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1 16:08:43

FIFA 클럽 월드컵 미국 2025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FIFA 클럽 월드컵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FIFA 클럽 월드컵/역대 대회
,
,
,
,
,

파일:FIFA 클럽 월드컵 로고.svg 파일:FIFA 클럽 월드컵 로고 가로형 (화이트).png
{{{#!wiki style="margin: 0 -10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회 2회 3회 4회 5회
파일:브라질 국기.svg
2000
브라질
파일:일본 국기.svg
2005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2006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2007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2008
일본
6회 7회 8회 9회 10회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09
UAE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10
UAE
파일:일본 국기.svg
2011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2012
일본
파일:모로코 국기.svg
2013
모로코
11회 12회 13회 14회 15회
파일:모로코 국기.svg
2014
모로코
파일:일본 국기.svg
2015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2016
일본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17
UAE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18
UAE
16회 17회 18회 19회 20회
파일:카타르 국기.svg
2019
카타르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0
카타르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21
UAE
파일:모로코 국기.svg
2022
모로코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23
사우디아라비아
21회 22회 23회 24회 25회
파일:미국 국기.svg
2025
미국
파일:국기.svg
2029
미정
파일:국기.svg
2033
미정
파일:국기.svg
2037
미정
파일:국기.svg
2041
미정
}}}}}}}}}}}}
FIFA 클럽 월드컵 미국 2025
FIFA Club World Cup United States 2025™
Mundial de Clubes FIFA 2025™
파일:FIFA 클럽 월드컵 로고.svg
대회 기간 2025년 6월 ~ 2025년 7월
개최국
[[미국|]][[틀:국기|]][[틀:국기|]]
공인구
본선 진출팀 32개팀(예정)
대회 결과
우승
준우승
3위
4위
수상
골든볼
실버볼
브론즈볼
페어플레이상
이전·이후 대회
2023년
사우디아라비아
2025년
미국
2029년
미정
1. 개요2. 상세3. 상징 및 경기장
3.1. 엠블럼3.2. 마스코트3.3. 공인구3.4. 경기장
4. 본선 진출 클럽5. 대회 진행6. 최종 순위7. 수상8. 중계9. 평가10. 여담11. 논란
11.1. 상금 관련11.2. 레알 마드리드의 참가 거부 선언 해프닝
[clearfix]

1. 개요

2025년에 개최될 21번째 FIFA 클럽 월드컵으로, 북중미 지역에서 개최되는 최초의 FIFA 클럽 월드컵이자, 32개 팀 토너먼트 체제로 진행되는 첫 FIFA 클럽 월드컵이다.

기존에 진행되는 방식으로 FIFA 인터컨티넨탈컵은 매년 진행되고 클럽 월드컵은 4년 주기로 개최된다.

2. 상세

2023년 6월 24일, FIFA 평의회는 미국을 FIFA 클럽 월드컵 개최국으로 선정하고, 32개팀 토너먼트 형식으로 경기가 진행될 것임을 밝혔다. 이 대회부터 FIFA 월드컵처럼 개최 시기가 4년 주기로 바뀐다.

2024년 1월 밝혀진 바에 의하면 FIFA 클럽 월드컵은 미국 동부에서, 2025 CONCACAF 골드컵은 미국 서부에서만 개최한다고 밝혔다.

3. 상징 및 경기장

3.1. 엠블럼


3.2. 마스코트


3.3. 공인구


3.4. 경기장


4. 본선 진출 클럽

4.1. 본선 진출 자격 선정 시 규정

4.2.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북중미카리브(CONCACAF)
<rowcolor=#fff> 진출 자격 진출 확정일 진출 횟수 최근 진출 최고 성적
파일:미국 국기.svg 미정 개최국 쿼터(진출 자격은 추후 결정) - 1번째[4] - -
파일:멕시코 국기.svg CF 몬테레이 CONCACAF 챔피언스 리그 2021 시즌 우승 2023년 3월 14일 6번째 2021 3위
( 2012, 2019)
파일:미국 국기.svg 시애틀 사운더스 FC CONCACAF 챔피언스 리그 2022 시즌 우승 2023년 3월 14일 2번째 2022 6위
( 2022)
파일:멕시코 국기.svg 클루브 레온 CONCACAF 챔피언스 리그 2023 시즌 우승 2023년 6월 4일 2번째 2023 6위
( 2023)
파일:멕시코 국기.svg CF 파추카 CONCACAF 챔피언스 컵 2024 시즌 우승 2024년 6월 1일 5번째 2017 3위
( 2017)

