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5:53:07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일자별 경과/2020년 11월·12월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일자별 경과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관련 법률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범죄인 인도법안 · 파일:중국 국기.svg 반분열국가법 · 파일:영국 국기.svg 홍콩 국가보안법에 대한 여왕 폐하의 정부의 대응 · 파일:미국 국기.svg 홍콩 인권 민주주의 법 · 파일:중국 국기.svg 홍콩 국가안전법 ·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국가(國歌)법

홍콩 내부 대응 · 대한민국 반응 · 인터넷 반응
주요 정치인 (당시 직책 기준)

{{{#!wiki style="margin: -11px -10px -6px"
시진핑 주석 · 왕치산 부주석 · 리커창 총리 · 한정 상무위원 · 리잔수 전인대 상무위원장
왕이 외교장관 · 겅솽 외교부 대변인 · 웨이펑허 국방장관
}}}
{{{#!wiki style="margin: -34px -10px -6px"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222>
캐리 람 행정장관 · 매튜 청 전 정무장관 · 폴 찬 재무장관 · 테레사 쳉 법무장관
존 리 정무장관 · 스티븐 로 전 경무처장 · 데이비드 조던 총경사 · 루퍼트 도버 총경사 · 크리스 탕 보안장관 · 앨런 라우 경무부처장 · 레이먼드 시우 경무처장
}}}{{{#!wiki style="margin: 0 -10px -6px"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222> }}}{{{#!wiki style="margin: 0 -10px -6px"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222> }}}{{{#!wiki style="margin: 0 -10px -6px"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222> }}}
주요 언론 · 단체


관련 웹사이트 · SNS · 집결지


주요 사건 지점

홍콩 입법회(시위대 점거) · 홍콩 국제공항(공항 점거 시위) · 윈롱역( 친중파의 백색테러)
정관오역( 홍콩과기대학 학생 사망) · 프린스에드워드역(경찰 과잉진압) · 경마장역(친중파 의원 경마사건)
사이완호역( 홍콩 경찰의 시위대 가슴 조준 실탄 발포)
홍콩중문대학 · 홍콩이공대학(경찰과 시위대 대치) · 홍콩대학(수치의 기둥)
시위 상징


연관 선거

홍콩 입법회 선거: 2021년 홍콩 입법회 선거
홍콩 구의회 선거: 2019년 홍콩 구의회 선거
연관 사건 · 정보

}}}
홍콩 대규모 시위 시작일(2019/06/09)부터
D[dday(2019-06-09)]
송환법 반대 최초 시위 시작일(2019/03/15)부터
D[dday(2019-03-15)]

1. 11월
1.1. 11일1.2. 14일1.3. 15일1.4. 19일1.5. 20일1.6. 21일1.7. 23일1.8. 26일1.9. 27일1.10. 28일
2. 12월
2.1. 1일2.2. 2일2.3. 3일2.4. 6일2.5. 8일2.6. 9일2.7. 11일2.8. 12일2.9. 14일2.10. 17일2.11. 18일2.12. 21일2.13. 23일2.14. 27일

[clearfix]

1. 11월

1.1. 11일

중국공산당에서 본토파 의원을 강제 축출시켰고, 이에 항의한 민주파 의원들까지 총사퇴했다. 이에 대해 주 홍콩 중국국무원 연락사무소[1]는 성명에서 "홍콩이 반드시 애국자의 지배를 받아야 한다는 정치적 원칙은 확고히 지켜져야 한다"고 밝혀 친중파 중국공산당의 직접 지배를 받을 것임을 명확히 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8
, 3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8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2. 14일

조슈아 웡은 홍콩 의회에서 견제와 균형이 사라졌다고 밝혔고 이에 다른 방식으로 투쟁한다고 밝혔다. #

1.3. 15일

홍콩 보안법 위반 익명 신고가 일주일 만에 1만 건을 넘어섰다. #

1.4. 19일

홍콩 보안법시행으로 인해 홍콩인들이 영국에서 부동산을 사들이고 있다. #

1.5. 20일

대만으로 밀항 시도한 홍콩인 12명을 체포하였는데, 구금 중에 일부가 가족에게 보낸 편지에서 고문과 구타가 없고 아주 잘 지내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가족들은 편지의 상당 문구가 비슷하고 홍콩인들이 쓰는 표현이 아니라는 점 등을 지적하며 자발적으로 쓴 게 아니라고 의심하고 있다. #

