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0-30 11:07:00

DB-3

IL-4에서 넘어옴
제2차 세계 대전의 소련군 항공병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겨울전쟁 소련-일본 국경분쟁 제2차 세계 대전
소련군 항공기
전투기 복엽 전투기 <colbgcolor=#fefefe,#191919> I-15, I-15bis, I-153
전투기 I-16 이삭, Yak-1, Yak-7, Yak-9, Yak-3, MiG-1, MiG-3, LaGG-3, La-5, La-7, La-9A, La-11A, Pe-3
폭격기 경폭격기, 공격기 Po-2, Il-2, Il-10, Su-2, Su-6, Ar-2, Pe-2, SB, Yak-2, Yak-4
中폭격기 DB-3, Tu-2, Yer-2
重폭격기 TB-3, Pe-8, Tu-4A, Fw 200A, Do 215m
랜드리스 항공기 미국 지원 항공기 P-40C, P-40E-1, P-39 '코브라', P-63 킹코브라, P-47, P-51m, A-20, B-25, B-24, C-47, T-6, GST 카탈리나
영국 지원 항공기 허리케인, 스핏파이어, 호커 타이푼m, 햄든, 스털링, 모스키토
공중항공모함 즈베노 프로젝트
수상기 Ar 196
노획 기체 나카지마 I-97, Fw 58, Fw 190D, Bf 109G, Me 262, Fi 156, B-17, B-29, Ba 349, Ar 196, Si 204, Me 410 B-2/U4, Ju 352A
기타 항공기 및 시제기 I-15GK, I-153GK, I-15bis TK, I-153TKm, I-15bis DM, I-153DM, I-153UD, I-153P, UTI-26, TB-6, I-180, I-185, Il-20, LaGG-1, Yak-15A, MiG-9A,La-15, La-152, Su-9(1946), TIS MA, BI
무기대여법으로 공여받은 기체는 소련식 표기로 기재하였다. 윗첨자m:소수 도입, 윗첨자A: 전후 도입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러시아·소련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파일:나쁜사람은볼수없어.png
{{{#!wiki style="margin: 0 -10px;"
{{{#2585e6,#2585e6 {{{#!folding [ 일류신 항공기 목록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000,#e5e5e5
민항기
단발기 Il-103
쌍발기 Il-14 Il-114 MC-21( 공동개발)
4발기 Il-18 Il-62 Il-86 Il-96
군용기
공격기 Il-2 Il-10 Il-102
폭격기 DB-3 Il-28
수송기 Il-12 Il-76 Il-476
조기경보기 A-50 KJ-2000 A-100
공중급유기 Il-78
ABL A-60
대잠초계기 Il-38
※ 제조사별 항공기 둘러보기 }}}}}}}}}}}}}}}



파일:ДБ-3.jpg

파일:5981768974_03839cc479_o.jpg

일류신 Il-4(Илью́шин Ил-4)

1. 개요2. 제원3. 개발4. 기체의 특징5. 생산6. 활약7. 대중매체8. 둘러보기

1. 개요

소련 일류신 설계국 전간기에 개발하여 소련 공군과 해군 항공대에서 널리 쓰인 쌍발 폭격기였다.

생산이 개시되었을 때만 하더라도 장거리 폭격기(Дальний бомбардировщик)를 의미하는 DB-3(ДБ-3)라고 불렸으나 얼마 후 소련 공군은 항공기 명명 규칙을 바꾸면서 설계국의 두문자를 따서 Il-4로 변경되었다. 그렇지만 이 쌍발기를 뇌격기로 쓰고 있던 해군 항공대에서는 계속 같은 이름으로 불렀던 탓에 명칭이 자주 혼동되는 기종이었다.

2. 제원

초도비행 1935년 6월
승무원 3~4명
전장 14.82 m
전폭 21.44 m
전고 4.82 m
자체중량 5,800 kg
전비중량 10,000 kg
최대이륙중량 12,120 kg
엔진 투만스키 M-88B 공랭식 14기통 피스톤 엔진(1,100마력) ×2기
최대속도 410 km/h
항속거리 4,260 km
방어무장 DB-3 ShKAS 기관총 3정
(동체 상부 터렛에 1정, 기수에 1정, 동체 하방에 1정)
Il-4 12.7mm 베레진 UB 기관총 1정(동체 상부 터렛에 1정)
7.62mm ShKAS 기관총 2정(기수에 1정, 동체 하방에 1정)
폭장 항공 폭탄 최대 2.5톤
45-36AN 항공 어뢰 1발
생산연도 1936년~1940년(DB-3)
1939년~1945년(Il-4)
생산대수 6,800대 이상

3. 개발

1933년 소련 공군은 그때까지 주력 폭격기로 쓰고 있던 투폴레프 TB-3 대신에 적 후방까지 빠르게 침입해 폭탄을 떨구고 돌아올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전략 폭격기에 관한 소요를 제기했고, 이듬해에는 작전에 필요한 사양을 발표했다. 이에 일류신 설계국은 전체를 두랄루민으로 만든 단엽 날개에 쌍발 엔진을 장비하고 인입식 착륙장치 같은 당시로서는 최신이었던 첨단 기술을 대폭 받아들인 원형기 TsKB-26(ЦКБ-26)을 만들어냈고, 1935년 6월에 블라디미르 K. 코킨나키(Владимир Константинович Коккинаки : 1904~1985)의 조종으로 첫 비행에 성공을 거두게 된다.

