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8 01:47:52

Katie(유튜버)

<colbgcolor=#142b43><colcolor=#fff> Katie
@KatiE18729
파일:Katie.jpg
장르 애니메이션
채널 개설일 2022년 2월 28일
[dday(2022-12-14)]일째, [age(2022-12-13)]주년
플랫폼 현황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Kaaatie
구독자: 70.6만명
조회수: 43,586,837회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Katie
팔로워: 8.8만명
2024년 6월 15일 기준
}}}}}}}}} ||
관련 링크
플랫폼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SNS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등장 자캐
2.1. Fundamental Paper Education2.2. 주요 자캐 8인
2.2.1. 아노바2.2.2. 비스킷2.2.3. 클레어2.2.4. 아가사2.2.5. 소피아2.2.6. 올리버2.2.7. 앨리스2.2.8. 다니엘
2.3. 기타
2.3.1. 펜2.3.2. 시스터2.3.3. 비비안2.3.4. 크레이지(Crazie)2.3.5. 스캐리(Skary)2.3.6. 루-메-이(Lu-me-ii)2.3.7. 밀러(Miller)2.3.8. 이름 없는 늑대인간(Nameless Werewolf)2.3.9. 바호메트(Baphomet)2.3.10. 코너
3. 영상 목록
3.1. I am going to k!ll your family!3.2. Moonlight3.3. Therefore you and me3.4. V1RUS3.5. Machine girl - うずまき3.6. Basics in Behavior
4. 여담

[clearfix]

1. 개요

애니메이션 제작 유튜버 및 일러스트레이터. 본인의 자작 캐릭터들이 등장하는 뮤직 비디오를 제작한다.

Fundamental Paper Education 시리즈로 본격적인 명성을 얻기 시작했다.

영상 대부분이 고어, 폭력, 살인 행위, 식인 등 상당히 고수위의 내용을 다루며 그 외에도 글리치 이펙트나 자살을 연상시키는 요소 등 아기자기한 색감과 그림체에 비해 내용이 상당히 어두운 편이므로 시청 시 주의할 필요가 있다.

2. 등장 자캐

2.1. Fundamental Paper Education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Fundamental Paper Education 문서
4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주요 자캐 8인

나이, 키에 대한 정보는 Katie의 삭제 전 자캐 소개 일러스트를 바탕으로 작성하였다. 새 일러스트에서는 나이와 키가 없는데, 아직 고칠 게 많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

2.2.1. 아노바

아노바
Anova
파일:Anova2.png
<colbgcolor=#33314f><colcolor=#fff> 성별 여성
나이 16세
148cm

파일:AnovaCactus.png

검은 피부와 4개의 팔을 가지고 있는 소녀. 자신의 온실에서 선인장을 키우는 게 취미인 것으로 보인다.

2.2.2. 비스킷

비스킷
Biscuit
파일:Biscuit2.png
<colbgcolor=#c46354><colcolor=#fff> 성별 남성
나이 17세
165cm
고양이의 머리를 한 수인형 캐릭터로, 클레어의 모험에 같이 따라가고 선물까지 주는 클레어의 친한 친구이다.

2.2.3. 클레어

클레어
Claire
파일:FPEClaire2.webp
<colbgcolor=#a4a66c><colcolor=#fff> 성별 여성
나이 15세
160cm
본 시리즈의 주인공격인 캐릭터이자 Katie의 또 다른 오너캐와도 같은 소녀. 팬덤에서는 성별이나 나이대의 유사성으로 클레어를 실제 Katie 본인의 모습을 반영한 페르소나에 가까운 모습으로 보고 있다.

숲 속이나 어딘가를 탐험하는 등 모험가 기질이 있는데, 그 과정에서 시리즈 내내 도사리는, 인간의 형태를 한 크리쳐급 괴물 캐릭터들에게 위협당하거나 살해당하는 등 영고라인 사망전대 캐릭터이다.작가가 괴롭히기 위해 만들었는 듯

Moemoe라는 고양이를 데리고 다니는데, Moemoe도 눈과 꼬리가 여럿 달린 괴수의 형태로 변할 수 있다. 우호적인 관계인지 괴수 모습의 Moemoe와 클레어가 포근한 분위기 속에서 함께 자는 일러스트도 있다. 학교가 아니면 위의 아노바와 비스킷과 항상 같이 지내는 것으로 보인다.

몇몇 팬들이 클레어, 펜, 시스터가 서로 사이가 있다고 추측하기도 한다. 'It all your fault, Claire(클레어, 모든 게 네 잘못이야)'라고 적혀저 있는 작가의 일러스트를 보아 몇몇 캐릭터는 클레어에게 악의가 있는 것 같다. 아가사와는 아는 사이라고 추측되기도 한다.

