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1 11:15:46

향문천 - 글을 울리는 샘


파일:나무위키+유도.png  
향문천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향문천'으로도 불리는 소설 《소오강호》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상문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향문천
글을 울리는 샘
파일:향문천로고23.png
<colcolor=#fff> 출생지 대구광역시
거주지 서울특별시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병역 대한민국 육군 병장 만기전역
구독자 수 17.7만명[A]
조회수 30,654,725회[A]
MBTI INTJ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부계정]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1. 개요2. 상세
2.1. 로고 변천사2.2. 영상 목록
3. 여담

[clearfix]

1. 개요

역사비교언어학을 중심으로 언어학 전반에 대해 다루는 지식정보 유튜버이다.

2. 상세

닉네임인 향문천을 한자로 표기하면 ‘[4]'으로, 풀어서 쓰면 '글을 울리는 샘'이다. 영문 채널명은 언어의 샘을 뜻하는 'Lingfount'다. 지금은 쓰이지 않는 고대 한국어 중세 한국어의 발음과 억양, 동아시아의 고대 언어 등 옛말과 방언 등 역사 언어학을 많이 다룬다. 원래는 텍스트를 직접 읽고 녹음하나 한때 녹음 장비 고장의 이유로 어원 같은 콘텐츠를 업로드했다. 다행히 2020년 7월 4일에 업로드한 영상에서 마이크를 새로 구입했다고 밝혔다.

2020년 6월 6일 전후로 한자 표기가 한글로 바뀌었다. 그전까지 '響文泉 - 글과 울림의 샘'이었다. 울릴 향() 자를 모르는 사람들이 많아 가독성을 위해 이름을 바꾼 것으로 추정.

매주 일요일 오후 1시에 동영상 업로드를 한다. 그러나 2020년 10월 8일에 올라간 한글날 기념 영상에서 영상 제작할 시간에 차질이 생겨 비정기적 영상 투고를 하겠다고 밝혔다. 영상 (12분 38초부터)

2021년 10월 24일 군입대로 2년간 활동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2023년 5월 4일 군복무를 마치고 복귀했다. # 이후 2024년 2월 경에 채널명을 '향문천 - 글과 울림의 샘'에서 '향문천 - 글을 울리는 샘'으로 변경하였다.

2024년 2월 2일, 2020년부터 3년 넘게 집필해 왔던 《향문천의 한국어 비사》라는 책을 발간한다는 소식을 알렸다. 출판사는 김영사이다. #

2024년 4월 24일 유튜브 활동 휴식을 선언했다. 대체역사 마이너 갤러리에서는 3월 30일 한자교육을 받지 않은 한국인은 반문맹이다라는 트윗을 일본어로 작성한 것이 발견된 여파로 추정되고 있다.[5] #[6] 활동 중단을 선언한 유튜브 커뮤니티 글은 이후 삭제했으나 채널 정보란에는 여전히 활동 중단이라고 적혀있다. 이에 향문천 본인은 이후 스스로가 트위터에서는 기본적으로 일본어로 글을 쓰며[7], 반문맹이라는 표어는 한자교육 옹호론자들이 수십년 전부터 지속적으로 사용해온 표현이고 전혀 새로운 게 아니라며 해당 트윗을 문제 삼은 것에 대해 의문을 표했다. 그러나 기존에 비슷한 견해를 가진 사람들이 해당 표현을 흔히 사용했다고 해서 '반문맹'이라는 매우 강도 높은 비하성 어휘가 가벼이 써도 되는 어휘인 것은 아니며, 한국어 구사에 있어 한자를 외우지 않아 읽을 줄 모르는 사람이 반문맹이라는 주장은 전혀 사실이 아닌 궤변이다. 법학적성시험과 같은 권위 있는 언어력 적성시험에서 초고득점을 한 사람들 중에서도 어려운 한자를 읽을 줄 모르는 사람이 다수이며, 한국어 어휘력을 기르기 위한 방법으로 정체자로 된 한자를 외우는 것을 제시하는 의견 역시 억설에 가까우므로 문제 소지가 상당한 실언을 한 것이 되었다.

