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8 23:19:56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

피겨 스케이팅 주요 대회
파일:오륜기.svg 동계올림픽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세계선수권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유럽선수권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사대륙선수권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그랑프리 파이널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그랑프리 시리즈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챌린저 시리즈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월드 팀 트로피
파일:청소년 올림픽 로고.svg 동계청소년올림픽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주니어 세계선수권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주니어 그랑프리 시리즈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
파일:ISU 피겨 스케이팅 대회 로고.jpg
최초 개최지
[[캐나다|]][[틀:국기|]][[틀:국기|]] 핼리팩스( 1999)
최근 개최지
[[중국|]][[틀:국기|]][[틀:국기|]] 상하이( 2024)
차기 개최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서울( 2025)

[[중국|]][[틀:국기|]][[틀:국기|]] 베이징( 2026)
현재 사대륙선수권 챔피언
남자 싱글
[[일본|]][[틀:국기|]][[틀:국기|]] 카기야마 유마(2024)
여자 싱글
[[일본|]][[틀:국기|]][[틀:국기|]] 치바 모네(2024)
페어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디아나 스텔라토-두덱 / 막심 데샹(2024)
아이스 댄스
[[캐나다|]][[틀:국기|]][[틀:국기|]] 파이퍼 길레스 / 폴 포아리에(2024)

1. 개요2. 역사3. 출전 규정4. 현황
4.1. 유럽선수권과의 비교4.2. 4개국 선수권?
5. 기록
5.1. 최다 우승자5.2. 최다 연패자5.3. 메달 집계5.4. 역대 사대륙선수권 대회5.5. 역대 사대륙선수권 대회 챔피언

[clearfix]

1. 개요

ISU가 주관하는 국제대회. 남자 싱글, 여자 싱글, 페어, 아이스 댄스 총 4개 종목을 진행한다. 보통 2월에 대회를 개최하며, 올림픽이 있는 시즌에는 1월에 개최한다.

예전에는 피겨 스케이팅에만 사대륙선수권이 있었으나, 2020년부터는 스피드 스케이팅과 쇼트트랙에도 사대륙선수권을 개최하기 시작했다.

2. 역사

사대륙선수권 대회가 개최되기 이전에는 유럽 선수들만 출전할 수 있는 유럽선수권 대회만 있었으나, 이후 1999년에 이 대회가 처음 개최되었다.

한국에서는 2002년( 전주시), 2005년( 강릉시), 2008년( 고양시), 2010년( 전주시), 2015년( 서울특별시), 2017년( 강릉시), 2020년( 서울특별시)에 개최되었다.

3. 출전 규정

ISU에서 아메리카,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국가의 선수로 승인을 받은 선수들이 출전할 수 있다. 단, 대회에 제시되는 최소 기술점 기준을 통과해야 하며, 요구하는 연령에 도달해야 한다. 2023 사대륙선수권까지는 개최되는 전년도의 7월 1일 이전까지 만 15세 이상이 되는 선수로 연령 조건을 두었으나, ISU의 시니어 연령 향상 조건에 맞춰 2024 사대륙선수권은 만 16세 이상, 2025 사대륙선수권부터는 만 17세 이상으로 변경되었다.

출전권은 각 국가당 모든 종목에 3장씩 부여되며, 세계선수권이나 유럽선수권과 달리 직전 대회의 결과와는 상관없다.

4. 현황

4.1. 유럽선수권과의 비교

1891년부터 시작된 유럽선수권에 비해 1999년 처음 개최된 사대륙선수권은 다소 그 위상이 낮게 여겨지는 경향이 있다.

