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3 09:35:37

2024 발로란트 마스터스 상하이/스위스 스테이지/1라운드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2024 발로란트 마스터스 상하이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91919> 파일:vct_마스터스.svg 2024 발로란트 마스터스 상하이
경기 일정
}}} ||
스위스
(5/23 ~ 5/27)
||
플레이오프
(5/30 ~ 6/9)
승자조 패자조
결승
결산

1. 개요2. 경기 진행
2.1. 1경기 G2 2 : 1 T1
2.1.1. 경기 내용
2.1.1.1. 1세트2.1.1.2. 2세트2.1.1.3. 3세트
2.1.2. 총평
2.2. 2경기 FPX 2 : 1 FUT
2.2.1. 경기 내용
2.2.1.1. 1세트2.2.1.2. 2세트2.2.1.3. 3세트
2.2.2. 총평
2.3. 3경기 GEN 2 : 1 LEV
2.3.1. 경기 내용
2.3.1.1. 1세트2.3.1.2. 2세트2.3.1.3. 3세트
2.3.2. 총평
2.4. 4경기 TH 2 : 0 DRG
2.4.1. 경기 내용
2.4.1.1. 1세트2.4.1.2. 2세트
2.4.2. 총평
3. 1라운드 총평
3.1. 리그별 평가3.2. 1승 0패3.3. 0승 1패

1. 개요


2024 발로란트 마스터스 상하이 스위스 스테이지 1라운드 경기들을 모아놓은 문서다.

2. 경기 진행

파일:vct_마스터스.svg 스위스 1라운드 중계진 및 인터뷰어
1-2경기
채민준 정인호 김진영 이정현
3-4경기
유정선
파일:vct_마스터스.svg 스위스 1라운드
0-0 (Bo3, 5/23~24)
1경기
파일:G2 Esports 로고.svg 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2 1 파일:T1 로고.svg
2경기
파일:FPX 로고 2021.svg 2 1 파일:FUT Esports 로고.svg 파일:FUT Esports 로고 화이트.svg
3경기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2 1 파일:Leviatán_2021.png
4경기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2 0 파일:Dragon_Ranger_Gaming_logo_without_text_allmode.png

초록색: 라운드 승리

2.1. 1경기 G2 2 : 1 T1

파일:vct_마스터스.svg 스위스 1라운드 0-0 1경기
(2024.5.23. 17:00)
G2 Esports 2 1 T1
× × ×
1승 결과 1패
파일:vct_마스터스.svg 2024 발로란트 마스터스 상하이
스위스 스테이지 1라운드 0-0 1경기 선발 라인업
파일:G2 Esports 로고.svg <colbgcolor=#191919> 파일:vct_마스터스.svg 파일:T1 로고.svg
G2 Esports T1
<colbgcolor=#fff><colcolor=#ed2025> 조나 풀리체
(JonahP)
<colbgcolor=#000><colcolor=#fff> 하정우
(Sayaplayer)
제이콥 랭
(icy)
이재혁
(carpe)
트렌트 케언스
(trent)
함우주
(iZu)
제이콥 바티오
(valyn)
케빈 수산토
(Xccurate)
네이선 오르프
(leaf)
다니엘 아베드랍보
(Rossy)

[include(틀:발로란트/맵밴픽, bgcolor=6f4ACC, color=ECE8E1, ateam=G2, bteam=T1,
aban=스플릿, bban=선셋, aban2=바인드, bban2=어센트,
p_apic=브리즈, p_bpic=아이스박스, p_cpic=로터스,
1attack=공격, 2attack=수비, 3attack=공격)]

2.1.1. 경기 내용

2.1.1.1. 1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브리즈, set=1, teamD=G2, teamA=T1,
dpic1=요루, dpic2=사이퍼, dpic3=아스트라, dpic4=소바, dpic5=바이퍼,
apic1=제트, apic2=요루, apic3=소바, apic4=바이퍼, apic5=하버,
dplayer1=icy, dplayer2=leaf, dplayer3=valyn, dplayer4=trent, dplayer5=JonahP,
aplayer1=Sayaplayer, aplayer2=iZu, aplayer3=carpe, aplayer4=Rossy, aplayer5=Xccurate,
dScore=<b> 13, aScore=8 )]

T1이 하버-바이퍼를 선택했다. G2는 요루와 아스트라를 기용해 맵을 넓게 사용하는 조합을 택했다.

