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5 10:42:25

현대 람다 엔진/스마트스트림

현대 스마트스트림(람다-Ⅲ 엔진)
Smartstream Engine
파일:Hyundai Smartstream G3.5(TT).png
<colbgcolor=#002e6b> 개발 및 생산 현대자동차
생산년도 2018년 ~ 현재
구성 V형 6기통(V6)
3.5L
흡기 방식 자연흡기
트윈터보
연료 가솔린 혹은 LPG

1. 개요2. 상세
2.1. GDi2.2. LPi2.3. T-GDi
3. 제원
3.1. 자연흡기3.2. T-GDi3.3. LPi
4. 적용 차종
4.1. 가솔린4.2. LPi
5. 문제점6. 여담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현대 람다 엔진스마트스트림 (3세대) 모델에 대해 서술한 문서이다.

2. 상세

배기량을 3.5L로 일원화 시켰다. 또한 실린더내 직분사 및 흡기 포트 인젝터 둘 다 장착되어 시내 주행과 같은 저·중속 영역에서는 MPI 인젝터를, 고속도로나 자동차전용도로와 같은 고속 영역에서는 GDi 인젝터를 사용하며 운전 조건에 따라 최적의 연료분사를 한다. 대외 명칭은 스마트스트림 G3.5 엔진.

2.1. GDi

2020년에 기존 람다-Ⅱ 3.0/3.3 GDi 엔진을 대체하는 람다-Ⅲ 3.5 GDi 엔진이 출시됐다.

4세대 카니발(294PS)과 7세대 그랜저, K8(300PS)에 탑재된다.

2.2. LPi

LPi는 최고출력 240ps, 최대토크 32kgf·m이며, 현대 그랜저(GN7), 기아 K8, 현대 스타리아에 탑재된다. 그리고 이 엔진부터 8단 자동변속기가 맞물린다. 가솔린 3.5L 차량과 다르게 LPG 3.5L 차량은 흡기CVVT 만 적용 되었다. 배기 CVVT 적용되지 않은것으로 보아 원가 절감으로 보인다.

2.3. T-GDi

2019년 10월 23일에 람다-Ⅲ 3.5 T-GDi 제원이 발표됐다. 출력이 아주 조금 향상됐으며(370PS, 52kgf·m→380PS, 54kgf·m) 수랭식 인터쿨러로 변경됐고 분사압이 200bar에서 250bar로 향상됐다. 연료 소비량은 전작에 비해 6.1% 가량 줄었다고 보도자료가 나왔다. 이후 GV80에 최초로 적용됐다.

통합 배기 매니폴드 헤드 구조로 설계됐다.

4세대 G90은 환경규제 강화에 대응하기 위해 V8 5.0L 타우 엔진을 대체하는 3.5L 가솔린 터보 엔진에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와 전동식 슈퍼차저를 탑재한 사양으로 415마력의 출력을 내며, GV80 쿠페에도 탑재한다.

3. 제원

3.1. 자연흡기

스마트스트림(람다-Ⅲ) 엔진 (자연흡기)
형식명 G6DT G6DU
배기량(cc) 3,470
보어 × 스트로크(mm) 92 × 87
압축비 12.3:1
출력(PS/rpm) 290/6,400 272/6,400
토크(kgf·m/rpm) 36.6/5,000 33.8/5,000
비고 GDi, CVVT MPi, CVVT

3.2. T-GDi

스마트스트림(람다-Ⅲ) 엔진 (T-GDi)
형식명 G6DS G6DV G6DR
배기량(cc) 3,470 2,999
보어 × 스트로크(mm) 92 × 87
압축비 11.0:1
출력(PS/rpm) 375/6,000 409/5,800
토크(kgf·m/rpm) 54/4,500 56/4,500
비고 트윈터보, Dual CVVT Dual CVVT

3.3. LPi

스마트스트림(람다-Ⅲ) 엔진 (LPi)
형식명 L6DC
배기량(cc) 3,470
보어 × 스트로크(mm) 92 × 87
압축비
출력(PS/rpm) 237/6,000
토크(kgf·m/rpm) 32/4,500
비고 Dual CVVT

4. 적용 차종

4.1. 가솔린

자연흡기 (3.5L)
G6DT 현대 디 올 뉴 그랜저(7세대, GN7)
기아 K8(GL3)
기아 카니발(4세대, KA4)
기아 카니발(4세대 F/L, KA4 PE)
G6DU 현대 스타리아(US4)[수출용]
트윈터보 (3.5T)
G6DS 제네시스 G80(3세대, RG3)
제네시스 G80(3세대 F/L, RG3 PE)
제네시스 G90(4세대, RS4)
제네시스 GV70(1세대, JK1)
제네시스 GV70(1세대 F/L, JK1 PE)
제네시스 GV80(1세대, JX1)
제네시스 GV80(1세대 F/L, JX1 PE)
제네시스 GV80 쿠페(JX1 CUV)
트윈터보 (3.5T) + 48V w-S/C
G6DV 제네시스 G90(4세대, RS4)
제네시스 GV80 쿠페(JX1 CUV)

4.2. LPi

자연흡기 (3.5L)
L6DC 현대 스타리아(US4)
현대 디 올 뉴 그랜저(7세대, GN7)
기아 K8(GL3)

5. 문제점

6. 여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현대 람다 엔진/여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003c83><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3c83> 파일:현대자동차그룹 로고 화이트.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colcolor=#fff> 현대자동차
구분 가솔린 LPG 디젤 CNG
<colbgcolor=#003c83> 3기통 카파(1.0L), 입실론 D(1.5L), U(1.1/1.2L) -
4기통 입실론, 카파, 알파,
감마, 베타, 누우, 세타,
오리온, 새턴, 시리우스
입실론, 감마, 베타, 누우,
세타, 새턴, 오리온, 시리우스
U, NEW-U, R, F,
D, T, W,
4.108·4.236, A
-
6기통 람다, 델타·뮤,
사이클론 V6·시그마,
쾰른 V6
람다, 델타·뮤,
사이클론 V6·시그마
R(3.0L), S, G, H,
L(파워텍),
D6B, Q, OM906,
T6.3544
G, Q
8기통 타우, 오메가 - D8A -
기아
3기통 CD형 -
4기통 B형, C형, 마쓰다 F형, MI-TECH, T8D 마쓰다 F형, T8D R형, 퍼킨스, J -
6기통 J형, KV6 KV6 퍼킨스, H형, M형 H형
8기통 - F형 -
갈색 글씨 - 선진국 시장에서 단종한 엔진
}}}}}}}}}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34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34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수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