특히 올림픽을 앞둔 사대륙선수권에는 올림픽에 출전하는 각국 주요 선수들이 불참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유럽선수권이 종료된 후 개최되는 사대륙선수권의 특성 때문이다. 2014년부터 동계올림픽에 피겨 스케이팅 단체전이 신설되면서, 일정 상 올림픽 극초반에 열리는 단체전과 사대륙선수권 경기와의 간격이 너무 좁아 선수들의 출전을 망설이게 한다. 이러한 경향은 코로나가 전세계에 확산된 2020년대 초반 더 심해졌다. 유럽 대륙에서만 치러지는 유럽선수권에 비해 유럽을 제외한 4개 대륙에서 치러지는 선수권 대회이다 보니 각 대륙에 넓게 퍼져 있는 선수들이 대회 장소에 모이기에는 이동거리가 비교적 길고, 따라서 시차적응 등 컨디션 조절에도 애를 먹는데다 각국 코로나 방역지침에 의해 출입국 시 격리 일정까지 고려하다 보면 선수들의 선택의 여지는 더 좁아질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사대륙선수권도 유럽선수권과 같은 규모의 선수권 대회이며, ISU에서 주어지는 랭킹 포인트도 유럽선수권과 동일하므로 ISU 내에서 두 대회는 동등한 권위로 취급된다. 애초에 피겨 스케이팅이라는 스포츠의 발단이 영국이고 따라서 유럽선수권이 세계선수권보다 역사가 긴 것이므로, 단순히 대회 역사가 짧다고 해서 무턱대고 사대륙선수권의 위상을 깎아내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 대회의 위치를 정확히 따져본다면, 선수의 국적에 따라 출전할 수 있는 선수가 제한되어있는 국제 선수권 대회이므로 국적과 관계없이 모든 선수가 엔트리에 포함될 수 있는 올림픽, 세계선수권, 그랑프리 파이널 다음가는 위상의 대회로 유럽선수권과 함께 묶이는 것이 올바른 평가일 것이다.

또 2020년대 들어 유럽 선수들의 저변이 러시아 선수를 제외하면 침체되고 있어 유럽선수권이 '제 2의 러시아선수권' 정도로 불리는 데다가 소위 '퍼주기'라 불리는 유럽선수권 특유의 후한 구성점(PCS) 채점 인플레이션으로 팬들에게 비아냥을 듣고 있는 상황이라 상대적으로 유럽선수권의 권위가 하락하고 있고, 더불어 카밀라 발리예바 도핑 적발 사건의 발단이 유럽선수권이 되면서 전세계의 망신을 당하기도 했다.[1] 러시아 선수들이 지배하고 있는 여자 싱글 종목을 제외하면 다른 세 종목(남자 싱글, 페어, 아이스 댄스)은 유럽 선수들보다 사대륙 선수들의 저변도, 실력도 더 우수하다고 여겨지고 있어 더이상 사대륙선수권이 유럽선수권에 비해 한 수 아래로 평가될 만한 근거도 사라진 상태이다.

4.2. 4개국 선수권?

우스갯소리로 사대륙선수권이 아니라 4개국선수권이라고 하는 팬들도 있다. 이런 말이 나올 만도 한 게, 1999년에 이 대회가 개최된 이래 거의 모든 입상자가 미국, 일본, 중국, 캐나다에서 나왔기 때문이다. 이 4개국을 제외한 입상자를 배출한 국가는 대한민국[2], 카자흐스탄[3], 우즈베키스탄[4], 북한[5]이다.

혼성 종목에서는 현상이 더 심한데 아이스 댄스는 2018년 동메달리스트 일본 무라모토 카나 / 크리스 리드, 2022년 은메달리스트 무라모토 카나 / 다카하시 다이스케 조를 제외한 역대 메달리스트들이 모두 미국 또는 캐나다 출신이다. 아이스 댄스 한정 북미선수권

5. 기록

5.1. 최다 우승자

남자 싱글
[[캐나다|]][[틀:국기|]][[틀:국기|]] 패트릭 챈
3회 ( 2009, 2012, 2016)
여자 싱글
[[일본|]][[틀:국기|]][[틀:국기|]] 스구리 후미에
3회 ( 2001, 2003, 2005)

[[일본|]][[틀:국기|]][[틀:국기|]] 아사다 마오
3회 ( 2008, 2010, 2013)
페어
[[중국|]][[틀:국기|]][[틀:국기|]] 쑤이원징 / 한충
6회 ( 2012, 2014, 2016, 2017, 2019, 2020)
아이스 댄스
[[캐나다|]][[틀:국기|]][[틀:국기|]] 셰린 본 / 빅토르 크라츠
3회 ( 1999, 2001, 2003)

[[미국|]][[틀:국기|]][[틀:국기|]] 타니스 벨빈 / 벤자민 아고스토
3회 ( 2004, 2005, 2006)

[[미국|]][[틀:국기|]][[틀:국기|]]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
3회 ( 2009, 2011, 2013)

[[캐나다|]][[틀:국기|]][[틀:국기|]] 테사 버츄 / 스캇 모이어
3회 ( 2008, 2012, 2017)

[[미국|]][[틀:국기|]][[틀:국기|]] 매디슨 척 / 에반 베이츠
3회 ( 2019, 2020, 2023)

5.2. 최다 연패자[6]

남자 싱글 없음
여자 싱글
[[일본|]][[틀:국기|]][[틀:국기|]] 키히라 리카
2회 ( 2019, 2020)
페어
[[캐나다|]][[틀:국기|]][[틀:국기|]] 제이미 살레 / 데이비드 펠레티에
2회 ( 2000, 2001)

