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2 19:00:34

2024 발로란트 마스터스 상하이/결산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2024 발로란트 마스터스 상하이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91919> 파일:vct_마스터스.svg 2024 발로란트 마스터스 상하이
경기 일정
}}} ||
스위스
(5/23 ~ 5/27)
||
플레이오프
(5/30 ~ 6/9)
승자조 패자조
결승
결산

1. 결과
1.1. 세부 결과1.2. 총평
2. 일차별 요약3. 주요 기록
3.1. 결승 MVP3.2. 에이스3.3. 맵 선택/거부
3.3.1. 선택률3.3.2. 거부율3.3.3. 종합
3.4. 요원 선택
4. 리그별 분석
4.1. 파일:600px-VCT_2023_Americas_League_allmode.png Americas (아메리카) - 최종 성적:
4.1.1. 1시드 파일:100 Thieves 로고.svg 파일:100 Thieves 로고 white.svg 100 Thieves -4.1.2. 2시드 파일:G2 Esports 로고.svg 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G2 Esports - 4.1.3. 3시드 파일:Leviatán_2021.png Leviatán - 스위스 스테이지 3라운드 탈락
4.2. 파일:VCT CN logo.png China (중국) - 최종 성적: 플레이오프 패자조 1라운드
4.2.1. 1시드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 Edward Gaming - 플레이오프 패자조 1라운드 탈락4.2.2. 2시드 파일:FPX 로고 2021.svg FunPlus Pheonix - 스위스 스테이지 3라운드 탈락4.2.3. 3시드 파일:Dragon_Ranger_Gaming_logo_without_text_allmode.png Dragon Ranger Gaming - 스위스 스테이지 2라운드 탈락
4.3. 파일:VCT EMEA 심볼.png EMEA (유럽, 중동, 아프리카) - 최종 성적:
4.3.1. 1시드 파일:Fnatic 로고.svg Fnatic - 플레이오프 패자조 1라운드 탈락4.3.2. 2시드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Team Heretics - 4.3.3. 3시드 파일:FUT Esports 로고.svg 파일:FUT Esports 로고 화이트.svg FUT Esports -
4.4. 파일:VCT_2023_Pacific_League_symbol.png Pacific (아시아 태평양) - 최종 성적:
4.4.1. 1시드 파일:Paper Rex 로고.svg Paper Rex - 4.4.2. 2시드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Gen.G - 4.4.3. 3시드 파일:T1 로고.svg T1 - 스위스 스테이지 2라운드 탈락

[clearfix]

1. 결과

1.1. 세부 결과

파일:vct_마스터스.svg 2024 발로란트 마스터스 상하이
스위스 스테이지 순위표
<rowcolor=white> 순위 R1 상대 R2 상대 R3 상대
1 파일:G2 Esports 로고.svg G2 2 0 파일:T1 로고.svg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
1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GEN 2 0 파일:Leviatán_2021.png 파일:FPX 로고 2021.svg -
3 파일:FUT Esports 로고.svg 파일:FUT Esports 로고 화이트.svg FUT 2 1 파일:FPX 로고 2021.svg 파일:Dragon_Ranger_Gaming_logo_without_text_allmode.png 파일:Leviatán_2021.png
3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TH 2 1 파일:Dragon_Ranger_Gaming_logo_without_text_allmode.png 파일:G2 Esports 로고.svg 파일:FPX 로고 2021.svg
5 파일:FPX 로고 2021.svg FPX 1 2 파일:FUT Esports 로고.svg 파일:FUT Esports 로고 화이트.svg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5 파일:Leviatán_2021.png LEV 1 2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T1 로고.svg 파일:FUT Esports 로고.svg 파일:FUT Esports 로고 화이트.svg
7 파일:Dragon_Ranger_Gaming_logo_without_text_allmode.png DRG 0 2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파일:FUT Esports 로고.svg 파일:FUT Esports 로고 화이트.svg -
7 파일:T1 로고.svg T1 0 2 파일:G2 Esports 로고.svg 파일:Leviatán_2021.png -
초록색: 라운드 승리 | 빨간색: 라운드 패배
파란색: 플레이오프 진출 | 노란색: 탈락 | 회색: 라운드 미참여
파일:vct_마스터스.svg 2024 발로란트 마스터스 상하이 플레이오프 대진표
<rowcolor=#fff>
1라운드
2라운드
3라운드
4라운드
{{{#!wiki style="margin: -12px -5px" <tablealign=center><table bgcolor=#fff,#191919>
파일:Paper Rex 로고.svg 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1
파일:G2 Esports 로고.svg 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2
5.31 17:00
}}} {{{#!wiki style="margin: -12px -5px"
<colbgcolor=#F5F5F5,#282828> ↘ 파일:G2 Esports 로고.svg 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2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1
6.02 20:00
}}} {{{#!wiki style="margin: -12px -5px"
<colbgcolor=#F5F5F5,#282828> ↘ 파일:G2 Esports 로고.svg 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0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0
6.07 16:00
}}}
{{{#!wiki style="margin: -12px -5px"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 화이트.svg 0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2
5.31 20:00
}}}
{{{#!wiki style="margin: -12px -5px"
파일:100 Thieves 로고 심플.svg 파일:100 Thieves 로고 심플 white.svg 2
파일:FUT Esports 로고.svg 파일:FUT Esports 로고 화이트.svg 0
5.30 17:00
}}} {{{#!wiki style="margin: -12px -5px"
<colbgcolor=#F5F5F5,#282828> ↘ 파일:100 Thieves 로고 심플.svg 파일:100 Thieves 로고 심플 white.svg 0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2
6.02 17:00
}}}
{{{#!wiki style="margin: -12px -5px"
파일:Fnatic 로고.svg 1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2
5.30 20: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5F5F5,#282828> ↘ 파일:vct_마스터스.svg 0
파일:vct_마스터스.svg 0


