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7 14:32:28

황해북도

황북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bgcolor=#FFF,#191919>
평양시
남포시 개성시 라선시
함경남도 함경북도 량강도
평안남도 평안북도 자강도
황해남도 황해북도 강원도
[주의] 북한에서는 남한에서 'OO특별/광역시'라고 표기하는 것과 달리 'OO시'라고 표기한다.
[가] 북한 헌법과 조선로동당 규약상으로는 '직할시'만 명시적으로 존재하며, 평양시, 남포시, 라선시, 개성시를 모두 동급의 직할시(혹은 특별시)로 간주한다.
}}}}}}}}}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e40001>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16px -11px;"
도인민위
사리원시
송림시 }}}
곡산군 금천군 린산군 봉산군 상원군
서흥군 수안군 승호군 신계군 신평군
연산군 연탄군 은파군 중화군 토산군
평산군 황주군 장단군
}}}}}}}}}


[[북한|]][[틀:국기|]][[틀:국기|]] 북한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황해북도
黃海北道
North Hwanghae Province
}}}
<colbgcolor=#E20001><colcolor=#ffffff> 도소재지 사리원시
하위 행정구역 2 17
면적 7,612km²
인구 2,844,568명
인구밀도 374명/㎢
당위원회 책임비서

박창호
인민위원장

김선일
지역번호 041[1], 043[2]
ISO 3166-2 KP-06

1. 개요2. 특성3. 역사
3.1. 역대 책임비서
4. 광복 직후 / 현재의 행정구역 비교5. 정리
5.1. 경기도에서 편입한 시·군5.2. 평양시에서 편입한 군
6. 교통7. 통일 이후

[clearfix]

1. 개요

북한 남서부에 위치한 도. 도 소재지는 사리원시.

남쪽 및 서쪽으로 황해남도 개성시, 동쪽으로 강원도(북한), 북쪽으로 평양시 평안남도와 맞닿아 있다.

2. 특성

황해도라는 이름과 달리, 실제로는 충청북도처럼 황해도의 북부가 아니라 동부에 위치해 있다. 기타 남북도와 이름을 맞춰서 황해북도 소재지인 사리원시가 황해남도 소재지인 해주시보다 북쪽에 있어서 지어진 명칭일 가능성도 있다. 단지 황해북도는 6.25 전쟁 후 점령한 남한령 경기도의 일부를 황해북도로 합병시켰다는 차이만 있다. 그래서 황해도 출신 탈북자들은 사투리 강세가 약한 경우가 많고, 황해북도 남부(개성 인근) 출신들이 평균적으로 특히 더 약하며 남한의 표준어 말투를 빨리 배운다.

북한에서 가장 면적이 작은 도로, 황해남도와 함께 면적 1만km²가 채 되지 않으며 황해남도보다 황해북도가 더 작다.

3. 역사

고구려 남부 지역이었고 신라가 차지한 후 한주, 패강진을 두어 다스렸다. 고려 때는 서해도를 두었고, 고려 후기 한정으로는 개경을 중심으로 한 고려 경기에 지금의 황해북도 지역 대부분이 편입됐다. 조선시대에 지금의 황해남도 지역과 함께 황해도를 이루었다. 이 때부터 남북도 분리 이전의 역사에 대해서는 황해도 문서 참조.

북한은 1954년 10월 사리원시, 송림시 및 봉산군 외 13군 등의 황해도 북동 지역과 휴전 후 북한지역으로 편입된 미수복 경기도 개풍군, 장단군을 합하여 황해북도를 신설하고, 이와 동시에 나머지 황해도 지역은 황해남도가 되었다.

북한은 그 정권의 특성상(...) 행정구역이 이리저리 바뀌기로 유명하다. 1991년 초판 발행된 <최신북한지도 부 중국주요지도부>에 따르면 해방 당시 11시 89군이던 것을 시 및 군 통합 170여 개로 대폭 늘렸고 시와 군의 경계선도 심하게 바뀌었다고 한다. 북한의 심시티 오죽했으면 이 지도에서는 아예 해방 전과 당시의 군 경계선을 같이 나타낸다(...). 현재는 절판.