4.3. 아시아 축구 연맹

아시아(AFC)
<rowcolor=#fff> 진출 자격 진출 확정일 진출 횟수 최근 진출 최고 성적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힐랄 SFC AFC 챔피언스 리그 2021 시즌 우승 2023년 3월 14일 4번째 2022 준우승
( 2022)
파일:일본 국기.svg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AFC 챔피언스 리그 2022 시즌 우승 2023년 5월 6일 4번째 2023 3위
( 2007)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알 아인 FC AFC 챔피언스 리그 2023-24 시즌 우승 2024년 5월 25일 2번째 2018 준우승
( 201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울산 HD FC 4년 간 AFC 랭킹 2위[5] 2024년 4월 17일 3번째 2020 6위
( 2012, 2020)

4.4. 아프리카 축구 연맹

아프리카(CAF)
<rowcolor=#fff> 진출 자격 진출 확정일 진출 횟수 최근 진출 최고 성적
파일:이집트 국기.svg 알 아흘리 SC CAF 챔피언스 리그 2020-21,
2022-23, 2023-24 시즌 우승
2023년 3월 14일 10번째 2023 3위
([AA])
파일:모로코 국기.svg 위다드 AC CAF 챔피언스 리그 2021-22 시즌 우승 2023년 3월 14일 3번째 2022 5위
( 2022)
파일:튀니지 국기.svg 에스페랑스 스포르티브 드 튀니스 4년 간 CAF 랭킹 3위[7] 2024년 4월 26일 4번째 2019 5위
( 2018, 2019)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마멜로디 선다운스 FC 4년 간 CAF 랭킹 4위 2024년 4월 26일 2번째 2016 6위
( 2016)

4.5. 남미 축구 연맹

남미(CONMEBOL)
<rowcolor=#fff> 진출 자격 진출 확정일 진출 횟수 최근 진출 최고 성적
파일:브라질 국기.svg SE 파우메이라스 CONMEBOL 리베르타도레스 2021 시즌 우승 2023년 3월 14일 3번째 2021 준우승
( 2021)
파일:브라질 국기.svg CR 플라멩구 CONMEBOL 리베르타도레스 2022 시즌 우승 2023년 3월 14일 3번째 2022 준우승
( 2019)
파일:브라질 국기.svg 플루미넨시 FC CONMEBOL 리베르타도레스 2023 시즌 우승 2023년 11월 4일 2번째 2023 준우승
( 2023)
파일:국기.svg 미정 CONMEBOL 리베르타도레스 2024 시즌 우승 2024년 11월 30일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리버 플레이트 4년 간 CONMEBOL 랭킹 ?위 2024년 5월 14일 3번째 2018 준우승
( 2015)
파일:국기.svg 미정 4년 간 CONMEBOL 랭킹 ?위[8]

4.6.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오세아니아(OFC)
<rowcolor=#fff> 진출 자격 진출 확정일 진출 횟수 최근 진출 최고 성적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오클랜드 시티 FC 4년 간 OFC 챔피언스 리그 우승 클럽 중 OFC 랭킹 1위 2023년 12월 17일 12번째 2023 3위
( 2014)

4.7. 유럽 축구 연맹

유럽(UEFA)
<rowcolor=#fff> 진출 자격 진출 확정일 진출 횟수 최근 진출 최고 성적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첼시 FC UEFA 챔피언스 리그 2020-21 시즌 우승 2023년 3월 14일 3번째 2021 우승
( 2021)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CF UEFA 챔피언스 리그 2021-22 시즌,
2023-24 시즌 우승
2023년 3월 14일 7번째 2022 우승
([RM])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맨체스터 시티 FC UEFA 챔피언스 리그 2022-23 시즌 우승 2023년 6월 10일 2번째 2023 우승
( 2023)
파일:독일 국기.svg FC 바이에른 뮌헨 4년 간 UEFA 랭킹 3위[10] 2023년 12월 17일 3번째 2020 우승
( 2013, 2020)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리 생제르맹 FC 4년 간 UEFA 랭킹 4위 2023년 12월 17일 1번째 - -
파일:독일 국기.svg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4년 간 UEFA 랭킹 6위[11] 2024년 3월 6일 1번째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4년간 UEFA 랭킹 7위 2023년 12월 17일 2번째 2010 우승
( 2010)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FC 포르투 4년 간 UEFA 랭킹 9위 2023년 12월 17일 1번째 - -
파일:스페인 국기.svg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4년 간 UEFA 랭킹 10위 2024년 4월 16일 1번째 -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SL 벤피카 4년 간 UEFA 랭킹 13위 2023년 12월 17일 1번째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유벤투스 FC 4년 간 UEFA 랭킹 14위 2024년 3월 12일 1번째 - -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FC 레드불 잘츠부르크 4년 간 UEFA 랭킹 18위 2024년 4월 17일 1번째 - -