T1이 초반부터 몰아치는 G2를 막지 못하면서 5-1로 최악의 출발을 했으나 그럼에도 7-5까지 따라 붙으며 전반전 종료. 그러나 리프가 그야말로 각성하면서 13-8로 마무리.

T1으로서는 G2가 기용한 사이퍼 때문에 정보전에서 크게 밀리며 고전했고, 결과적으로 공격에서 상대에게 리드를 내어주며 하버-바이퍼를 이용해 수비에 집중할 필요가 있었으나 피스톨라운드 패배 이후 재활용라운드까지 G2가 가져가며 자금관리가 터져버렸다. G2는 리프가 에이스를 비롯해 최고점을 찍는 퍼포먼스를 뽐내며 팀을 승리로 이끌었다. 퍼스트 킬만 무려 6회를 기록할 정도로 사이퍼의 진수를 보여주었다.
2.1.1.2. 2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아이스박스, set=2, teamD=G2, teamA=T1,
dpic1=게코, dpic2=킬조이, dpic3=하버, dpic4=소바, dpic5=바이퍼,
apic1=세이지, apic2=레이나, apic3=소바, apic4=바이퍼, apic5=체임버,
dplayer1=icy, dplayer2=leaf, dplayer3=valyn, dplayer4=trent, dplayer5=JonahP,
aplayer1=Sayaplayer, aplayer2=iZu, aplayer3=carpe, aplayer4=Rossy, aplayer5=Xccurate,
dScore=1, aScore=<b> 13 )]

G2는 노엔트리 2척후 2연막 조합에 킬조이를 선택했고, T1은 플레이오프에서 선보인 체임버와 세이지를 다시 한번 선택했다.

전반전을 단 1실점으로 마무리한 T1이 후반전 피스톨과 포스트피스톨을 연달아 승리하며 단 한 라운드만 내주는 대승을 거뒀다. 전 세계적으로 고평가 받는 G2의 아이스박스를 내어준 이유를 증명했다.
2.1.1.3. 3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로터스, set=3, teamD=G2, teamA=T1,
dpic1=레이즈, dpic2=오멘, dpic3=페이드, dpic4=바이퍼, dpic5=체임버,
apic1=레이즈, apic2=킬조이, apic3=오멘, apic4=페이드, apic5=바이퍼,
dplayer1=icy, dplayer2=leaf, dplayer3=valyn, dplayer4=trent, dplayer5=JonahP,
aplayer1=Sayaplayer, aplayer2=iZu, aplayer3=carpe, aplayer4=Rossy, aplayer5=Xccurate,
dScore=<b>14, aScore=12 )]

T1이 전반전을 9-3으로 리드하며 마무리했으나, G2도 후반전 매섭게 따라붙으며 결국 22라운드에 11-11로 동점이 되었다. 그러나 23라운드 T1이 황혼을 사용하며 진입하는 상대를 카르페의 슈퍼플레이로 저지하는데 성공하면서 선매치를 따냈다. 이어서 24라운드 G2 역시 발린이 사이트 안에서 벌어진 미니게임을 승리하면서 연장전으로 향한다.

연장전에서는 결국 인원수가 적은 상황에서도 에임으로 전장을 타개한 리프의 슈퍼플레이가 다시 한번 터져나오며 G2가 승자전으로 향한다.

2.1.2. 총평

파일:20240523_G2 vs T1.jpg
T1은 퍼시픽 이후 여러모로 준비를 철저히 해온 것이 보이는 영리한 운영을 보여주었고, 특히나 아이스박스에서 G2의 노엔트리 조합을 파훼하는 전략을 준비해오며 향후 경기들이 기대되는 경기력을 선보였다.

T1의 결정적인 패인은 결국 오퍼레이터 운용에서 갈렸다. 리그 내에서도 A급 오퍼수로 보기는 어려운 엑스큐레이트의 오퍼를 끝까지 고집하며 연장전 수비 라운드를 허무하게 내줬고, 실제로 엑스큐레이트가 오퍼나 역작을 들 때마다 딱히 재미를 본 장면이 나오지 않았다. 결국 오퍼레이터는 팀의 체급을 한 단계 올려주는 묘수이기는 하나, 문제는 파일럿의 역량에 따라 성능이 크게 달라진다는 것인데 제트를 운영하지 못하고 IGL을 맡아야 하는데다 오퍼수로서 번뜩이는 모습을 보여준 적이 없는 엑스큐레이트에 대한 무한 신뢰는 한 번쯤 재고해 볼 필요가 있다. 더군다나 T1은 챔피언스까지 바라보는 입장에서 특히 사야플레이어 카르페가 있음에도 오퍼레이터 운용에 발목을 잡히는 것에 대해 어떻게든 결론을 내야만 한다. 또한 위 내용과 별개로 국제 대회 경험이 많지 않은 이주가 이날 퍼시픽에서와는 달리 기복이 드러난 것도 또한 아쉬웠는데, 이 부분은 결국 시간과 경험만이 해결해주는 문제이므로 당장은 팀의 베테랑인 사야플레이어, 카르페, 엑스큐레이트의 선전이 절실하다.

