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9 07:31:49

한국프로야구/1984년/신인 드래프트

1984 KBO 신인드래프트에서 넘어옴
파일:KBO 로고(세로형/화이트).svg 신인 드래프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1. 개요2. 1차 지명3. 2차 지명4. 드래프트 평가5. 이모저모

1. 개요

1984년 KBO 신인 드래프트는 1차 지명과 2차 지명으로 진행됐다.

2. 1차 지명

1차 지명은 각 팀에서 팀 별 연고지 내 고교 출신 선수를 뽑았다. 지명 수에 제한은 없었다.

OB는 임시로 대전을 연고지로 쓰고 있었지만 원 연고지는 서울로 MBC와 겹치기에, 대전 및 충청 지역 선수 외에 서울 지역 선수들을 두고 11월 3일 MBC와 지명 순번을 정해 지명을 했다. 따라서 이하 1차 지명자 명단에서 2팀만 지명 순위 순으로 나열하고, 나머지 5개팀은 이름 가나다 순이다. ※표시가 붙은 선수는 지명권 포기 등으로 지명팀에 입단하지 않았다.
1차 지명자
파일:MBC 청룡 엠블럼(1982~1985).png 김봉근(상문고-동국대, 투수)
김상훈(동대문상고-동아대, 내야수)
김경표(신일고-한양대, 내야수)
김영균(서울고-연세대, 내야수)
유제룡(휘문고-상업은행, 내야수)
이석승(대광고-한일은행-성무, 투수)※
김주일(보성고-영남대, 내야수)※
정선채(선린상고-동아대, 외야수)※[1]
MBC 청룡
파일:OB 베어스 엠블럼.svg (서울)
한오종(동대문상고-한양대, 투수)
장훈(서울고-연세대, 외야수)
김성호(배문고-영남대-실업롯데-경리단-포철, 포수)
윤석환(선린상고-성균관대, 투수)
김남수(신일고-고려대-농협, 외야수)※[2]
기세봉(충암고-포철-경리단, 투수)
김수남(신일고-상업은행, 외야수)
홍희섭(중앙고-성균관대-농협-경리단, 내야수)
사인상(동대문상고-한일은행, 내야수)
김영하(배명고-동국대-한국화장품-성무, 투수)※
이광국(동대문상고-상업은행-동국대-한국화장품, 내야수)※
(대전·충청)
김광림(공주고-고려대, 외야수)
김명구(공주고-상업은행, 외야수)
김진욱(북일고-동아대, 투수)
배원영(세광고-건국대, 포수)
오덕환(세광고-농협, 내야수)※[3]
OB 베어스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1975~1992).png 김민호(부산고-동국대, 내야수)
김재열(부산고-동아대, 투수)
김진근(부산고-성균관대-한국화장품-성무, 내야수)
김한조(경남고-동아대, 내야수)
배종문(경남고-건국대, 투수)
안창완(부산고-건국대, 투수)
윤학길(부산상고-연세대, 투수)※[4]
이문한(경남상고-동국대, 투수)
이석규(마산상고-동아대-한일은행, 내야수)
정인교(부산고-성균관대-한국화장품-성무, 포수)
조성옥(부산고-동아대, 외야수)
조용철(경남고, 투수)
롯데 자이언츠
파일:삼미 슈퍼스타즈 엠블럼.png 강영수(동산고-중앙대, 투수)
이광근(동산고-중앙대, 외야수)※[5]
최계훈(인천고-인하대, 투수)
삼미 슈퍼스타즈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1982~1988).svg 권기홍(대구상고-건국대-상업은행, 투수)
김대문(대구상고-제일은행, 포수)※
김성래(경북고-연세대, 내야수)
김정태(대구상고-건국대-농협, 내야수)※
김준희(대구상고-영남대, 투수)
도이석(대구고-영남대, 외야수)※
서재진(서울고-한양대-한국전력, 외야수)※
신준옥(대건고-제일은행, 투수)[6]
신춘식(대구상고-고려대-한국화장품, 외야수)※
심규영(대구고-고려대, 포수)※
원민구(대건고-영남대-제일은행-상무, 내야수)[7]
임종호(경북고-고려대-한국전력-경리단, 내야수)※
장정호(경북고-한양대-실업롯데-성무-한국화장품, 외야수)※
전용권(대구고-한양대, 투수)
정성용(포철공고, 외야수)
조규식(대구상고-영남대-제일은행-상무, 투수)※
진동한(경북고-고려대, 투수)
최점동(대구상고-성균관대-한일은행, 내야수)※
황규민(신일고-한국화장품, 투수)[8]
삼성 라이온즈
파일:해태 타이거즈 엠블럼(1982~1995).svg 강정남(광주상고-동국대, 외야수)
김윤환(광주일고-고려대-한국화장품-성무, 외야수)
문희수(광주일고, 투수)
조도연(군산상고-원광대, 투수)
해태 타이거즈