5. 대회 진행


6. 최종 순위


7. 수상


8. 중계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10억 달러을 입찰한 Apple TV+에서 독점 중계가 유력하다고 한다. #

9. 평가


10. 여담


11. 논란

11.1. 상금 관련

대회 이전부터 클럽 월드컵 개편에 따라 상금 제도가 개편됨에 따라 진출만 해도 수백억을 받을 수 있다는 이야기가 국내 축구 팬들 사이에서 퍼지기 시작했다. 이 루머의 시작점은 AC 밀란의 클럽 월드컵 진출 가능성을 논하는 기사에서 시작된 것으로 보이는데, 이 기사에서는 총 상금이 25억 유로이며 20억 유로를 참가하는 32개 팀이 기본적으로 나눠 갖는다고 서술되어 있다. 1팀당 6250만 유로, 약 850억 원이라는 금액이 나온다. 유럽 팀들은 비시즌에 아시아에 와서 친선 경기 1~2경기만 치러도 100~200억에 가까운 거액을 수령해 가는데, FIFA 입장에서는 이 대회를 키우고 싶으면 유럽 팀들이 이 대회에 진심으로 참가하게 만들어야 하고, 그러기 위해 정말로 이 정도 상금을 책정했을 수도 있다.

현재 축구 팬들이 추정하는 수치의 경우, 단순 참가만으로 받는 금액은 100억 언저리일 것이라는 의견이 많은 상황이다. 국내 기사에도 1라운드 탈락의 경우에는 100억 언저리를 수령할 수 있을 것으로 나왔다.

어느 쪽이 정답에 가까울지는 2025년이 되어야 알겠지만, K리그 팀들 입장에서는 100억 원조차도 트레블 상금을 한참 압도하는 금액이다.[12] 시민구단이라면 100억은 구단의 1년치 총 운영비에 맞먹는다. K리그 구단들 입장에선 이것만으로도 눈이 안 뒤집어질 수가 없다.

11.2. 레알 마드리드의 참가 거부 선언 해프닝

대회 이전부터 비시즌 기간에 월드컵 형식으로 대회가 치러진다는 것 때문에 해외 축구 팬들 입장에서는 '이게 실현되면 도대체 선수들은 언제 쉬라는 것이냐'라는 의견이 간간히 대두되던 찰나 결국 일이 터졌는데, 다른 팀도 아닌 레알 마드리드 카를로 안첼로티 감독의 인터뷰[13]를 통하여 클럽 월드컵 참가 거부에 관한 뉘앙스를 드러냈다. 레알 마드리드는 다음 시즌에 리그, 코파 델 레이,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3개의 자국 내 대회에다가 UEFA 챔피언스 리그는 다음 시즌부터 우승까지 최소 15경기를 치러야 될 정도로 경기 수가 증가하는 쪽으로 방식이 개편되었고, 이 대회와 별개로 작년 챔스 우승을 달성한 레알 마드리드는 리그 개막 전에는 UEFA 유로파 리그 우승팀인 아탈란타 BC UEFA 슈퍼컵 경기를 치르고 시즌 중에는 기존 클럽 월드컵과 같은 방식인 FIFA 인터컨티넨탈컵까지 남아있는 상황이라 레알 마드리드 입장에서는 1년 동안 치러야 할 경기가 70경기를 넘어갈 정도의 감당이 안 될 수준으로 늘어난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이 대회는 레알 마드리드에게 한 시즌을 마무리하고 6-7월에 휴가 기간을 가지며 휴식을 취해야 하는 선수들이 제대로 된 휴식도 취하지 못한 채로 또 다른 시즌을 준비해야 하는 상황을 초래할 수도 있다.

거기다 앞서 말했듯 유럽 팀들은 비시즌에 주전 선수들을 아껴가면서 친선 경기 1~2경기만 치러도 거액을 수령해 가는데, 이 대회 우승 상금이 친선 경기 1~2경기에 준하는 수준인 것도 문제인 상황이다. 이렇게 되면 유럽 팀들이 이 대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할 이유가 없으며 오히려 프리시준 경기들을 통해 훨씬 수월하게 더 높은 수익을 창출해내려 할 것이다. 결국 FIFA가 무리하게 수익을 늘려보겠다고 클럽 월드컵을 멋대로 확대한 여파가 슬슬 드러나기 시작하는 상황인 셈이다.