프로토타입은 당대의 전투기만큼이나 빨랐으며 폭탄창과 외부 파일런에는 합계 2.5톤의 폭탄을 실을 수 있어 탑재량도 넉넉했고, 항속거리도 4,000 km 이상에 달할 만큼 길었다. 빠르게 멀리 날고 중무장된 TsKB-26은 그야말로 완벽한 폭격기로 보였고, 여기에 공군 자체적으로 추가 요구를 더한 TsKB-30(ЦКБ-30)을 시험한 다음 1936년부터 양산형 DB-3의 생산이 시작되었다.

4. 기체의 특징

이 폭격기는 그 무렵 혁신적인 발전을 거듭하던 쌍발 저익 단엽기의 전형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기수의 플랙시 글래스와 전방, 후방, 하방이라는 3개소의 방어용 총좌 또한 당시의 평균적인 쌍발 폭격기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것이었다. 일류신 엔지니어들은 이 기체가 항력을 줄일 수 있게끔 풍동실험을 반복해 기수의 형태를 단면이 세로로 길쭉한 달걀과 같은 타원형으로 다듬었으나, 이 기수는 시야에 문제점이 있음이 발견되어 개량형인 DB-3F(ДБ-3Ф)부터는 세련된 눈물방울 형상으로 다시 다듬어졌다. 그러므로 DB-3와 Il-4의 외형상 식별 포인트는 다름 아닌 기수의 형상이다.

폭탄은 동체 아래의 폭탄창 내부에 최대 1,000 kg까지 실을 수 있었고, 여기에 더해 주날개의 하드포인트에 항공 어뢰를 2발 따로 매다는 것이 가능했는데[1] 이와 같은 중무장을 한 쌍발기는 등장 당시 기준으로는 아주 드물었다. DB-3의 방어용 총좌는 기수와 기체 후미, 그리고 후하방 세 군데 마련되어 있었지만 운용이 되면서 현지 개조나 공장 개수된 기체들이 있어 전부 같지는 않았다. 기본 사양에 딸린 후방 아래 기관총은 복잡한 잠망경을 통해 조준하고 사격하는 방식[2]이어서 실전에서는 그리 쓸모가 없었던 탓에 무게도 줄일 겸 아예 떼어내 버리는 경우도 흔했다.

5. 생산

1936년 봄부터 서둘러 배치가 시작된 DB-3는 그 시대 기준으로는 고성능 폭격기로 인정받을만 했더라도, 소련 공군 수뇌부가 생각했던 만큼 4발 중폭격기가 할 수 있는 임무를 전부 소화하기에는 능력이 부족하다는 것이 드러나는 데는 결코 오랜 시간이 필요하지 않았다. 그러나 다양한 개량이 더해지면서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각 전선에서 폭격기 뇌격기, 그리고 수송기로도 활약했다. 독소전 즈음에는 이미 구식이 되어가고 있던 DB-3F였으나 1942년 2월부터는 일류신 Il-4로 개칭되면서도 생산은 계속되었고 1945년 초엽까지 DB-3형은 1,528대, 그리고 Il-4 형식은 무려 5,256대나 공장에서 쏟아져 나왔는데 같은 시기에 소개된 기체들이 진작에 퇴역하거나 2선으로 물러났던 것을 고려한다면 그 가치를 높이 평가받았던 기종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DB-3는 그 운용 기간이 길었던 탓에 특이하게도 전간기에 개발된 기종으로는 거의 유일하게 NATO 코드네임 밥(Bob)을 부여받았다.
또한 Il-4T[3]라는 뇌격기 바리에이션도 개발되었다.

6. 활약

독소전 중 최초로 베를린 공습에 성공한 소련 항공기로, 1941년 8월 7~8일 사이의 야간에, 개전초에 다 작살난 공군 대신 땜빵 뛰던 해군의 발트함대 소속 Il-4T 뇌격기 15대가 이를 해냈다.

7. 대중매체

8. 둘러보기

✈️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3D3137> 1차
세계대전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협상군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동맹군
전간기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2차
세계대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1943-1947).svg
미국
파일:RAF_type_C1_roundel.svg
영국
파일:독일 공군(나치 독일) 라운델2.svg
나치 독일
파일:일본 공군 라운델.svg
일본 제국
파일:Italy-Royal-Airforce.svg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1914-1940).svg
노르웨이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1934-1945).svg
핀란드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Roundel_of_the_Royal_Thai_Air_Force_(1941-1945).svg
태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대만 국장.svg
중화민국
파일:Czech_roundel_(right_wing).svg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파일:Roundel_of_Bulgaria_(1937-1941).svg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1942-1945).svg
헝가리 왕국
파일:Nationalist_air_force_black_roundel_with_arrows.svg
스페인
파일:Manchukuo_Air_Force_Roundel.svg
만주국
파일:Emblem_of_Mongolian_People's_Army.svg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세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서독
제2세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공군 라운델.svg
동독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1921-1993).svg
폴란드
제3세계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파일:유고슬라비아 항공 및 반항공군 라운델.svg
유고슬라비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colbgcolor=#3d3137>남미 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 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 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북유럽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남아시아 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공군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서아시아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
파일:아시아 위치.svg
아시아
}}}}}}}}}}}}



[1] 비록 이 상태에서는 방어용 기관총들을 전부 내리고 승무원도 3명만 타야 했지만 [2] 접어 넣을수 있었으며, Pe-2도 사용하는 형태였다. [3] Il-2T처럼 뒤의 T는 어뢰를 장착할수 있음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