5월 3일자로 유튜브 커뮤니티에 공식 견해가 올라왔다. 그저 본업은 학생이고 유튜브는 취미인 관계로, 활동이 벅차다 보니 비정기적 업로드를 하되, 블로그 포스팅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한다. 블로그 이름은 회명재(晦暝齋).

1 2 3

2.1. 로고 변천사

파일:EpNNpSXVEAAj5_j.jpg

2.2. 영상 목록

자세한 내용은 향문천 - 글을 울리는 샘/영상 목록 문서 참고.

3. 여담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반도 일본어설 관련 서술 고정 및 영상 하이퍼링크 첨부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 토론 - 반도 일본어설 관련 서술 고정 및 영상 하이퍼링크 첨부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A] 2024년 2월 19일 기준 [A] [부계정] [4] 채널아트에 쓰인 響은 신자체로 적혀있다. [5] 파일:GJ52RSDbUAAt5q9.jpg 해석: 한국어 화자이면서 한자를 모르는 자에게는 두 가지 선택지 밖에 없다. 자신이 반문맹임을 인정하는가, 한자를 외울 것인가? [6] @ [7] 하지만 당시 트위터 대문에는 3월 30일자 한국어로만 작성된다고 작성되어 있었으며 사건이 일어난 4월 24일 기준으로 해당 트위터는 막혀있어 정보확인이 어려웠다. [8] 현재는 관리가 되지 않는 정전갤이고 어그로 뻘글의 비율도 높아졌지만 그가 주로 활동했을 수 년 전까지는 디시치고 나름 학술적인 논의가 오가던 갤러리였다. [9] 갤로그, 현재는 클리너를 돌리고 활동 기록을 모두 지운 상태다. [10] 다만 정보는 찾으면 나오기 때문에 단순히 취미로 아는 것은 가능하기는 하다. 취미를 즐기는 심도는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정말로 취미로 언어학을 파서 알 수도 있는 것이다. 나무위키에서도 미야코어 협화어에 대해 찾아볼 수 있으니, 마음만 먹으면 누구든지 찾을 수 있는 셈. [11] 본래는 한국어 타밀어 동계설이나 태양어론같은 유사언어학 이론에서도 알 수 있듯이, 각각의 어휘들을 그 어원이나 변천 과정을 깔끔하게 무시하고선 억지춘향으로 서로 무관한 어휘끼리 동원어라고 우길 때 대량 비교 방식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서, 주류 언어학계에서 이런 식의 연구방식은 오랫동안 금기시되어왔다. 하지만, 컴퓨터의 연산 능력이 더욱 발달하면서,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해서 동원어 여부를 정확히 가려낼 수 있으리라는 기대가 생기면서 다시 대량 비교법이 주목을받고 있다. [12] 1:08, 2:14, 3:05 등 [13] 그리고 초창기에는 애니 관련 영상을 한 두 개 정도 업로드 했으나 지금은 다 내려간 상태다. [14] 상문천의 상(向)은 성씨 상 & 향할 향자로 읽기 때문에 향으로 읽어도 완전 틀렸다고 볼 수 없다. 국내 소오강호 번역본의 판본에 따라 상문천의 상을 상or향으로 번역하다 최신 번역판은 성씨 상으로 번역해서 상문천으로 불린다. [15] 'ㄱ', 'ㄷ', 'ㅂ', 'ㅈ'을 각각 어두에서는 'k', 't', 'p', 'c'로, 어중에서는 'g', 'd', 'b', 'j'로 표기한다. [16] 'ㅓ'를 'e'로 표기하고 'ㅔ'를 'ë'로 표기한다. [17] 튀르키예어에서 사용하는 글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