3.1. 역대 책임비서

4. 광복 직후 / 현재의 행정구역 비교

북한에서 바꾼 행정구역은 다음과 같다. 다만 2008년 이후에도 송림시, 신평군 일대의 관할구역이 바뀌었으나 면적에 미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표에서 적는 행정단위의 이동은 면 단위 이하는 안 쓴다.
면적의 단위는 ㎢이며 소수점 이하는 반올림하였다.
황해도의 행정구역 변화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번호 시 / 군 면적 번호 시 / 군 면적 참고
황해도 A 송화군 723 황해남도 A 과일군 324
B 송화군 193
H 삼천군 353 [3]
황해도 B 장연군 1,073 황해남도 C 장연군 396
D 룡연군 463
J 태탄군 341 [4]
황해도 C 은률군 467 황해남도 E 은률군 413 [5]
황해도 D 안악군 851 황해남도 F 은천군 454
G 안악군 386 [6]
황해도 E 신천군 792 황해남도 [7]
H 삼천군 354 [8]
I 신천군 490
황해도 F 벽성군 1,564 황해남도 [9]
J 태탄군 342 [10]
K 벽성군 449
L 신원군 479 [11]
M 해주시 206 [12]
N 청단군 489 [13]
P 강령군 506 [14]
황해도 G 옹진군 1,062 황해남도 [15]
O 옹진군 639
황해도 H 재령군 740 황해남도 Q 재령군 328
황해북도 T 은파군 378 [16]
황해도 I 황주군 874 황해북도 R 황주군 517
U 연탄군 544 [17]
송림시 65 [18]
황해도 J 봉산군 842 황해북도 S 봉산군 436 [19]
T 은파군 378 [20]
황해도 K 서흥군 914 황해북도 U 연탄군 544 [21]
V 서흥군 566
W 린산군 503 [22]
황해도 L 평산군 1,353 황해북도 [23]
황해남도 X 봉천군 493 [24]
황해북도 Y 평산군 545
황해도 M 연백군 936 황해남도 N 청단군 489 [25]
Z 연안군 479 [26]
a 배천군 475 [27]
황해도 N 수안군 1,215 황해북도 U 연탄군 544 [28]
b 연산군 547 [29]
c 수안군 666
황해도 O 곡산군 1,854 황해북도 d 신평군 1,075 [30]
e 곡산군 521
황해도 P 신계군 820 황해북도 [31]
f 신계군 722
황해도 Q 금천군 959 황해남도 X 봉천군 493 [32]
황해북도 h 토산군 422 [33]
g 금천군 498
경기도 R 개풍군 744 황해북도 [34]
i 개성시 179 [35][36]
j 개풍군 263 [37]
경기도 S 장단군 724 황해북도 k 장풍군 542 [38]
경기도 T 연천군 696
평안남도 U 중화군 909 황해북도 l 중화군 232
m 상원군 490
평안남도 V 강동군 668 황해북도 n 승호군 159

5. 정리

5.1. 경기도에서 편입한 시·군

5.2. 평양시에서 편입한 군

2010년에 경제난이 심화하면서 북한당국이 평양 시민들에게 안겨주는 특혜를 도저히 감당을 못 하자 평양 동남부의 구역과 군을 떼어 황해북도에 넣은 듯하다. 주로 농업지대가 대부분이고 그나마 있는 공업지대도 소규모라 아무래도 특혜를 굳이 안줘도 되는 만만한 인민들이 살아 떼버렸나(...) 싶을 정도.

원래는 평안남도 소속이고 따라서 평양시에서 떨어지면 평안남도로 돌아가야겠지만, 그러면 평양에 막혀서(...) 이들 군만 고립된 월경지가 되니 황해북도로 편입한 듯하다. 졸지에 황해북도는 해방 전 평안남도 경기도의 지역 일부씩을 얻어 재미있다.