[[중국|]][[틀:국기|]][[틀:국기|]] 팡칭 / 퉁젠
2회 ( 2008, 2009)

[[중국|]][[틀:국기|]][[틀:국기|]] 쑤이원징 / 한충
2회[7] ( 2016, 2017 / 2019, 2020)
아이스 댄스
[[미국|]][[틀:국기|]][[틀:국기|]] 타니스 벨빈 / 벤자민 아고스토
3회 ( 2004~ 2006)

5.3. 메달 집계

<rowcolor=#ffffff> 순위 국가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 총합
1
[[미국|]][[틀:국기|]][[틀:국기|]]
28 28 42 98
2
[[일본|]][[틀:국기|]][[틀:국기|]]
27 24 19 70
3
[[캐나다|]][[틀:국기|]][[틀:국기|]]
22 29 22 73
4
[[중국|]][[틀:국기|]][[틀:국기|]]
18 14 14 46
5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3 4 2 9
6
[[카자흐스탄|]][[틀:국기|]][[틀:국기|]]
1 1 0 2
7
[[우즈베키스탄|]][[틀:국기|]][[틀:국기|]]
1 0 0 1
8
[[북한|]][[틀:국기|]][[틀:국기|]]
0 0 1 1
총합 100 100 100 300

5.4. 역대 사대륙선수권 대회

역대 사대륙선수권 대회
1990년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개최지 대회명

[[캐나다|]][[틀:국기|]][[틀:국기|]] 핼리팩스
1999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 }}}}}}}}}
2000년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개최지 대회명

[[일본|]][[틀:국기|]][[틀:국기|]] 오사카
2000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

[[미국|]][[틀:국기|]][[틀:국기|]] 솔트레이크 시티
2001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전주
2002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

[[중국|]][[틀:국기|]][[틀:국기|]] 베이징
2003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

[[캐나다|]][[틀:국기|]][[틀:국기|]] 해밀턴
2004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강릉
2005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

[[미국|]][[틀:국기|]][[틀:국기|]] 콜로라도 스프링스
2006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

[[미국|]][[틀:국기|]][[틀:국기|]] 콜로라도 스프링스
2007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고양
2008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밴쿠버
2009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 }}}}}}}}}
2010년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개최지 대회명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전주
2010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 타이베이 2011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

[[미국|]][[틀:국기|]][[틀:국기|]] 콜로라도 스프링스
2012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

[[일본|]][[틀:국기|]][[틀:국기|]] 오사카
2013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 타이베이 2014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서울
2015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 타이베이 2016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강릉
2017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 타이베이 2018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

[[미국|]][[틀:국기|]][[틀:국기|]] 애너하임
2019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 }}}}}}}}}
2020년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개최지 대회명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서울
2020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
취소 2021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

[[에스토니아|]][[틀:국기|]][[틀:국기|]] 탈린
2022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

[[미국|]][[틀:국기|]][[틀:국기|]] 콜로라도 스프링스
2023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

[[중국|]][[틀:국기|]][[틀:국기|]] 상하이
2024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서울
2025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 }}}}}}}}}

