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2 19:35:31

헝다그룹

항대집단에서 넘어옴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중국의 건설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완커그룹
万科
1위
헝다그룹
恒大
2위
컨트리가든
(비구이위안)
碧桂园
3위
수낙
融创
5위
푸리그룹
富力
12위
녹지그룹
绿地
26위
완다그룹
万达
31위
양광100
阳光100
134위
※ 2021년 중국 국내 순위 #
}}}}}}}}}
헝다그룹(차이나 에버그란데 그룹)
恒大集團[1] | China Evergrande Group
파일:헝다그룹 로고.svg
<colbgcolor=#181878><colcolor=#fff> 기업명 中國恒大集團[2]
China Evergrande Group
설립
[[중국|]][[틀:국기|]][[틀:국기|]] 광둥성 광저우시
1996년 6월 24일
창업자 및 회장 쉬자인(许家印, 허가인)
기업 규모 대기업
상장 유무 상장 기업
상장 시장 홍콩증권거래소 (2009년 11월 5일)
종목 코드 HKEX: 3333
거래소 거래 정지 2021년 10월 4일 CST 9 AM~ 2023년 8월 28일 CST 9 AM
영업 이익 735억 1,400만 달러
순이익 11억 7,000만 달러
공식 부채 350~360조 원
글로벌 순위 122위2021년
투자 등급 피치: CC+ → RD 강등[3]
S&P: CC → SD 강등[4]
무디스: 신용 등급 철회 기사
링크 파일:헝다그룹 로고.svg

1. 개요2. 창업자3. 계열사
3.1. 스포츠단
4. 사건 사고
4.1. 2021년 파산 위기
4.1.1. 2023년 8월 17일 파산보호신청
4.2. 총수 연행4.3. 홍콩 법원의 기업 청산 명령

[clearfix]

1. 개요

유령도시·무덤아파트…중국 부동산에선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을까

중국 광둥성 광저우시[5]에 본사를 두고 있는 중국 최대 규모의 부동산 건설사 헝다부동산(恒大地产)을 주축으로 하는 기업집단. 영어로는 Evergrande로 쓰는데, '항상(恒) 크다(大)'는 뜻의 그룹명을 그대로 영어로 바꾼 것이다.

2020년 기준 중국 건설사 중 자산규모 1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2021년 기준 포춘의 글로벌 500대 기업 리스트 중 122위를 기록했다. 완커(万科), 컨트리가든(碧桂园)과 함께 중국 3대 부동산 건설사로 불리었지만, 그동안 문어발식으로 사업을 확장하다가 2020년 8월 중국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개발업체 대출 규제로 자금난에 빠져 도산 위기에 처하고 2023년 8월 17일에는 미국에 파산 보호 신청을 하였다.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헝다그룹의 계열사인 헝다부동산은 2023년 9월 25일 공시를 통해 이날까지 지급해야 할 역내 채권에 대한 원금·이자 40억 위안(약 7385억원)을 갚지 못했다고 밝혔다. 만약 새로운 합의가 없으면 150억 달러가량을 헝다그룹에 빌려준 해외 채권단은 회사 청산을 추진할 수 있다. 헝다그룹은 당장 다음달 30일 홍콩 법원에서 회사 청산 여부를 결정하는 심리를 앞두고 있다. #

2. 창업자

허난성의 빈농 출신 쉬자인(许家印, 1958.9.9 ~ )이 1997년 설립했다. 쉬자인은 대약진운동 기간 중에 어머니를 생후 8개월 되던 때에 잃고 조부모 슬하에서 성장했다. 1974년 고교를 졸업했지만, 문화대혁명 때문에 진학을 못 하고 마을에서 건설자재를 파는 사업을 시작했다. 문화대혁명이 끝난 후 대학이 문을 열자 사업을 정리하고 1978년 우한철강학원(이후 우한과학기술대학)에 입학에 금속공학 전공으로 입학했다.