G2는 리프가 최고점을 찍는 어마어마한 경기력을 선보이면서 브리즈와 로터스를 사실상 리프 혼자의 힘으로 뚫어냈다. 아메리카에서도 최상급 감시자로 손꼽히지만 이날은 에임마저도 신들린 모습을 보여주며 경기를 지배했다. 다만 믿었던 아이스박스에서 13:1로 대패한 것이나 로터스 또한 주요 순간마다 리프의 슈퍼 플레이가 터져나와 승리한 것이나 다름없던 만큼 팀원 전체의 경기력이 아직 궤도에 올랐다고 보기는 어렵다. 현 메타에서 인게임 내 오퍼레이터와 엔트리의 가치가 굉장히 높은 상황임에도 엔트리 없이 경기에 임하고 있지만, 어쨌든 월드클래스 팀들을 상대로 이 부분은 치명적인 약점이 될 가능성이 높다. 결국 이 약점을 타개하려면 창의적이고 유동적인 택틱을 더더욱 극대화하여 상대의 혼란을 유발하는 방법밖에 없다.

2.2. 2경기 FPX 2 : 1 FUT

파일:vct_마스터스.svg 스위스 1라운드 0-0 2경기
(2024.5.23. 20:00)
FunPlus Phoenix 2 1 FUT Esports
× × ×
1승 결과 1패
파일:vct_마스터스.svg 2024 발로란트 마스터스 상하이
스위스 스테이지 1라운드 0-0 2경기 선발 라인업
파일:FPX 로고 2021.svg <colbgcolor=#191919> 파일:vct_마스터스.svg 파일:FUT Esports 로고.svg
FunPlus Phoenix FUT Esports
<colbgcolor=#fa0f00><colcolor=#000> 장양
(AAAAY)
<colbgcolor=#ed1a3a><colcolor=#121824> 푸르칸 예엔
(MrFailN)
장보린
(BerLIN)
도우칸 발라반
(qRaxs)
케일 던
(autumn)
메흐메트 이페크
(cNed)
취둥하오
(Life)
아타 탄
(ATA KAPTAN)
량유하오
(Lysoar)
에라이 부다크
(yetujey)

[include(틀:발로란트/맵밴픽, bgcolor=6f4ACC, color=ECE8E1, ateam=FUT, bteam=FPX,
aban=브리즈, bban=스플릿, aban2=어센트, bban2=바인드,
p_apic=선셋, p_bpic=로터스, p_cpic=아이스박스,
1attack=공격, 2attack=공격, 3attack=공격)]

2.2.1. 경기 내용

2.2.1.1. 1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선셋, set=1, teamD=FUT, teamA=FPX,
dpic1=게코, dpic2=사이퍼, dpic3=브리치, dpic4=레이즈, dpic5=오멘,
apic1=페이드, apic2=오멘, apic3=사이퍼, apic4=하버, apic5=요루,
dplayer1=qRaxs, dplayer2=yetujey, dplayer3=MrFailN, dplayer4=cNed, dplayer5=ATA KAPTAN,
aplayer1=AAAAY, aplayer2=Lysoar, aplayer3=autumn, aplayer4=BerLIN, aplayer5=Life,
dScore=7, aScore=<b>13 )]
2.2.1.2. 2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로터스, set=2, teamD=FPX, teamA=FUT,
dpic1=게코, dpic2=오멘, dpic3=바이퍼, dpic4=아스트라, dpic5=레이즈,
apic1=브리치, apic2=사이퍼, apic3=오멘, apic4=제트, apic5=바이퍼,
dplayer1=AAAAY, dplayer2=Lysoar, dplayer3=autumn, dplayer4=BerLIN, dplayer5=Life,
aplayer1=qRaxs, aplayer2=yetujey, aplayer3=MrFailN, aplayer4=cNed, aplayer5=ATA KAPTAN,
dScore=12, aScore=<b>14 )]
2.2.1.3. 3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아이스박스, set=3, teamD=FPX, teamA=FUT,
dpic1=게코, dpic2=오멘, dpic3=케이/오, dpic4=하버, dpic5=클로브,
apic1=케이/오, apic2=킬조이, apic3=소바, apic4=제트, apic5=바이퍼,
dplayer1=AAAAY, dplayer2=Lysoar, dplayer3=autumn, dplayer4=BerLIN, dplayer5=Life,
aplayer1=qRaxs, aplayer2=yetujey, aplayer3=MrFailN, aplayer4=cNed, aplayer5=ATA KAPTAN,
dScore=<b>13 , aScore=10 )]

클로브가 국제 대회에서는 처음 등장하였다.