5.5. 역대 사대륙선수권 대회 챔피언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table bordercolor=#ffffff,#1f2023>
사대륙선수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1회 1999 핼리팩스 파일:일본 국기.svg 혼다 다케시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2회 2000 오사카 파일:캐나다 국기.svg 엘비스 스토이코
3회 2001 솔트레이크 시티 파일:중국 국기.svg 리청장 4회 2002 전주 파일:캐나다 국기.svg 제프리 버틀
5회 2003 베이징 파일:일본 국기.svg 혼다 다케시 6회 2004 해밀턴 파일:캐나다 국기.svg 제프리 버틀
7회 2005 강릉 파일:미국 국기.svg 에반 라이사첵 8회 2006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일본 국기.svg 오다 노부나리
9회 2007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미국 국기.svg 에반 라이사첵 10회 2008 고양 파일:일본 국기.svg 다카하시 다이스케
11회 2009 밴쿠버 파일:캐나다 국기.svg 패트릭 챈 12회 2010 전주 파일:미국 국기.svg 아담 리폰
13회 2011 타이페이 파일:일본 국기.svg 다카하시 다이스케 14회 2012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캐나다 국기.svg 패트릭 챈
15회 2013 오사카 파일:캐나다 국기.svg 케빈 레이놀즈 16회 2014 타이페이 파일:일본 국기.svg 무라 타카히토
17회 2015 서울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데니스 텐 18회 2016 타이페이 파일:캐나다 국기.svg 패트릭 챈
19회 2017 강릉 파일:미국 국기.svg 네이선 첸 20회 2018 타이페이 파일:중국 국기.svg 진보양
21회 2019 애너하임 파일:일본 국기.svg 우노 쇼마 22회 2020 서울 파일:일본 국기.svg 하뉴 유즈루
23회 2021 시드니 취소 COVID-19 24회 2022 탈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차준환
25회 2023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일본 국기.svg 미우라 카오 26회 2024 상하이 파일:일본 국기.svg 카기야마 유마
27회 2025 서울 파일:국기.svg ? 28회 2026 베이징 파일: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885C2 20%, #FBB132 20%, #FBB132 40%, #000 40%, #000 60%, #1C8B3C 60%, #1C8B3C 80%, #ED334E 80%); font-size: 1em;"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tablebordercolor=#ffffff,#1f2023>
사대륙선수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1회 1999 핼리팩스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타티야나 말리니나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2회 2000 오사카 파일:미국 국기.svg 안젤라 니코디노프
3회 2001 솔트레이크 시티 파일:일본 국기.svg 스구리 후미에 4회 2002 전주 파일:미국 국기.svg 제니퍼 커크
5회 2003 베이징 파일:일본 국기.svg 스구리 후미에 6회 2004 해밀턴 파일:일본 국기.svg 오타 유키나
7회 2005 강릉 파일:일본 국기.svg 스구리 후미에 8회 2006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미국 국기.svg 케이티 테일러
9회 2007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미국 국기.svg 키미 마이즈너 10회 2008 고양 파일:일본 국기.svg 아사다 마오
11회 2009 밴쿠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연아 12회 2010 전주 파일:일본 국기.svg 아사다 마오
13회 2011 타이페이 파일:일본 국기.svg 안도 미키 14회 2012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미국 국기.svg 애슐리 와그너
15회 2013 오사카 파일:일본 국기.svg 아사다 마오 16회 2014 타이페이 파일:일본 국기.svg 무라카미 카나코
17회 2015 서울 파일:미국 국기.svg 폴리나 에드먼즈 18회 2016 타이페이 파일:일본 국기.svg 미야하라 사토코
19회 2017 강릉 파일:일본 국기.svg 미하라 마이 20회 2018 타이페이 파일:일본 국기.svg 사카모토 카오리
21회 2019 애너하임 파일:일본 국기.svg 키히라 리카 22회 2020 서울 파일:일본 국기.svg 키히라 리카
23회 2021 시드니 취소 COVID-19 24회 2022 탈린 파일:일본 국기.svg 미하라 마이
25회 2023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해인 26회 2024 상하이 파일:일본 국기.svg 치바 모네
27회 2025 서울 파일:국기.svg ? 28회 2026 베이징 파일: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885C2 20%, #FBB132 20%, #FBB132 40%, #000 40%, #000 60%, #1C8B3C 60%, #1C8B3C 80%, #ED334E 80%); font-size: 1em;"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table bordercolor=#ffffff,#1f2023>
사대륙선수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1회 1999 핼리팩스 파일:중국 국기.svg 선쉐 / 자오훙보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2회 2000 오사카 파일:캐나다 국기.svg 제이미 살레 / 데이비드 펠레티에
3회 2001 솔트레이크 시티 파일:캐나다 국기.svg 제이미 살레 / 데이비드 펠레티에 4회 2002 전주 파일:중국 국기.svg 팡칭 / 퉁젠