대학 재학 중에도 쉬자인은 여러 사업들을 벌였고, 1982년 대학을 졸업하고 허난성에 돌아와 국영 우양제강에 취직했다. 여기서 능력을 발휘하여 공장장까지 승진했다.

하지만 공장장으로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자 1990년대 초반 우양제강을 사직하고 한창 경제가 발전하던 광둥성 선전시로 내려왔다. 이후 중다(中达) 그룹에 입사한 뒤 능력을 발휘하여 불과 1-2년 만에 사장까지 승진했다. 중다그룹의 임원으로 일하면서 광저우의 주택시장에 진출하라고 지시하여 여기서 대성공을 거두었다.

1997년 중다그룹에서 독립하고 헝다그룹을 창업하여 2000년대 중반 광둥성의 부동산 확장붐을 타고 사업을 계속 확장, 2000년대 중반에는 중국 내의 전국적인 재벌이 되었다.

2010년대 중반에는 마윈을 제치고 중국 1위의 부자가 되었다. 또한 중국의 국회라고 할 수 있는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서 재계 대표로 선임되기도 했다.

이 사람의 사업 방식을 보면 전형적인 부동산 재벌로, 한국의 1980년대 여러 건설재벌[6]들이 보여주었던 행태를 중국에서 몇배 더 큰 규모로 재연하였다. 정경유착으로 은행에서 거액을 대출하여 토지를 구입하고, 그 위에 아파트 및 상업건설 등으로 돈을 번 후, 그 돈으로 다시 문어발식 확장을 했다. 이미지 관리에도 상당히 신경써서 축구단인 광저우 헝다를 창단하여 축구굴기에 발맞추기도 했고, 광저우 헝다와 중국 국가대표팀 마르첼로 리피 감독을 영입하기도 했으며, 연간 기부액도 매년 수천억 원에 달할 정도로 # 쇼맨십과 이미지 관리에 능했다.[7]

그러나 이런 기부행위와는 별개로 쉬자인의 경영 형태는 여러 비판을 받았다. 즉, 문제가 불거지자 황제경영 및 도덕적 해이가 도마 위에 오른 것이다. 물론 이런 총수의 행태는 비단 중국만의 문제만은 아니지만, 헝다그룹은 유독 심했다. 쉬자인은 자신의 판단만으로 거액의 자본을 당겨 우후죽순처럼 생겨나던 전기차 시장에 진출했다. 모기업이 부동산 기업이라서 온갖 하이테크 기업이 몰려 있는 레드오션인 전기차 시장에서는 고전이 예상됨에도 이런 강행을 기어이 했다가 수조 원을 쓰고도 2021년에 전기차는 단 한 대도 못 만들었다. 또한 헝다그룹이 높은 부채율을 겪고 있는데도 지주회사인 헝다부동산의 대주주로서 매년 거액의 배당을 강행, 엄청난 배당금을 챙겨갔다. 여기에 2020년부터 중국 내 금융기관에서 자금조달이 막히자 해외에서 고이율로 채권을 발행하기도 했는데, 이자율이 무려 10%를 넘어서 거진 정크본드 수준이었다.

이런 저돌적인 문어발 확장은 결국은 한계에 부딪혔고, 2021년 8월, 경영의 책임을 지고 핵심계열사인 헝다부동산 회장직을 전격 사임했다. # 게다가 9월에는 그룹 자체까지 파산 위기에 몰리고 있다.

3. 계열사

3.1. 스포츠단

헝다그룹 산하 스포츠단
광저우 FC
(축구)
광둥 에버그란데
(배구)

수용 인원 10만 명 이상의 세계 최대 축구장을 건설하기 위해 17억 달러(2조 원)를 투입하기도 했다. 국내 기사

4. 사건 사고

백두산 인근에서 취수하는 생수인 헝다빙천은 한국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의 주연인 김수현 전지현을 광고 모델로 섭외하고 싶어했다. 그러나 이 시기에는 중국이 백두산을 장백산이라 부르는 것을 두고 한국에서 시비가 일고 있었고, 이 논쟁이 헝다빙천의 수원지 표기 여부로 번져 끝에 가서는 전지현이 빠지고 김수현만 광고에 출연하게 됐다.