6. 교통

도 북쪽으로 평양원산간 고속도로가 지난다.(그래서 이쪽에는 철길이 없다.) 평부선 황주군 - 사리원시 - 봉산군 - 서흥군 - 평산군 - 금천군 - 개성시 - 개풍군을 지나 장단군 장단역에 이르고 있다. 황해청년선 사리원청년역에서 분기하여 은파군을 지나며, 은파군에서는 은률선이 분기한다. 또 청년이천선 평산군 신계군을 통과한다.

7. 통일 이후

대한민국에서는 북한의 행정구역을 부정하는지라, 남북통일 이후에는 정식 철폐하여 이북 5도에서 사용하는 분단 직전의 행정구역으로 복귀하거나, 제3의 행정구역 개편이 있을 것이다.

북한의 황해도 분할이 상당히 괴악한데 분명 해주보다는 사리원 방면 접근성이 훨씬 좋은 재령, 신천, 은율 같은 지역들이 이상하게 황해남도로 묶여서, 통일 이후에도 현 경계가 유지된다면 도청 소재지 한 번 가려면 멸악산맥을 넘어다녀야 하는 상황이다.[40] 따라서 황남-황북 간 경계 조정은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노령산맥이 전통적으로 호남을 남북으로 갈랐던 것처럼, 멸악산맥이 도계의 기준이 될 가능성이 있다.[41]


[1] 충청남도와 지역번호가 같다. [2] 충청북도와 지역번호가 같다. [3] 남부 2개의 면만 이동 [4] 동부 2개의 면만 이동 [5] 일부 면적이 송화군 소속으로 넘어가 면적이 줄어듦. [6] 동남부 4개의 면만 이동 [7] 북부 3개의 면이 이동 [8] 서부 3개의 면이 이동 [9] 북부 1개의 면만 이동 [10] 서부 2개의 면만 이동 [11] 동부 5개의 면이 이동 [12] 중부 1개의 면과 2개 면 일부가 이동. 구 면적은 불과 14.52㎢였다. 좌측 지도의 F 안의 조그만 동그라미가 해주시. [13] 동부 5개의 면과 2개 면 일부가 이동 [14] 남부 3개의 면이 이동 [15] 동부 4개의 면이 이동 [16] 동부 1개의 면만 이동 [17] 동부 3개의 면이 이동 [18] 겸이포읍이 승격함. 지도에서 R로 표시한 부분 안쪽의 표시없는 곳. [19] 양쪽 지도의 봉산군 구역 내에 있는 조그만 도시가 사리원시이다. 현재 면적 188㎢. [20] 남부 5개의 면이 이동 [21] 북부 3개의 면이 이동 [22] 서남부 1개의 면만 이동 [23] 북서부 4개의 면이 이동 [24] 남부 5개의 면이 이동 [25] 북서부 2개의 면과 1개 면 일부가 이동 [26] 중부 8개의 면이 이동 [27] 동부 9개의 면이 이동 [28] 서부 1개의 면만 이동 [29] 북부 5개의 면이 이동 [30] 북부 5개의 면이 이동 [31] 동북부 1개의 면만 이동 [32] 서부 2개의 면이 이동 [33] 동부 6개의 면이 이동 [34] 북부 1개의 면만 이동 [35] 중부 1개, 남부 1개의 면이 이동 [36] 2019년 상반기에 특별시로 승격되면서 황해북도에서 분리 [37] 2005년 9월에 개성시로 통폐합 [38] 2023년 2월에 개성시로 편입 [39] 항만 건설을 지휘한 공병 장교인 와타나베 겐지(渡辺兼二)의 이름을 따서 '겸이포(兼二浦)'라고 지었다니 이뭐병... [40] 사실 23부제 시절에도 이 지역들은 해주부 소속이었다. 다만 그때는 봉산, 사리원 지역도 해주부 관할이었다. [41] 다만 멸악산맥의 위치상 이걸 기준으로 삼으면 행정구역 수나 인구 수의 불균형이 발생할 가능성도 무시할 수가 없기에, 도계를 놔두고 출장소를 세울 가능성도 있을 것이다. 뭐 통일이 되어야 알겠지만.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