 추가 확장판이 하나도 없음에도 불구하고 조회수가 1400만회이다. [54] 오타 정도가 아니라, 그냥 맞춤법을 모른다. [55] 혹여나 인사이드 아웃 2에서 처럼 불안이의 클라이맥스 씬이나 기쁨이의 분노 장면 등 새로운 밈이 생겨날수도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39
, 4.2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39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