3. 2차 지명

2차 지명은 1983년 12월 7일에 마감했는데 OB, 삼미, 삼성 3팀만 지명했다. ※표시가 붙은 선수는 지명권 포기 등으로 지명팀에 입단하지 않았다.
RD 파일:OB 베어스 엠블럼.svg 파일:삼미 슈퍼스타즈 엠블럼.png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1982~1988).svg
OB 삼미 삼성
1
임재준
(공주고-건국대,
투수)
송영수
(신일고-경희대,
투수)
김운영
(신일고-연세대,
포수)
2
패스 우진언
(마산상고-철도청-인천전문대-한국전력,
내야수)
김이수
(부산상고-한양대,
외야수)
3
- 윤여국
(광주상고-성균관대,
투수)
최재학
(동대문상고-한양대,
포수)
4
- 임헌일
(동산고-제일은행,
투수)
패스
5
- 최상수
(청주고,
투수)
-

4. 드래프트 평가

국가대표 선수가 쏟아져 나온 1983년 드래프트나, 그에 맞먹게 KBO 역사에 한 획을 그은 선수를 많이 배출한 1985년 드래프트에 비해, 이 해는 전체적으로 신인 풀이 좋지 못한 해였다. 물론 그럼에도 훌륭한 성적을 거둔 선수는 있었으며, 드래프트에서 좋은 수확을 거둔 팀은 단연코 OB라고 할 수 있다. OB는 암흑기 시절 선발진에서 버텨준 김진욱과 명 중견수 김광림을 지명했으며, 1983년 박종훈에 이어 1984년 윤석환까지 2년 연속으로 신인왕을 배출한 팀이 되었다. 삼성도 정상급의 2루수로 꼽히는 김성래를 지명했고, 진동한이 그럭저럭 활약해주어 나쁘지 않은 평가를 받는다. 삼미를 제외한 나머지 팀 역시 좋은 선수 하나씩은 건졌는데, MBC의 경우 미스터 청룡 김상훈, 롯데의 경우 자갈치 김민호, 해태는 3차전의 사나이 문희수가 그들이다. 반면 삼미는 최계훈을 제외하면 프로에 데뷔한 선수조차 없었고, 2년 뒤 같은 팀에 다시 지명되는 이광근까지 더해도 나머지 팀들에 크게 밀린다.

5. 이모저모


[1] 2년 뒤, 1986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2차 지명으로 삼성에 지명되었지만 여기서도 미입단했다. [2] 2년 뒤, 1986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2차 지명으로 삼성에 지명되었지만 여기서도 미입단했다. [3] 2년 뒤, 1986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2차 지명으로 청보 핀토스에 지명되어 프로에 입단했다. [4] 지명 후 상무에 입대했으며 2년 뒤인 1986년 롯데에 재지명되었다. [5] 지명 후 실업팀인 한일은행 야구단에 입단했으며 2년 뒤인 1986년 청보에 재지명되었다. [6] 1983년 연습생으로 입단했고 1984년 재지명받았다. [7] 원태인의 아버지이다. [8] 황규봉의 동생이다. [9] 부자 동반 1차 지명 사례는 이종범( 1993년 해태 1차)- 이정후( 2017년 넥센 1차) 부자가 최초다. 다만 같은 팀에서 대를 이어 1차지명을 받은 것은 원민구-원태인 부자가 최초. 2020년 KIA 타이거즈에 1차 지명으로 입단한 투수 정해영이 아버지 정회열에 이어 부자가 같은 팀에 지명된 두 번째 사례이자 실제로 입단까지 한 첫 번째 사례를 만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