2.2.2. 총평

파일:20240523_FPX vs FUT.jpg

지략보단 무력으로 승부보는 두 팀의 대결에서 교전의 설계를 그나마 더 잘 깎아오고 에임도 잘 긁힌 fpx가 승리를 거뒀다.

FUT는 이때까지만 해도 무난하게 탈락할 것으로 여겨졌다...

2.3. 3경기 GEN 2 : 1 LEV

파일:vct_마스터스.svg 스위스 1라운드 0-0 3경기
(2024.5.24. 17:00)
Gen.G 2 1 Leviatán
× × ×
1승 결과 1패
파일:vct_마스터스.svg 2024 발로란트 마스터스 상하이
스위스 스테이지 1라운드 0-0 3경기 선발 라인업
파일:Gen.G 로고 심플.svg <colbgcolor=#191919> 파일:vct_마스터스.svg 파일:Leviatán_2021.png
Gen.G Leviatán
<colbgcolor=#aa8a00><colcolor=#000> 김태오
(Meteor)
<colbgcolor=#fff><colcolor=#fff> 프란시스코 아라베나
(kiNgg)
김나라
(t3xture)
에리크 산투스
(aspas)
김종민
(Lakia)
로베르토 리바스
(Mazino)
변상범
(Munchkin)
이안 보시
(tex)
김원태
(Karon)
코빈 리
(C0M)

[include(틀:발로란트/맵밴픽, bgcolor=6f4ACC, color=ECE8E1, ateam=LEV, bteam=GEN,
aban=어센트, bban=선셋, aban2=스플릿, bban2=바인드,
p_apic=아이스박스, p_bpic=로터스, p_cpic=브리즈,
1attack=수비, 2attack=공격, 3attack=수비)]

2.3.1. 경기 내용

2.3.1.1. 1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아이스박스, set=1, teamD=GEN, teamA=LEV,
dpic1=제트, dpic2=게코, dpic3=케이/오, dpic4=킬조이, dpic5=바이퍼,
apic1=제트, apic2=킬조이, apic3=바이퍼, apic4=소바, apic5=하버,
dplayer1=t3xture, dplayer2=Lakia, dplayer3=Munchkin, dplayer4=Meteor, dplayer5=Karon,
aplayer1=aspas, aplayer2=tex, aplayer3=kiNgg, aplayer4=C0M, aplayer5=Mazino,
dScore=7, aScore=<b>13 )]
2.3.1.2. 2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로터스, set=2, teamD=GEN, teamA=LEV,
dpic1=레이즈, dpic2=페이드, dpic3=바이퍼, dpic4=킬조이, dpic5=오멘,
apic1=레이즈, apic2=킬조이, apic3=바이퍼, apic4=페이드, apic5=오멘,
dplayer1=t3xture, dplayer2=Lakia, dplayer3=Munchkin, dplayer4=Meteor, dplayer5=Karon,
aplayer1=aspas, aplayer2=tex, aplayer3=kiNgg, aplayer4=C0M, aplayer5=Mazino,
dScore=<b>13, aScore=5 )]
2.3.1.3. 3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브리즈, set=3, teamD=LEV, teamA=GEN,
dpic1=제트, dpic2=사이퍼, dpic3=바이퍼, dpic4=소바, dpic5=케이/오,
apic1=제트, apic2=소바, apic3=바이퍼, apic4=요루, apic5=아스트라,
dplayer1=aspas, dplayer2=tex, dplayer3=kiNgg, dplayer4=C0M, dplayer5=Mazino,
aplayer1=t3xture, aplayer2=Lakia, aplayer3=Munchkin, aplayer4=Meteor, aplayer5=Karon,
dScore=7, aScore=<b>13 )]

2.3.2. 총평

파일:20240524_GEN vs LEV.jpg
분명 아스파스는 제 몫 혹은 그 이상을 해 준 세트들이 많았지만, 나머지 선수들, 특히 C0M이 2, 3세트에서 저점을 뚫어버리면서 레비아탄 입장에서는 1세트의 약진으로 시작한 경기가 허무하게 끝나버렸다. 젠지는 로터스에서 상대가 잔해 싸움에 적극적이지 않는 것이 레비아탄의 약점 때문임을 파악하자마자 공수 전환 이후 몰아쳤으며, 브리즈 또한 교전에서 아스파스를 제외한 2, 3선 싸움에서 대부분의 승기를 가져가며 레비아탄의 과도한 아스파스 의존도를 공략하며 1세트에서 말린 것 치고는 낙승을 거두었다.