1.6. 21일

대만에 망명한 홍콩 청년들을 위해 이들의 교육비를 지원하자는 모금 캠페인을 벌이던 라디오 진행자가 홍콩 국가보안법 위반 등 혐의로 체포됐다. #

1.7. 23일

조슈아 웡과 아그네스 차우, 이반 램 등 전 홍콩 데모시스토당 멤버 3명이 불법집회 가담 혐의 등으로 구류 처분을 받고 수감됐다. # 이에 조슈아 웡은 자신의 법정구속 가능성을 전망하며 감옥에서도 계속 투쟁한다고 밝혔다. # 법정에서 유죄를 인정했고 실형이 언도될 것으로 보이고 있다. #

1.8. 26일

조슈아 윙은 자신이 유죄 선고를 받더라도 홍콩의 민주화 운동은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

1.9. 27일

홍콩 교육당국이 고등학교 인문학 과목을 개편해 중국 관련 내용을 대폭 강화되고, 학생들의 중국 본토 현장학습도 도입하기로 했다. #

중국 당국에 의해 구속된 홍콩인 12명에 대한 재판이 열릴 예정이다. #(중국어)

1.10. 28일

홍콩 당국이 교육과정을 중국화하는 방식으로 개편하려고 하자 온라인에선 반대청원이 생겼다. #

2. 12월

2.1. 1일

BBC와의 인터뷰에서 아그네스 차우는 홍콩 당국의 탄압에 따른 절망과 두려움에도 민주주의를 위해 계속 싸워야 한다고 호소했다. #

2.2. 2일

조슈아 웡 아그네스 차우 등 3명이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

2.3. 3일

지미 라이가 체포됐다. #

같은 날, 전 야당 의원인 테드 후이가 덴마크로 탈출하는 데 성공해 영국에 망명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

2.4. 6일

테드 후이 전 의원이 영국에 도착했다. # 같은날 홍콩 경찰은 테드 후이 전 의원과 가족의 계좌를 동결시켰다. #

2.5. 8일

민주파 정치인과 시민사회 활동가 등 8명이 불법시위 등의 혐의로 무더기로 체포됐다. #

2.6. 9일

홍콩 법원이 아그네스 차우가 신청한 보석요청을 기각했다. #

2.7. 11일

지미 라이가 홍콩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기소됐다. #

청년신정 소속이었던 바지오 렁(梁頌恒) 전 입법회 의원이 미국 망명을 가졌다. #

2.8. 12일

홍콩 입법회에서 오성홍기를 거꾸로 계양하는 사태가 일어났다. # 참고로 오성홍기를 거꾸로 계양해도 처벌받는다.

2.9. 14일

지미 라이 빈과일보 회장의 구속 이후 국제사회에서 석방 목소리가 커지자 홍콩 법무부가 성명을 통해 "어이없다"고 일축했다. #

2.10. 17일

대만에 망명하려다가 중국 당국에 붙잡힌 홍콩 청년들이 중국 본토에서 기소되었다. #

2.11. 18일

지미 라이가 중범죄자들이 수감된 교도소로 이감됐다. #

2.12. 21일

네이선 로가 영국에 정식 망명을 신청했다. #

2.13. 23일

지미 라이가 법원의 보석 신청 결정으로 풀려났다. #

송환법 반대 시위에 참가하다가 실탄을 맞고 부상당한 홍콩의 고등학생이 망명을 신청했다. #

2.14. 27일

홍콩 경찰이 해외에 체류중인 민주화 운동가와 야권 인사 30여명을 수배하고 있다. #


[1] 홍콩 주재 중국의 총영사관급 기관이며 홍콩 정부와 동격의 기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