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7번 지방도 관련 틀 | ||||||||||||||||||||
|
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907번 지방도 | |
부림~고령 | |
시점 | 경상남도 의령군 부림면 신반리 |
종점 | 경상북도 고령군 쌍림면 안림리 |
총 길이 | 32.0 km |
경유지 | 경상남도 합천군 적중면, 쌍책면 |
연결도로 |
24번 국도 26번 국도 33번 국도 60번 지방도 1034번 지방도 |
1. 개요
경상남도 의령군 부림면 신반리에서 경상북도 고령군 쌍림면 안림리를 잇는 지방도이다.도로현황조서 2010-2013 모두 경상남도에서는 907번 지방도, 경상북도에서는 1011번 지방도, 그리고 행정지도에서도 경상남도 의령군, 합천군에서는 907번 지방도, 경상북도 고령군에서는 1011번 지방도로 나온다. 그리고 경상북도 국가지원도 및 지방도 지형도면 고시에서도 1011번 지방도로 언급되고 있다.
표지판에서도 경상북도에서는 1011번 지방도로, 경상남도에서는 907번 지방도로 표시되어있다.[2]
하지만 부림~고령이라는 명칭이나 지방도 연결로 보아 두 구간을 합쳐 907번 지방도에 기입해두었다.
2. 구간
2.1. 의령군
-
천혜로
서득교삼거리에서 60번 지방도와 분기하며 출발한다.
천락저수지가 있다. 저수지 치고는 별로 안 험한편.
저수지를 지나고 조금 더 가면 있는 권혜리에서 도로가 끊긴다. 원래라면 미타산 너머 적중면 누하리와 연결되어야 한다. 언젠가는 연결될 것이다.[3]
2.2. 합천군
적중면 누하리에서 도로가 다시 시작된다. 여기는 도로명이 없다. 참고로 재시작 이후 청룡사가 나오는 삼거리까지는 도로가 폐쇄되어 있다. 이 도로가 개방되려면 건너편의 의령군과 연결되어야 할듯하다.
* 명곡2길
명곡저수지가 있다.
시골 작은 마을에서 보기 힘든 정식 사거리가 있다.
* 명곡2길
명곡저수지가 있다.
시골 작은 마을에서 보기 힘든 정식 사거리가 있다.
-
우회로
잠시 우회로라는 명칭을 달았다가 다시 반납한다. -
상중부중앙길
적중면소재지가 시작된다. 말그대로 면소재지이므로 혼잡하므로 주의하고, 특히 초등학교 주변에서는 큰 민폐를 끼치지 않도록 하자. -
중부1길
적중드림마트 옆, 적중시외버스정류소 앞 삼거리에서 갈림길이 나온다. 카카오맵에서는 양측다 907번 지방도로 안내하고 있는데 좌회전하면 한참 둘러가므로 우회전하자. -
적중로
적중로-적중교 사이는 도로명이 없다. -
동부로
적중교에서 24번 국도와 잠시 중첩된다. -
황강옥전로
쌍책면내를 통과해 사양삼거리에서 1034번 지방도와 중첩된다.
합천적중농공단지가 있다.
황강교
쌍책면소재지가 나온다. 역시 큰 민폐를 끼치지 않도록 하자. 사실 우회도로가 개설되었지만 907번 지방도는 아직도 쌍책면소재지로 향하고 있다.
사양삼거리에서 1034번 지방도가 합류한다.
황강옥전로가 끝나는 하신삼거리에서 1034번 지방도와 분기된다. -
쌍쌍로
조금 더 가면 고개가 하나 있다.
박곡재 - 이 고개는 합천군 쌍책면 하신리와 고령군 쌍림면 신곡리의 경계다. 네이버 지도에는 정상에 '대원휴게소'라고 휴게소가 표시되는데, 실제로 가보면 아무것도 없다.
2.3. 고령군
-
쌍쌍로
또 기미재라는 고개가 있다.
신곡2리를 지나면, 대경골재라고 하는 고개를 넘는다.
신곡1리에서 길이 하나 분기되는데, 이 길은 신곡리에서 쌍림면소재지로 바로 연결시켜주는 도로로, 이 도로가 끊기거나 무너진다면 안림리까지 한참을 둘러가야 한다.
안림교 건너기 직전 또 다른 길이 하나 합류하는데, 이 길은 평지리로 간다. 평지리에서 고개를 넘으면 합천군 덕곡면 율원리가 나온다.
광주대구고속도로 고령 나들목과 연결된다.
안림교차로에서 26번 국도, 33번 국도와 만나며 종료된다.
[1]
아마 한쪽이 해당 도로를 자기거라고 승인해버리면 해당 도로도 관리해야 하기 때문에 유지비용이 늘어나느라 다른 쪽이라고 주장하는 듯 하다.
[2]
그런데 고령IC 진출부
로드뷰를 보면 2015년에는 1011번 지방도로 표시되었으나 2017년부터는 907번 지방도로 표시되어있다.
[3]
다만 말 그대로 언젠가는 이 구간을 뚫는 횡단도로를 개설하게 될 경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