2.2.4. 아가사

아가사
Agetha
파일:AgethaAlt.png
이전 모습 ▼
파일:Agetha2.png
<colbgcolor=#4e3b98><colcolor=#fff> 성별 불명
나이 불명
163cm
두 가지 모습이 있는 캐릭터.

원래는 새총을 든 평범한 소년의 모습이었다.

하지만 어느 시점에서 바뀐, 두번째 디자인은 기존의 알록달록한 옷 색에서 따온 듯한 강한 빨강-노랑-파랑 색배치에 시안색 눈과 입, 목에 밧줄 매듭을 걸고있는 모습으로, 이 때는 평범한 인간에서 벗어나 컴퓨터 세계속으로 들어가 마치 컴퓨터 귀신과 같은 행적을 보이는[1] 모습이 되며 성격도 기존의 인상과 다소 다른 장난꾸러기 인상으로 완전히 캐릭터성이 바뀐다.[2] 자살한 이후로 이 모습이 된 듯 하나 왜 자살했는지에 관한 이유와 이런 모습으로 변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미공개 상태다.

크레이지가 속한 밴드의 기타리스트로도 활동한다. 그 외에는 후술할 늑대인간과 친하게 지내는 것으로 보인다.

인칭대명사는 they/them이고 정확한 성별은 밝혀지지 않았다.

2.2.5. 소피아

소피아
Sofia
파일:Sofia.png
<colbgcolor=#7c6e63><colcolor=#fff> 성별 여성
나이 15세
168cm
오드아이에 빗자루를 들고있고 이구아나 한 마리를 데리고 다니는 소녀이다. 후술할 다니엘과 함께 다니는 것으로 보인다.

2.2.6. 올리버

올리버
Oliver
파일:FPEOliver2.png
어린 시절 모습 ▼
파일:YoungOliver2.png
<colbgcolor=#435f63><colcolor=#fff> 성별 남성
나이 18세→19~20세 이상설정 변경
182cm
Katie의 오너캐.

앨리스와 커플 관계이며, 둘은 일명 'Olice'라 불린다. 지네를 먹는 앨리스를 보며 하트눈이 되거나 #, 앨리스에게 자신의 심장을 꺼내보이기도 한다. (고어 주의) 발렌타인 데이 기념 일러스트에서 토끼를 앨리스에게 선물하고, 이를 먹어치우는 앨리스를 보고 기뻐한다. (고어 주의)

2024년 5월 13일자 일러스트에서 앨리스와 함께 어린시절의 모습이 공개되었는데, 남성의 통념과 달리 치마에 긴 속눈썹 등 여성스러운 모습을 하고있어 화제가 되었다. 오너캐인 올리버는 남캐지만 Katie 본인은 여성이라는 점에서 남성도, 여성도 아닌 혹은 둘 다 될 수도 있는 중성적인 캐릭터이거나, 여>남 트랜스젠더가 아니냐는 추측[3]이 돌고 있다.

클레어는 펜과 강제로 데이트를 할 때 두려워하고 다른 크리쳐들에게 위협받고 살해당하기도 하는 반면에 자신은 같은 크리쳐인 앨리스와 잘 지내는 걸 넘어 아예 데이트하는 모습과 크리쳐에게 당하는 위협이 적어보이는 것, 성별을 고려하면 클레어와는 안티테제인 캐릭터인 듯하다.

2.2.7. 앨리스

앨리스
Δlice
파일:FPEAlice.webp
부분 변신한 모습 ▼
파일:FPEAlice2.webp
완전히 변신한 모습 (진짜 모습) ▼
파일:FPEAlice3.webp
구 디자인 ▼
파일:OLDELTALICE.webp
어린 시절 모습 ▼
파일:YoungAlice.png
<colbgcolor=#92564c><colcolor=#fff> 성별 여성
나이 19세→19~20세 이상설정 변경
165cm
Katie의 최애 자캐.

왕관과 찢어진 옷, 앨리스를 상징하는 심볼이 형상화된 삼각형 모양(🜁)의 목걸이가 특징이다. 'Princess Δlice', 즉 공주님으로 불리기도 한다. 변신하여 진짜 모습이 된 이후에는 눈이 붉은 빛으로 물들며 어둠을 다룰 수 있고 촉수가 생긴다.