2.4. 4경기 TH 2 : 0 DRG

파일:vct_마스터스.svg 스위스 1라운드 0-0 4경기
(2024.5.23. 20:00)
Team Heretics 2 0 Dragon Ranger
Gaming
- × × -
1승 결과 1패
파일:vct_마스터스.svg 2024 발로란트 마스터스 상하이
스위스 스테이지 1라운드 0-0 4경기 선발 라인업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colbgcolor=#191919> 파일:vct_마스터스.svg 파일:Dragon_Ranger_Gaming_logo_without_text_allmode.png
Team Heretics Dragon Ranger
Gaming
<colbgcolor=#000><colcolor=#fff> 리차르다스
루카셰비치우스

(Boo)
<colbgcolor=#76F35D><colcolor=#fff> 사오이췬
(Nicc)
벤지 피시
(benjyfishy)
전칭
(TvirusLuke)
에네스 에지를리
(RieNs)
일리야 우샤코프
(vo0kashu)
메르트 알칸
(Wo0t)
탕저하오
(nizhaoTZH)
파트리크 파브로프스키
(paTiTek)
장하오쩌
(Shion7)

[include(틀:발로란트/맵밴픽, bgcolor=6f4ACC, color=ECE8E1, ateam=DRG, bteam=TH,
aban=로터스, bban=어센트, aban2=바인드, bban2=브리즈,
p_apic=아이스박스, p_bpic=선셋, p_cpic=스플릿,
1attack=수비, 2attack=수비, 3attack=수비)]

2.4.1. 경기 내용

2.4.1.1. 1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아이스박스, set=1, teamD=TH, teamA=DRG,
dpic1=제트, dpic2=킬조이, dpic3=바이퍼, dpic4=소바, dpic5=케이/오,
apic1=킬조이, apic2=제트, apic3=소바, apic4=하버, apic5=바이퍼,
dplayer1=Wo0t, dplayer2=benjyfishy, dplayer3=Boo, dplayer4=RieNs, dplayer5=paTiTek,
aplayer1=vo0kashu, aplayer2=TvirusLuke, aplayer3=Nicc, aplayer4=Shion7, aplayer5=nizhaoTZH,
dScore=<b>13, aScore=5 )]
2.4.1.2. 2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선셋, set=2, teamD=DRG, teamA=TH,
dpic1=사이퍼, dpic2=레이즈, dpic3=케이/오, dpic4=게코, dpic5=오멘,
apic1=케이/오, apic2=소바, apic3=오멘, apic4=사이퍼, apic5=레이즈,
dplayer1=vo0kashu, dplayer2=TvirusLuke, dplayer3=Nicc, dplayer4=Shion7, dplayer5=nizhaoTZH,
aplayer1=paTiTek, aplayer2=RieNs, aplayer3=Boo, aplayer4=benjyfishy, aplayer5=Wo0t,
dScore=5, aScore=<b>13 )]

2.4.2. 총평

파일:20240524_TH vs DRG.jpg
DRG가 교전의 공격성만 앞선 나머지 교전 디테일과 택틱, 포스트플랜트에서 헤레틱스에게 한참 못 미치며 헤레틱스가 가볍게 승리했다. 헤레틱스는 파티텍을 급히 투입했음에도 팀합이 무너지지 않았고, 오히려 파티텍의 안정감이 부각되는 등 우스갯소리로 미니부의 자리가 위태로울 정도로 잘하고 있다는 평을 받았다.

3. 1라운드 총평

지역별 2시드 팀이 3시드 팀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면서 자연히 1-0 조에는 2시드, 0-1 조에는 3시드 팀들 간의 격돌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그렇다고 한들 헤레틱스-DRG 전을 제외하면 전부 2-1을 기록하며 격차는 그리 크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3.1. 리그별 평가

3.2. 1승 0패

3.3. 0승 1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