5회 2003 베이징 파일:중국 국기.svg 선쉐 / 자오훙보 6회 2004 해밀턴 파일:중국 국기.svg 팡칭 / 퉁젠
7회 2005 강릉 파일:중국 국기.svg 장단 / 장하오 8회 2006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미국 국기.svg 레나 이노우에 / 존 발드윈
9회 2007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중국 국기.svg 선쉐 / 자오훙보 10회 2008 고양 파일:중국 국기.svg 팡칭 / 퉁젠
11회 2009 밴쿠버 파일:중국 국기.svg 팡칭 / 퉁젠 12회 2010 전주 파일:중국 국기.svg 장단 / 장하오
13회 2011 타이페이 파일:중국 국기.svg 팡칭 / 퉁젠 14회 2012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중국 국기.svg 쑤이원징 / 한충
15회 2013 오사카 파일:캐나다 국기.svg 메건 두하멜 / 에릭 래드포드 16회 2014 타이페이 파일:중국 국기.svg 쑤이원징 / 한충
17회 2015 서울 파일:캐나다 국기.svg 메건 두하멜 / 에릭 래드포드 18회 2016 타이페이 파일:중국 국기.svg 쑤이원징 / 한충
19회 2017 강릉 파일:중국 국기.svg 쑤이원징 / 한충 20회 2018 타이페이 파일:미국 국기.svg 타라 케인 / 대니 오셰어
21회 2019 애너하임 파일:중국 국기.svg 쑤이원징 / 한충 22회 2020 서울 파일:중국 국기.svg 쑤이원징 / 한충
23회 2021 시드니 취소 COVID-19 24회 2022 탈린 파일:미국 국기.svg 오드리 루 / 미샤 미트로파노프
25회 2023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일본 국기.svg 미우라 리쿠 / 키하라 류이치 26회 2024 상하이 파일:캐나다 국기.svg 디아나 스텔라토-두덱 / 막심 데샹
27회 2025 서울 파일:국기.svg ? 28회 2026 베이징 파일: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885C2 20%, #FBB132 20%, #FBB132 40%, #000 40%, #000 60%, #1C8B3C 60%, #1C8B3C 80%, #ED334E 80%); font-size: 1em;"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table bordercolor=#ffffff,#1f2023>
사대륙선수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1회 1999 핼리팩스 파일:캐나다 국기.svg 셰린 본 / 빅토르 크라츠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2회 2000 오사카 파일:캐나다 국기.svg 나오미 랑 / 피터 체니셰프
3회 2001 솔트레이크 시티 파일:캐나다 국기.svg 셰린 본 / 빅토르 크라츠 4회 2002 전주 파일:캐나다 국기.svg 나오미 랑 / 피터 체니셰프
5회 2003 베이징 파일:캐나다 국기.svg 셰린 본 / 빅토르 크라츠 6회 2004 해밀턴 파일:미국 국기.svg 타니스 벨빈 / 벤자민 아고스토
7회 2005 강릉 파일:미국 국기.svg 타니스 벨빈 / 벤자민 아고스토 8회 2006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미국 국기.svg 타니스 벨빈 / 벤자민 아고스토
9회 2007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캐나다 국기.svg 마리-프랑스 뒤브뢰유 / 파트리스 로종 10회 2008 고양 파일:캐나다 국기.svg 테사 버츄 / 스캇 모이어
11회 2009 밴쿠버 파일:미국 국기.svg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 12회 2010 전주 파일:캐나다 국기.svg 케이틀린 위버 / 앤드류 포제
13회 2011 타이페이 파일:미국 국기.svg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 14회 2012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캐나다 국기.svg 테사 버츄 / 스캇 모이어
15회 2013 오사카 파일:미국 국기.svg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 16회 2014 타이페이 파일:미국 국기.svg 매디슨 허벨 / 재커리 도너휴
17회 2015 서울 파일:캐나다 국기.svg 케이틀린 위버 / 앤드류 포제 18회 2016 타이페이 파일:미국 국기.svg 마이아 시부타니 / 알렉스 시부타니
19회 2017 강릉 파일:캐나다 국기.svg 테사 버츄 / 스캇 모이어 20회 2018 타이페이 파일:미국 국기.svg 케이틀린 하와예크 / 장 루크 베이커
21회 2019 애너하임 파일:미국 국기.svg 매디슨 척 / 에반 베이츠 22회 2020 서울 파일:미국 국기.svg 매디슨 척 / 에반 베이츠
23회 2021 시드니 취소 COVID-19 24회 2022 탈린 파일:미국 국기.svg 캐럴라인 그린 / 마이클 파슨스
25회 2023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미국 국기.svg 매디슨 척 / 에반 베이츠 26회 2024 상하이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이퍼 길레스 / 폴 포아리에
27회 2025 서울 파일:국기.svg ? 28회 2026 베이징 파일: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885C2 20%, #FBB132 20%, #FBB132 40%, #000 40%, #000 60%, #1C8B3C 60%, #1C8B3C 80%, #ED334E 80%); font-size: 1em;"
}}}}}}}}}


[1] 발리예바가 올림픽 직전 출전한 대회가 유럽선수권이었고 이 대회에서 우승을 했는데, 이 시기 도핑을 한 것이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기간 중에 적발되었다. [2] 김연아, 유영, 차준환, 이해인, 김예림, 김채연 [3] 데니스 텐, 엘리자벳 뚜르진바예바 [4] 타티야나 말리니나 [5] 렴대옥 / 김주식 [6] 연속 우승 [7] 각 두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