{{{#!wiki style="margin: 30px -5px -12px -5px" <tablealign=center><table bgcolor=#fff,#191919>
<colbgcolor=#F5F5F5,#282828>
M4
[ruby(↘,ruby=패자, color=red)]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 화이트.svg 0
M3
[ruby(↘,ruby=패자, color=red)]
파일:Paper Rex 로고.svg 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2
6.01 20:00
}}} {{{#!wiki style="margin: -12px -5px 30px -5px"
<colbgcolor=#F5F5F5,#282828>
M7
[ruby(↘,ruby=패자, color=red)]
파일:100 Thieves 로고 심플.svg 파일:100 Thieves 로고 심플 white.svg 1
파일:Paper Rex 로고.svg 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0
6.03 17:00
}}} {{{#!wiki style="margin: -12px -5px"
<colbgcolor=#F5F5F5,#282828> ↘ 파일:vct_마스터스.svg 0
파일:vct_마스터스.svg 0
6.07 19:00
}}} {{{#!wiki style="margin: -12px -5px 60px -5px"
<colbgcolor=#F5F5F5,#282828>
M11
[ruby(↘,ruby=패자, color=red)]
파일:vct_마스터스.svg 0
파일:vct_마스터스.svg 0
6.08 16:00
}}}
{{{#!wiki style="margin: 30px -5px -12px -5px"
<colbgcolor=#F5F5F5,#282828>
M2
[ruby(↘,ruby=패자, color=red)]
파일:Fnatic 로고.svg 1
M1
[ruby(↘,ruby=패자, color=red)]
파일:FUT Esports 로고.svg 파일:FUT Esports 로고 화이트.svg 2
6.01 17:00
}}} {{{#!wiki style="margin: -12px -5px 30px -5px"
<colbgcolor=#F5F5F5,#282828>
M8
[ruby(↘,ruby=패자, color=red)]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0
파일:FUT Esports 로고.svg 파일:FUT Esports 로고 화이트.svg 0
6.03 20:00
}}}


초록색: 다음 라운드 진출 | 노란색: 우승

1.2. 총평

2. 일차별 요약

3. 주요 기록

3.1. 결승 MVP

3.2. 에이스

3.3. 맵 선택/거부

3.3.1. 선택률

3.3.2. 거부율

3.3.3. 종합

3.4. 요원 선택

4. 리그별 분석

4.1. 파일:600px-VCT_2023_Americas_League_allmode.png Americas (아메리카) - 최종 성적:

4.1.1. 1시드 파일:100 Thieves 로고.svg 파일:100 Thieves 로고 white.svg 100 Thieves -

4.1.2. 2시드 파일:G2 Esports 로고.svg 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G2 Esports -

4.1.3. 3시드 파일:Leviatán_2021.png Leviatán - 스위스 스테이지 3라운드 탈락

파일:2024MastersSH LEV Eliminated.jpg
Nos volvemos a casa con las manos vacías, gracias a todos los fans que estuvieron madrugando para apoyarnos 💙

#VALORANTMasters
LEV 탈락 코멘트

아메리카 3시드지만 충분히 강하다는 평가를 받은 레비아탄이 T1전에서 보여줬던 매서운 모습과는 다르게 C0M이 저점을 갱신하며 올라오지 못했고, tex와 aspas도 전경기와는 다르게 FUT과의 경기에서 전과는 다른 활약을 보여주면서 저점을 찍은 탓에 결국 탈락하게 되었다. aspas 원맨팀이라는 평가도 있었지만 tex와 Mazino, k1Ngg 모두 한번씩 터져줬지만 기복있는 플레이도 자주 나오면서 결국 스위스 스테이지에서 탈락하였다.

