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5 12:03:57

효창선

효창선
孝昌線 | Hyochang Line
소유자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에 소유권 행사 위임
운영기관 한국철도공사
노선번호 30301
노선명 경의선 효창선 (京義線 孝昌線)
종류 지선철도, 일반철도
영업거리 1.8㎞
궤간 1435㎜
역수 2
기점 용산역
종점 효창역
급전방식
신호장비
개업일 1978년
운영노선

1. 개요2. 상세3. 역 목록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효창선(孝昌線, Hyochang Line)은 한국철도공사 철도 노선으로, 용산역 효창역을 잇는 경의선 지선철도이다. 용산역에서 가장 동쪽에 있는 선로인 경원선 승강장 쪽으로 들어가는 용산선과 달리 용산역 서쪽의 경부선 승강장 쪽에서 효창역으로 들어간다.

용산선 지하화 및 인천국제공항철도 공사에 따라 용산선과 이어지는 선로를 끊어버려 폐선이나 다름없는 상태가 되었지만, 국토교통부 철도거리표에는 여전히 등재되어 있어 공식적으로 폐선은 아니다.

2. 상세

각종 인터넷 자료에서 효창선이라 불리는 구간은 경부선 용산역과 효창역을 이어주는 선로를 의미하기도 하고 경원선 용산역 승강장에서 과선교를 넘어 효창역으로 이어주는 선로를 의미하기도 한다. 규정에서는 효창선이 어느 구간을 말하는 것인지 명확하지 않다. 철도차량운행시설 사용 기준이나 2014년까지의 한국철도공사 열차운전시행세칙에서 용산선은 용산(경원선)~효창간으로 제시되어 있고, 국토교통부 철도거리표에서는 2015년까지 용산선 용산 - 효창 구간과 효창선 용산 - 효창 구간이 정확히 같은 내용으로 기재되어 있다. 그런데 2015년에 한국철도공사의 열차운전시행세칙에서 효창선이 삭제되고, 같은 해에 효창역이 효창공원앞역으로 역명 개정될 때에는 용산선에 대해서만 개정했을 뿐 효창선에서의 역명은 개정되지 않아서, 용산선에서 용산역 경원선 승강장으로 이어지는 노선이 용산선인 것처럼 되어 있다.

이렇게 꼬인 이유는 1978년까지 용산선은 효창역에서 경부선 용산역으로 바로 이어지는 선로였기 때문이다. 용산선과 경원선 승강장을 잇는 현재의 용산선 본선 선로는 1978년에 만들어졌다. 따라서 본래 효창선은 용산선-경원선 용산역을 잇는 선로였다가 용산선 지하화 이후 경원선으로 이어지는 노선이 용산선이 되고 용산선-경부선 용산역 구간은 효창선으로 바뀌었다고 할 수 있다. 용산선-경원선 연결선로가 만들어진 이후에도 경부선에서 용산선으로 열차를 진입시키는 선로가 여전히 필요했기에 2000년대 초반까지 용산선은 경원선과 경부선 모두에 이어지는 형태로 있게 되었다.

용산선이 공항철도 공사로 인해 철거된 이후로는 과거 용산역 서쪽에 있었던 차량사업소( 용산국제업무지구 자리)로 열차를 진입시키기 위한 인상선 용도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용산선 지하화 공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어 효창역의 역사가 철거된 2009년에 효창선은 반토막이 나버리고 이듬해에 남은 선로도 모두 치워버려서 영업이 중지되었다. 지하화와 함께 용산선은 경원선으로만 연결된 상태이며, 효창선은 실질적으로는 폐선 상태로서 2015년 7월 20일부로 한국철도공사의 열차운전시행세칙에서도 삭제되었으나 국토교통부 철도거리표에는 여전히 등재되어 있어서 법적으로는 아직 폐선이 아니다. 해당 구간의 철도사업 폐지허가를 아직 받지 못한 듯하다. 2014년 경의중앙선 직결 공사 시 용산역 구내배선도를 보면 배선도 아래쪽 경의선 표지 오른쪽에 작게 효창선이라 써진 것을 볼 수 있다.

효창선이 재개통되어 지하화된 용산선과 연결되려면, 용산선이 지하로 내려가는 지점에서 문산행 선로와 만나야 한다. 이때의 노선 길이는 용산역에서 효창공원앞역까지의 1.5km가 아니라, 300m 가량에 불과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용산선 효창공원앞-용산 구간의 34퍼밀에 육박하는 구배가 생기며, 경부선상에서 용산선에 일반 열차를 운용하기도 어려워진다. 게다가 문평산 건널목을 부활시켜야 하는데, 아파트 단지 바로 옆에 철도건널목이 생기는 문제가 생긴다. 이러한 문제들 때문에 다시는 철도 노선으로서의 기능을 회복하는 건 어려워 보인다.

흔적으로 한동안 문평산건널목에 레일 조각이 아스팔트에 남아있었으나, 보행환경 조성으로 보도가 설치되면서 이마저도 사라졌다.[1] 용산 쪽으로 철도건널목 표지판이, 건널목 근처의 건널목 관련 시설물 흔적이 효창선이 지나다닌 흔적이라 할 수 있다. 선로는 모두 철거되었으며 하천을 넘던 철교 역시 2014년 철거 후 다시 지었지만 주차장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데다가 노반 거의 전체가 제거되어 공원화되어 다시 열차가 운행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네이버 지도에서는 "용산선(경의선2차)"로 표시되어 있다. 카카오맵(다음 지도)에서는 선로만 표시되어 있다.

3. 역 목록

<rowcolor=#fff> 일러두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fff> 여객, 화물 취급
K KTX 필수정차 k KTX 선택정차
R SRT 필수정차 r SRT 선택정차
iC ITX-청춘 필수정차 ic ITX-청춘 선택정차
iM ITX-마음 필수정차 im ITX-마음 선택정차
iS ITX-새마을/진입 시 새마을호 필수정차 is ITX-새마을/진입 시 새마을호 선택정차
S ITX-새마을 진입불가구간 새마을호 필수정차 s ITX-새마을 진입불가구간 새마을호 선택정차
M 무궁화호/ 누리로 필수정차 m 무궁화호/ 누리로 선택정차
X 동해산타열차 정차 V 백두대간협곡열차 정차
N 남도해양열차 정차 G 서해금빛열차 정차
A 정선아리랑열차 정차
T 광역철도 급행 정차 t 광역철도 정차
H 화물취급 여객/화물 미취급
<rowcolor=#fff> 역 등급
관리역
보통역 운전간이역
배치간이역 무배치간이역
임시승강장 을종위탁발매소
신호장 신호소 }}}}}}}}}

역명 운행계통 등급 분기선
0.0 용 산 龍 山 KiCimiSMTG 경부선
경원선
용산선
1.8 효 창[2] 孝 昌 ?[3]

4. 관련 문서



[1] 한동안 아스팔트에 묻혀있어 흔적을 찾기도 어려웠다. [2] 효창선상의 효창공원앞역은 역명변경이 적용되지 않았다. [3] 효창공원앞역이 무배치간이역이기에 효창역 역시 같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