올리버와 공식 커플링이며, 이 둘은 일명 'Olice'라 불린다. 트위터 계정의 팬들과의 여러 대화에서 앨리스를 향한 독보적인 애정을 확인할 수 있다.[4] 심지어 시리즈가 갑자기 인기를 얻으면서 야짤이나 괴롭힘 등 온갖 못 볼 꼴에도 침묵을 이어가는 등 불만 표시를 잘 안하는 Katie 본인이 올리버 혹은 앨리스가 다른 캐릭터와 엮이는 것에 공식 커플이며 절대 다른 캐릭터들과 엮지 말라 라며 강한 거부반응을 보일 정도.[5] Katie가 Olice 팬아트를 주로 리트윗하는 것도 이 이유이다. 실제로 애정을 넘어 사랑에 가까운 감정을 가진 듯.

이름 표기는 작중 외적으로는 'Δlice'로 표기되나, 작품 내에서는 'Alice' 로 표기된다.[6][7]

앨리스의 문양(🜁)은 Katie가 올린 그림에서 카메오로 등장하기도 한다. 이를 보아 이 세계관 내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2.2.8. 다니엘

다니엘
Daniel
파일:Daniel2.png
<colbgcolor=#ab865e><colcolor=#fff> 성별 남성
나이 15세
160cm
항상 무표정 상태로 지낸다. 자세하게 밝혀진 정보는 없지만 소피아와 티 파티를 벌이는 모습이나 클레어와 함께 있는 장면이 있다.

2.3. 기타

2.3.1.


Fen
파일:Fen2.png
변신한 모습 (공포 주의)▼
파일:FenCreepy.png
<colbgcolor=#bc7a6b><colcolor=#fff> 성별 여성
나이 불명
3m
긴 금발 머리에 끝이 검게 물들고 긴 손톱이 자란 손과, 완전히 가시처럼 날카로운 발을 가진 캐릭터. 키가 무려 3m로 매우 크다.

신체 부위를 자유자재로 변형하는 모습이 묘사되는, 숲 속의 흉포한 크리쳐와도 같은 캐릭터로 세계관 내에서도 매우 위험도가 높은지 펜이 서식하는 영역에는 ⚠️표지판[8]이 끊임없이 놓여있다.

I Am Going to K!ll Your Family에서는 어떤 엑스트라 캐릭터를 온갖 잔인한 방법으로 때려죽인 뒤 오체분시를 해버리는 끔찍한 장면이 나오기도 하며, Therefore You and Me에서는 온갖 시체들을 산더미처럼 쌓아올린 언덕 위에서 아래를 노려보고 있다.

하지만 의외로 시스터와 연인 관계로 추정되며, 시스터 앞에서는 홍조까지 띄우며 얌전히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또한 애니메이션에서도 Moemoe와 함께 얌전히 있기도 하는데, 자의식도 없이 의사소통이 아예 불가능한 괴물은 아님을 보여주는 부분이다.

2.3.2. 시스터

시스터
Xister
파일:Xister2.png
<colbgcolor=#000><colcolor=#fff> 성별 여성
나이 불명
198cm
가족관계 비비안(자매)
흰 십자가가 그려진 모자가 특징이며, 헤일로를 가끔 달고 나와 종족이 천사 내지 타락천사로 추정된다.

상당한 애주가 골초로, 음주를 하며 약을 복용하거나, 한번에 담배를 2개 피우는 등의 모습을 보였다.

비비안과 자매 관계이다. #

상술했듯 펜과 연인 관계로 추정된다.

2.3.3. 비비안

비비안
Vivian
파일:VivianNew.png
구 디자인 ▼
파일:Vivian.png
<colbgcolor=#e93a53><colcolor=#fff> 성별 여성
가족관계 시스터(자매)
토끼귀를 하고 있는 마술사이며 머리와 옷에 사탕을 달고 있다. 구 디자인에서는 머리색이 좀 더 연했으며 토끼귀가 각졌고 사탕이 없었다.

상술했듯 시스터와 자매 관계이다. 담배를 피우는 시스터를 못마땅해한다.

2.3.4. 크레이지(Crazie)

눈에 붕대를 감고 있는 주황머리 여자아이이다. 자신이 속한 밴드의 기타리스트를 맡고 있다.

2.3.5. 스캐리(Skary)

눈이 얼굴 오른쪽 면에 있고 입이 왼쪽 면에 있는 특이한 형태의 고양이 수인이다. 참고로 인간 형태로도 변할 수 있다.

2.3.6. 루-메-이(Lu-me-ii)

현재 삭제된 첫 영상에서도 펜에게 당할 위기에 처하고 Therefore you and me에서는 펜에게 습격당해 머리가 날아가는 등 클레어만큼 영고라인인 자캐에 속한다.