4.2. 파일:VCT CN logo.png China (중국) - 최종 성적: 플레이오프 패자조 1라운드

2, 3시드인 FPX와 DRG는 스위스 스테이지 탈락, EDG는 플레이오프 1라운드에서 광탈하면서 마스터스 상하이 최하위 성적을 낸 지역이 되었다. 그중에서 DRG와 EDG는 세트 무승 전패, FPX가 유일한 1승을 거두면서 4부리그의 위치를 떠안게 되었고, 그 결과 프랜차이즈 독립 리그 출범 당시부터 꾸준히 제기되어왔던 과도한 CN지역 밀어주기 및 시드 분배 특혜 논란으로 인한 저평가를 이번에도 떨쳐내지 못하며 안방에서 개최된 마스터스를 남의 집 잔치로 바라볼 수 밖에 없게 되었다.

4.2.1. 1시드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 Edward Gaming - 플레이오프 패자조 1라운드 탈락

파일:2024MastersSH EDG Eliminated.jpg
ggs, our journey at Masters Shanghai ends.
We tried but still can't find the right way.
But we won't give up, knights will find themselves back, rebulid confidence, to face every challenge in the future.
EDG 탈락 코멘트

마드리드에서의 아쉬움을 뒤로하고 본인들의 홈그라운드에서 재기를 노리는듯 했으나, 오히려 그때보다 더 퇴보한 실력으로 해설진들과 시청자들로부터 이 팀이 정녕 1시드 팀이 맞는지에 대한 의구심이 들게 할정도로 경악스러운 모습만 보여주었다. 중간중간 Smoggy와 ZmjjKK가 분전해주나 싶었으나 결국은 처참한 전패와 함께 자국 마스터스를 마무리하였다.

오히려 FUT 상대로 매치승을 거두고 젠지와 헤레틱스를 벼랑 끝까지 몰아넣은 FPX가 더 1시드다운 모습을 보여줬다는 재평가를 받게 되었다. EDG는 매치승은 커녕 세트승조차 따지 못하고 광탈했기 때문이다.

4.2.2. 2시드 파일:FPX 로고 2021.svg FunPlus Pheonix - 스위스 스테이지 3라운드 탈락

파일:2024MastersSH FPX Eliminated.jpg
GGWP @HereticsVal What a game 🔥
Though we lost the match after a hard BO3, the wonderful journey at #VALORANTMasters Shanghai will definitely remembered by us. And, the Phoenix will always come back stronger 👊
Thank you for all your love and support, see you in future games ❤️!

상하이에서의 멋진 여정은 우리에게 확실히 기억될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는 언제나 더 강해져서 돌아올 것입니다.👊
여러분의 모든 사랑과 지원에 감사드립니다. 다음 경기에서 뵙겠습니다 ❤️!
FPX 탈락 코멘트
모든 경기 3꽉을 치르면서 분전했지만 이번에도 스위스의 벽을 넘지 못했다. 이 팀의 알파이자 오메가였던 라이프의 독단적인 변수 플레이와 어텀을 필두로 한 매서운 교전은 분명 FUT에게서 승리를 이끌어내고 이후 두 경기에서도 팽팽한 접전을 이끌어낼 정도로 잠재력이 보였지만 상대하는 팀들이 로우 템포로 컨택 싸움을 거는 등 점점 파훼법을 찾아오고, 수비 진영일 때의 플랜이 공격 진영일 때보다는 취약하다는 점이 끝내 발목을 잡아 어떻게든 이끌어낸 연장전에서 결국 패배로 이어졌다. DRG에 비하면 양반이지만 역시나 세계구급 강팀을 상대로는 한끗이 모자라다는 평을 떨쳐내지 못했다.

