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1-27 12:36:39

MGM-52 랜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GM-52_Lance_05.jpg

1. 개요2. 상세3. 한국에서의 배치, 철수4. 기타5. 둘러보기

1. 개요

MGM-52 Lance, 미국이 냉전 시기에 소련 육군의 기갑 전력을 방어하기 위해 유럽에서 개발, 배치한 야전 포병용 핵투발 수단인 무유도 단거리 탄도 미사일이다. 신뢰성이 낮은 어네스트 존과 서전트 로켓 시스템을 대체하기 위해 1973년에 개발되었다.

2. 상세

W70 핵탄두를 장착하며, W70의 바리에이션중 하나인 W70-3 핵탄두는 흔히 생각할 수 있는 열핵탄두가 아닌, 전장에서 바로 사용 가능한 최초의 중성자 원자탄이다. 소위 '깨끗한 핵폭탄'. '더러운' 핵폭탄과 반대의 개념으로 방사능을 최대한 억제하고 투과성 강한 중성자만을 강화시켜 건물, 장비 등의 파괴를 최대한 줄이고, 탑승인원만을 살상하기 위한 핵탄두이다. 즉, 부담이 마구 솟아나는 일반 원자탄 대신 별 부담없이 많이 사용하기 위한 탄두이다. W70핵탄두는 1~100KT까지 위력조절이 가능하다. 사정거리는 탄두종류에 따라 70km에서 120km까지 늘어난다.

소련군은 이 물건에 대응하기 위해 OTR-21 토치카( 나토 코드명 SS-21 스캐럽)을 개발, 실전 배치했고 이 물건이 화성-11의 원형이 된다.

3. 한국에서의 배치, 철수

과거 우리나라에도 배치된 적이 있다. 1978년 3월 4일 팀스피리트 훈련을 위하여 C-141 스타리프터 전략 수송기를 통해 들어온 바 있고, 당시 박정희 대통령은 한미 양국의 장병들을 격려하며 랜스 미사일을 비롯한 한미 양군의 군사 자산들에 대한 시찰을 했다.

3월 10일 일본의 교도통신은 한국이 미국에 랜스 미사일의 제공을 비밀리에 요청했다는 정보가 강하게 나돌고 있다고 보도했다. 얼마 뒤인 3월 13일 소련이 국영 통신사 타스 통신을 통해 '한미 양국의 핵야망'이라는 논평으로 간접적으로 비판 및 경고를 했고, 교도통신의 보도를 인용한 것처럼 한국이 미국에게 이 무기에 대해 제공받을 것을 기정사실화하며 염려했다.[1] 그러나 이는 결국 이뤄지지 않았다. 1991년 조지 H. W. 부시 당시 미 대통령이 모든 지상발사전술핵무기를 폐기한다고 선언한 이후[2] 1992년 7월 미국은 해외에 배치된 모든 지상 배치 전술 핵무기의 철수를 완료했다고 발표하였다.[3]

4. 기타

이 문서에서는 중성자탄의 사용에만 초점을 두었지만 네덜란드처럼 고폭탄을 운용한 경우도 많았으며, 소련 육군의 기갑 물량에 대한 견제용으로 잘 사용했다고 한다. 그리고 이 버전이 워게임: 레드 드래곤 네덜란드 왕국군 팩션에서 포병 유닛으로 등장한 바 있다.

1982년 극장용 애니메이션인 "미래전쟁 198X"에서 등장, 극중 발생한 동독과 서독간의 국지전에서 중요한 사람을 잃은 민폐 캐릭터등장인물이자 영국군 소속인 마이클이 핵탄두가 탑재된해당 미사일을 탈취해서 국경을 넘은 소련 기갑부대에 발사한다.[4]

한국어 위키피디아의 랜스 SRBM 문서이다. (한번 들어가보는 것도 나쁘지는 않다.)

참고로 'MGM-52 랜스'는 미사일 시스템만을 의미하고, 발사대는 M752라고 따로 형번이 있다 한다. MIM-72 채퍼랠과 같은 경우라고 보면 된다.

5. 둘러보기

파일:독일 국기.svg 현대 독일 연방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독일 연방군 (1991~현재)
Bundeswehr
<colbgcolor=#808080> <colbgcolor=#808080> MELLS (스파이크-LR) | 밀란-(2/2T/ER)
탑재형
기갑차량
MELLS | BGM-71D TOW-2R | HOT-(2/3)R
공대지
회전익기
HOT 3 | PARS-3LR
고정익기
AGM-65(B/D) 매버릭R
유도포탄
지대지
DM702 (155mm, PzH2000) | 불카노 155 (155mm, PzH2000) | {아세가이} (155mm, PzH2000)
함대지
불카노 127 (127mm, F125급)
유도로켓
지대지
GMLRS (227mm, MARS II)
공대지 (ALCM)
{ AGM-158(B/B-2) JASSM-ER} | 타우러스 KEPD 350
지대지 (GLCM)
{JFS-M}
MGM-52 랜스R
함대함
{ NSM} | RBS 15 Mk.3 | RGM-84D 하푼 블록 1C |  RGM-84A 하푼 블록 1AR | MM38 엑조세R
공대함
시스쿠아R | AS.34 코모란 2R
대잠 미사일 RUR-5A Mod 4 ASROCR
어뢰
경어뢰
MU90 임팩트 | Mk.54 Mod 0 | Mk.46 Mod (2/5) | DM4A1R
중어뢰
DM2(A3/A4) 제헥트 | DM2A1 제알R | DM1 제슐랑에R
보병
FIM-92(C/E) "플리거 파우스트 2 스팅어"
차량
FIM-92E ( LeFlaSys 오젤롯)
단거리
FRP/FRR 롤란드 3R
중거리
{ IRIS-T SLM} | MIM-23B I-호크 | MIM-23C I-호크 HEOSR
장거리
MIM-104A 패트리어트 | MIM-104C PAC-2 | MIM-104(D/E) PAC-2 GEM(-T) | MIM-104F PAC-3 (CRI/MSE)
대탄도탄 { 애로우-3}
'''[[근접 방어 무기 체계|
CIWS
]]'''
RIM-116B RAM 블록 I
개함방공 RIM-162B ESSM | RIM-66A SM-1MR 블록 IVR | RIM-7(M/H/P) 시스패로우R
함대방공 RIM-66M-2 SM-2MR 블록 IIIA
단거리
IRIS-T | AIM-9L 사이드와인더 | AIM-92E 스팅어
중장거리 미티어 | AIM-120(B/C-5/C-7) AMRAAM
잠대공 미사일
{ IDAS}
{ AGM-88E AARGM} | AGM-88B HARM 블록 IIIB
유도폭탄 GBU-38 JDAM | GBU-54 LJDAM | GBU-48 인핸스드 페이브웨이 | GBU-24 페이브웨이 III | GBU-(12/16) 페이브웨이 II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또는 대표 발사 플랫폼
}}}}}}}}}


🚀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685050><colcolor=white>북미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남미
서유럽
'''
중부유럽
'''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남유럽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북유럽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동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
동아시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
동남아시아
'''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
남아시아
'''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
중앙아시아
'''
서아시아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
오세아니아
'''
아프리카 }}}}}}}}}}}}


[1] 얼마 뒤 소련은 이에 대응하듯 SS-21을 극동지방에 배치했다. [2] 그로부터 얼마후 한반도 비핵화 선언이 발표되었다. [3] 다만 항공기 투하형 전술핵은 이후에도 나토 회원국의 기지에 일부 남아있다. [4] 이로 인하여 본격적인 3차대전이 발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