2.3.7. 밀러(Miller)

아가사, 크레이지 등이 소속된 밴드의 보컬이자 리더로 보이는 남성. 검은색 일색의 불량한 옷차림을 하고 있다.[9] 그러나 영상 중간중간마다 앨리스, 펜과 같은 크리쳐 캐릭터처럼 얼굴 전체가 새까맣게 변하고 눈이 여러개 생겨나는 등 평범한 인간이 아님을 암시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2.3.8. 이름 없는 늑대인간(Nameless Werewolf)

얼굴을 붕대로 감싸고 도끼를 들고있는 크리쳐 중 한 명이며, 작가의 한 그림에서 클레어를 공격하려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

말 그대로 이름 없는 늑대인간이며, 그 본명은 아무도 모른다. 무시무시한 분위기를 풍기고 있지만 친분이 있어보이는 아가사는 등에 올라타도 신경 쓰지 않는 모습을 보인다.

2.3.9. 바호메트(Baphomet)

2.3.10. 코너

코너
Connor
파일:WarningSign.png
다른 모습 ▼
파일:Connor.png
<colbgcolor=#a75142><colcolor=#fff> 성별 남성
Katie의 프로필 사진과 동일한 표지판. 펜이 서식하는 숲의 경고 표지판이 크리쳐화 된 듯, 눈이 달린 모습이다.

올리버와는 아는 사이로 보이며 그것도 꽤 옛날부터 친분이 있는 듯 하다. 이 애니메이션 일러스트에서 어린시절의 올리버와 함께 들판에 누워있다가 표지판 위로 나뭇잎이 떨어지자 잠시 눈을 뜨는 모습을 보였으며, 이후 일러스트에서 Katie(올리버)를 플러팅하는 모습을 보였다. # 여자아이에 가까운 모습으로 지냈던 어린시절의 올리버/Katie를 아는 것으로 보아 세계관 내적으로 오래 알고 지냈던 사이로 보인다.

3. 영상 목록

3.1. I am going to k!ll your family!


주연으로 펜이 등장한다.

고양이를 향해 친근한 모습을 보여주다가, 어떤 엑스트라 캐릭터를 피를 사방에 튀기면서 잔혹하게 살해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그렇게 피투성이가 된 상태로도 고양이와 함께 평화롭게 앉아있는 것으로 끝나는 짧은 영상이다.

3.2. Moonlight

원곡은 칼리 우치스 Moonlight. 단 이틀만에 완성했다고 한다.

3.3. Therefore you and me

원곡은 VOCALOID 오리지널 곡 그러니 유 앤 미.

3.4. V1RUS

원곡은 Sacristuff VIRUS. 9일만에 완성했다고 한다.

3.5. Machine girl - うずまき

원곡은 머신 걸 うずまき.

3.6. Basics in Behavior

원곡은 The Living Tombstone Basics in Behavior.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Fundamental Paper Education 문서
6.1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여담


[1] 대화를 할 때 window 에러 창이 뜨면서 아가사의 말인 "Hello?"가 뜨는 형식. [2] 무릎을 모으고 슬픈 표정을 짓는 모습이 여러 번 등장한 것으로 보아 현재의 모습에 불만족하는 것 같다. [3] 또 다른 추측으로는 Katie가 올리버가 여자라고 오해를 받자 화가나 마음대로 그려서 올렸다는 소문도 [4] 한 팬이 앨리스는 내 것이라고 하자 "NO(안 돼)"라고 대문자로 강하게 답글을 단다던가, 한 팬이 그린 앨리스의 팬아트에 올리버가 장미를 물고 매혹적인(?) 자세로 누워 "Ok, let her eat me now(좋아, 그녀가 날 먹게 놔둬.)"라는 그림과 함께 답장하는 등 본인의 최애 자캐임을 강하게 어필한다. [5] 심지어 앨리스를 다른 캐릭터와 엮는다면 가짜팬으로 간주하겠다고 했다. # [6] 예시로 Fundamental Paper Education에서는 'We love Alice'라고 적힌 낙서나 Miss Circle의 대사 "Don't go to Alice's room!" 등에서 Alice라고 불리는 것을 볼 수 있다. [7] 간단하게 평범한 인간이 아니라는 암시를 주는 이름 덕에, 2차 창작 자작 캐릭터들 중 앨리스를 모티브로 한 캐릭터들은 대부분 Δlice처럼 이름이 리트로 치환되는 클리셰를 따른다. 타락한 애비(Abbie)에게 'Δbbi3'라는 이름이 붙는 게 예시이다. [8] 이 표지판이 바로 Katie의 프로필 사진이다. [9] 이 때문에 분위기가 이름없는 늑대인간과 비슷하여 종종 두 캐릭터를 혼동하는 사람들이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54
, 4.1.1.1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54 ( 이전 역사)
문서의 r154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