한편 울산 HD FC 팬들은 이런 상황을 다소 흥미롭게 지켜보고 있는데, 결국 유럽 팀들의 마음을 돌리려면 FIFA가 상금을 어마어마한 수준으로 올리는 것 외에는 방법이 없고 그렇게 되면 울산이 수령할 금액이 늘어날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논란이 터진지 몇 시간이 채 지나지 않아 레알 마드리드가 공식적으로 2025 클럽 월드컵에 참가할 것을 선언하면서 일단은 없던 일이 되었다. 또한 안첼로티 감독이 추후 자신의 인터뷰 내용이 와전되었다는 사실을 밝히면서 단순 오해로 일어난 해프닝으로 보인다. 그러나 언제든지 이러한 입장을 가진 클럽들이 나타날 수 있으며, 큰 우려를 보이고 있는 팬들도 상당한 만큼 현재 확대된 클럽 월드컵을 성공적으로 마치려면 상금과 방식 등에서 FIFA의 개선이 필요함을 보여준 사건으로 보여진다.
[1] 이에 따라 브라질, 멕시코, 잉글랜드 클럽은 대륙 클럽 랭킹으로는 추가로 클럽 월드컵에 참여가 불가능하다. 이미 클럽 랭킹으로 2팀이 진출을 확보한 포르투갈,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클럽의 경우 해당 클럽이 남은 챔피언스 리그 2023-24 시즌에서 우승하여도 그 국가 클럽에 대한 추가적인 클럽 랭킹 진출권이 부여되지 않고 다른 국가 클럽에게 양도된다. [2] 이 때문에 UEFA 유로파 리그 같은 하위 클럽 대항전 등의 리그/컵 경기는 클럽 랭킹 점수가 매겨지지 않는다. [3] CONCACAF 챔피언스 컵의 경우, 2024 시즌을 제외한 본선은 모두 16강 토너먼트부터 치러졌기에, 2024 시즌은 라운드 원 경기에 대한 클럽 랭킹 점수는 매겨지지 않고, 16강 토너먼트부터 랭킹 점수를 산정한다. [4] 미국 클럽 중 클럽 월드컵에 진출한 적이 있는 클럽은 시애틀 사운더스 FC 뿐인데 이미 출전을 확정한 상태라 나머지 클럽 중 어느 클럽이 진출하든 첫 진출이 된다. [5] 1위 알 힐랄 SFC는 2021 시즌 대회 우승으로 출전권을 확보했다. [AA] 2006, 2020, 2021, 2023 [7] 1위 알 아흘리 SC는 2020-21, 2022-23, 2022-24 시즌 우승으로 출전권 확보, 2위 위다드 AC도 2021-22 시즌 우승으로 출전권을 확보했다. [8] CONMEBOL 리베르타도레스 2024 시즌 16강 대진 발표 기준으로 CA 보카 주니어스(71점), 클루브 올림피아(57점), 클루브 나시오날 데 푸트볼(56점), 클루브 볼리바르(43점), CA 타예레스(43점), 더 스트롱기스트(43점), 콜로-콜로(31점) 클럽이 이 자리를 두고 경쟁 중이다. 이 중 보카 주니어스와 클루브 올림피아는 2024 시즌 본선 진출이 좌절되며 랭킹 포인트를 추가로 더 쌓을 수 없으며, 때문에 클루브 올림피아와 콜로-콜로의 경우 자력으로는 랭킹 포인트가 71점을 넘을 수 없기 때문에 이미 우승한 클럽이 재차 우승하여 랭킹 포인트를 통한 진출권을 한 자리 더 확보하거나, 아르헨티나 클럽이 2024 시즌에 우승하여 보카 주니어스의 진출이 좌절되어 브라질과 아르헨티나 클럽을 제외하고 랭킹 포인트를 뛰어넘는 클럽이 없어야 랭킹을 통한 클럽 월드컵 진출이 가능하다. [RM] 2014, 2016, 2017, 2018, 2022 [10] 1위 맨체스터 시티 FC는 2022-23 시즌 우승으로 출전권 확보, 2위 레알 마드리드 CF는 2021-22 시즌 우승으로 출전권을 확보했다. [11] 5위 첼시 FC는 2020-21 시즌 우승으로 출전권을 확보했다. [12] 당장 K리그1 우승 상금이 달랑 5억, 코리아컵 우승 상금은 겨우 3억으로 푼돈도 못 될 수준이라 논란이 끊이지 않았고, 그로 인해 AFC 챔피언스 리그 K리그 입장에서는 우승만 하면 리그 10년치 상금인 50억을 수령할 수 있는 로또 취급을 받는 대회였다. [13] "피파는 선수들과 클럽들이 대회에 참가하지 않을 것이란 사실을 망각했습니다. 우리 레알 마드리드의 경기는 한 경기당 20m 유로의 가치가 있지만, 그들은 대회 전체를 치루는 비용으로 그 금액을 제시했고 이에 대해 부정적 입장입니다. 우리들은 다른 클럽과 마찬가지로 대회에 불참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