4.2.3. 3시드 파일:Dragon_Ranger_Gaming_logo_without_text_allmode.png Dragon Ranger Gaming - 스위스 스테이지 2라운드 탈락

파일:2024MastersSH DRG Eliminated.jpg
DRG 0:2 FUT

Pity, we'll be prepared for next time.
아쉽지만 다음을 준비하겠습니다.
DRG 탈락 코멘트

EMEA의 2,3시드인 TH와 FUT을 차례로 만나 2경기 모두 2:0 스윕을 당하면서 세트 무승으로 마스터스를 떠나게 되었다. 마스터스 직전 인원 변동이 있는 TH 상대로도, 기복이 심하다는 평을 받은 FUT을 상대로도 단 1세트도 취하지 못한 것은 이러니 저러니 해도 팀적인 플레이의 부재이다. 그나마 FUT과는 연장승부까지 가는 등 분전해봤지만 결국 조금이라도 조직적인 움직임을 보였던 FUT에 비해 게임을 이겨낼 결정타가 부족한 점이 발목을 잡았다.

지난 마스터스 상하이에 이어 이번에도 CN 지역 하위 시드팀이 무기력하게 탈락하면서 이번에도 CN지역에 대한 저평가를 떨쳐내지 못했다. 이미 많은 시청자들이 추후 챔피언스에서 CN지역에 4개의 시드를 주는 것이 타당한지에 대한 의구심을 드러내고 있다.

4.3. 파일:VCT EMEA 심볼.png EMEA (유럽, 중동, 아프리카) - 최종 성적:

4.3.1. 1시드 파일:Fnatic 로고.svg Fnatic - 플레이오프 패자조 1라운드 탈락

파일:2024MastersSH FNC Eliminated.jpg
Didn’t show up even near our best in Shanghai, and our run ends as quick as it started. No choice but to turn this disappointment into fuel for the rest of the year.
상하이에서 최고의 성적을 내지 못했고, 시작과 동시에 대회가 끝이 났습니다. 이 실망감을 남은 한 해를 위한 원동력으로 삼겠습니다.

The support in China has been incredible, and we want to thank all of you for turning out and watching on.
중국에서의 응원은 정말 놀라웠고, 현장에 나와서 지켜봐 주신 모든 팬들에게 감사의 말씀을 전하고 싶습니다.
FNC 탈락 코멘트

EMEA 스테이지 1을 우승하고 EMEA 1시드로 호기롭게 마스터스에 진입한 프나틱은 연거푸 2패를 당하며 마스터스 플레이오프에서 광탈하게 되었다. 첫 경기 젠지전까지만 해도 더크의 아쉬운 모습을 제외하면 유연한 운영과 레오-알파예르를 위시한 2선라인이 건재한 모습을 보여주었지만, 패자조 FUT과의 경기에서는 그 힘은 온데간데 없이 역전패를 당하면서 위상이 곤두박질치게 되었다. 팬들이 이번 마스터스 행보가 플레이오프 때 반짝한 것 마냥 고점을 찍었다가 다시 풀리그 당시의 저조한 폼으로 돌아온 것이라는 평을 남길 정도로 프나틱의 경기력 낙차 폭이 심각했음을 방증한다. 이후 식중독에 걸렸었다는 레오의 트윗이 올라오며 팬들은 경기력의 낙차 원인으로 보고 안타까움을 자아내고 있다. #

4.3.2. 2시드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Team Heretics -

4.3.3. 3시드 파일:FUT Esports 로고.svg 파일:FUT Esports 로고 화이트.svg FUT Esports -

4.4. 파일:VCT_2023_Pacific_League_symbol.png Pacific (아시아 태평양) - 최종 성적:

4.4.1. 1시드 파일:Paper Rex 로고.svg Paper Rex -

4.4.2. 2시드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Gen.G -

4.4.3. 3시드 파일:T1 로고.svg T1 - 스위스 스테이지 2라운드 탈락

파일:2024MastersSH T1 Eliminated.jpg
상하이 마스터즈에서의 일정이 마무리되었습니다.
짧은 기간동안 얻은 경험을 통해 더욱 발전된 모습으로 돌아오겠습니다.

Our journey at Masters Shanghai has come to an end today.
We will move forward with the experience we gained during this period.
T1 탈락 코멘트
전 세계에서 가장 먼저 마스터스 진출을 확정지었던 T1이었지만 G2전 아쉬운 패배 이후 0승 1패 그룹에서 가장 위협적인 레비아탄을 만났고 결국 가장 먼저 탈락하게 되었다.

대진운이 정말 따라주지 않기도 했고, 전체적으로 모든 멤버들의 폼이 조금씩 아쉬웠다. 특히 플레이오프 젠지전부터 저점을 찍기 시작한 사야플레이어가 결국 마스터스에서도 폼 회복을 하지 못하면서 팀의 발목을 제대로 잡아버린 것이 컸다. 중계를 하던 해설진들과 스트리머들도 탄식을 자아낼 정도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