4.1. 2021년 파산 위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1년 헝다그룹 파산 위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1.1. 2023년 8월 17일 파산보호신청

로이터 보도에 따르면 헝다그룹은 미국 당국에 외국 기업 전용 파산보호절차(회생절차, 법정관리와 유사한 채무 조정 절차이다)인 챕터 15를 신청했다. 파산보호 신청은 구조조정 실무과정에 불과한 만큼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것이 중론이며, 헝다그룹측의 공식적인 입장도 동일하다. 회사의 달러 표시 채권 관할 법원이 뉴욕 법원이므로 미국에서 구조조정 절차에 들어갔을 뿐이라고 설명했다. 당일 홍콩과 중국 증시는 큰 변동 없이 소폭 하락에 그쳤고, 중국 위안화 환율 역시 0.06% 상승하는 정도에 그쳤다.

그러나 구조조정에 실패해 파산하게 된다면 그 여파는 꽤 있을것으로 보인다. 일단 중국 내에서는 큰 피해가 생길 가능성이 상당하다. 다만 세계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의견이 갈린다. 이미 수 년 전부터 파산이 예견되었던 만큼 별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전망도 있는 반면, 큰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이미 IMF 외환위기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때와 같이 이미 시장에 충분히 반영되었기 때문에 더 이상의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전망을 뒤엎고 큰 영향을 끼쳤던 사례가 있었기 때문이다.

8월 26일, 홍콩증권거래소에 관련 규정을 모두 준수중이라며 8월 28일부터 거래재개되도록 신청했다. 받아들여진다면 2022년 3월 21일 이후 1년 5개월만의 거래재개다. #

4.2. 총수 연행

2023년 9월 26일 헝다그룹 총수 쉬자인이 중국 공안 당국에 연행되었다는 미국발 보도가 있다. # 중국에서는 확인해주지 않았는데, 원래 중국 당국은 혐의자의 신병문제를 기소되어야 공개하는게 일상이다.

28일에 구금되었다는 보도가 나왔다. #

30일에는 회장의 둘째 아들도 당국에 의해 연행되었으며 회장의 부인 딩위메이는 위장 이혼 의혹 및 중국 본토를 떠나 제3국으로 잠적했다는 소문이 흘러나오고 있다. #

중국언론에는 개인비리도 보도되고 있는데, 미녀 100명으로 구성된 헝다 가무단(합창단)을 만들었지만 #, 이름과는 달리 가무 공연보다는 일종의 기쁨조 성상납용으로 썼다고 한다.

쉬자인 회장의 증권시장 진입을 평생 금지하는 조치를 발표했다. #

4.3. 홍콩 법원의 기업 청산 명령

중국 현지 시간으로 2024년 1월 29일 오전 11시경, 홍콩 고등법원은 헝다그룹의 청산을 명령했다. 파이낸셜 타임스 기사에 따르면 찬칭판 판사는 "법원도 참을 만큼 참아줬다고 본다. 이제 우리에게 남은 선택지가 단 하나이기에 청산을 명령한다."라고 판시했다.


[1] 한국 한자음: 항대집단 [2] 한국 한자음: 중국항대집단 [3] 2021.12.09. 선택적 디폴트(투자 부적격) 등급. [4] 2021.12.18. 선택적 디폴트(투자 부적격)등급. [5] 처음에는 광저우에 있다가 선전으로 본사를 옮겼으나 비용 절감을 이유로 광저우로 재이전했다. [6] 우성그룹, 라이프그룹, 한보그룹, 신동아그룹, 청구그룹 등등이 있고 대부분 IMF를 전후해 도산했다. [7] 사실 대부분의 중국 부동산 기업의 이미지는 안 좋은데, 광둥성 현지에서는 이런 쉬자인의 여러 기부행위 덕분에 헝다그룹만큼은 예외적으로 이미지가 좋은 편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