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2 14:20:55

플레처급 구축함/함정 목록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플레처급 구축함
1. 개요2. DD-445 플레처3. DD-446 래드포드4. DD-447 젠킨스 5. DD-448 라 발레트 6. DD-449 니콜라스7. DD-450 오배넌8. DD-451 셔벌리어9. DD-465 소플리10. DD-466 월러11. DD-467 스트롱12. DD-468 테일러13. DD-469 드헤이븐14. DD-470 배치15. DD-471 빌16. DD-472 게스트17. DD-473 베넷18. DD-474 풀럼 19. DD-475 허드슨20. DD-476 허친스21. DD-477 프링글22. DD-478 스탠리23. DD-479 스티븐스24. DD-480 핼퍼드25. DD-481 로이체26. DD-498 필립27. DD-499 렌쇼28. DD-500 링골드29. DD-501 슈뢰더30. DD-502 시그스비31. DD-507 콘웨이32. DD-508 코니33. DD-509 컨버스34. DD-510 이튼35. DD-511 푸트36. DD-512 스펜스37. DD-513 테리38. DD-514 대처39. DD-515 앤서니40. DD-516 워즈워스41. DD-517 워커42. DD-518 브라운슨43. DD-519 데일리44. DD-520 아이셔우드45. DD-521 킴벌리46. DD-522 루스47. DD-526 애브너 리드48. DD-527 암멘49. DD-528 멀라니50. DD-529 부시51. DD-530 트라텐52. DD-531 헤이즐우드53. DD-532 히어만54. DD-533 호엘55. DD-534 매코드56. DD-535 밀러57. DD-536 오웬58. DD-537 더 설리번즈59. DD-538 스티븐 포터60. DD-539 틴지61. DD-540 트와이닝62. DD-541 야널63. DD-544 보이드64. DD-545 브래드포드65. DD-546 브라운66. DD-547 코웰67. DD-550 캡스68. DD-551 데이비드 W. 테일러69. DD-552 에반스70. DD-553 존 D. 헨리71. DD-554 프랭크스72. DD-555 해거드73. DD-556 헤일리74. DD-557 존스턴75. DD-558 로즈76. DD-559 롱쇼77. DD-560 모리슨78. DD-561 프리쳇79. DD-562 로빈슨80. DD-563 로스81. DD-564 로우82. DD-565 스몰리83. DD-566 스토다드84. DD-567 와츠85. DD-568 렌86. DD-569 얼릭87. DD-570 찰스 오스본88. DD-571 클랙스턴89. DD-572 다이슨90. DD-573 해리슨91. DD-574 존 로저스92. DD-575 맥키93. DD-576 머레이94. DD-577 스프로스턴95. DD-578 윅스96. DD-579 윌리엄 D. 포터97. DD-580 영98. DD-581 샤렛99. DD-582 코너100. DD-583 홀101. DD-584 홀리건102. DD-585 해러던103. DD-586 뉴컴104. DD-587 벨105. DD-588 번즈106. DD-589 이자드107. DD-590 폴 해밀턴108. DD-591 트윅스109. DD-592 호워스110. DD-593 킬렌111. DD-594 하트112. DD-595 멧칼프113. DD-596 실즈114. DD-597 와일리115. DD-629 애벗116. DD-630 브레인117. DD-631 어빈118. DD-632 헤일119. DD-633 시고니120. DD-634 스템벨121. DD-649 앨버트 W. 그랜트122. DD-650 캐퍼턴123. DD-651 콕스웰 앨버트 W. 그랜트124. DD-650 캐퍼턴125. DD-651 콕스웰126. DD-652 잉거솔127. DD-653 냅128. DD-654 베어스129. DD-655 존 후드130. DD-656 반 발켄버그131. DD-657 찰스 J. 뱃저132. DD-658 컬래헌133. DD-659 대실134. DD-660 벌라드135. DD-661 키드136. DD-662 베니언137. DD-663 헤이우드 L. 에드워즈138. DD-664 리처드 P. 리어리139. DD-665 브라이언트140. DD-666 블랙141. DD-667 천시142. DD-668 클래런스 K. 브론슨143. DD-669 코튼144. DD-670 도치145. DD-671 개틀링146. DD-672 힐리147. DD-673 히콕스148. DD-674 헌트149. DD-675 루이스 핸콕150. DD-676 마셜151. DD-677 맥더뭇152. DD-678 맥고완153. DD-679 맥네어154. DD-680 멜빈155. DD-680 멜빈156. DD-681 호프웰157. DD-682 포터필드158. DD-683 스톡햄159. DD-684 웨더번160. DD-685 피킹161. DD-686 할시 파웰162. DD-687 울만163. DD-688 레미164. DD-689 워들리165. DD-690 노먼 스콧166. DD-691 메르츠167. DD-792 캘러헌168. DD-793 캐신 영169. DD-794 어윈170. DD-795 프레스턴171. DD-796 벤험172. DD-797 쿠싱173. DD-798 몬센174. DD-799 자비스175. DD-800 포터176. DD-801 콜훈177. DD-802 그레고리178. DD-803 리틀179. DD-804 룩스

1. 개요

플레처급 구축함의 함정들을 소개하는 문서.

세계에서 가장 많이 찍혀나왔고, 구축함이라는 특성과 전쟁시기에 나온 탓인지 여러 이야기를 가진 함들이 존재한다.

2. DD-445 플레처

USS Fletcher (DD-445)
함명의 유래 프랭크 프라이데이 플레처
진수 일자 1942/5/3
취역 일자 1942/6/30
주요 활동 제2차 세계 대전
1946년 8월 7일 퇴역
1949년 10월 3일 재취역
6.25 전쟁
베트남 전쟁
퇴역 일자 1969/8/1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15개
6.25 전쟁 배틀 스타 5개
베트남 전쟁 배틀 스타 7개
최후 1972년 스크랩

플레처급 구축함 네임쉽이며 과달카날 전역에서 여러 해전에 참가한 구축함으로 과달카날 해전 제1야전에서 불리한 상황 속에서도 전투를 계속하여 아무런 피해를 받지 않은 행운함이기도 하다. 당시 플레처는 신형 SG레이더를 탑재했고 미국 함대 후미에 있었는데 레이더 정보를 받아 당시 해전에 참가했던 여느 함선들보다도 훨씬 상황을 잘 파악하고 있었으며 행운까지 겹쳐서 어뢰에 명중당할 뻔 했는데 어뢰가 배 밑으로 지나가 명중되지 않고 살아남았다.

이후 여러 작전에 참여하여 종군훈장 15개를 수상했으며 미 해군 구축함 중에서 15개를 수상한 USS 모리스와 함께 8번째로 많이 받은 구축함이었다.

종전 후에는 1969년까지 제7함대에 소속되어 대잠업무를 집중적으로 맡았다. 1969년에 퇴역한 후 워싱턴 D.C.에 전시할 것이 고려되었지만 결국 1972년에 대만 회사에게 팔려 스크랩 처리되었다. DANFS에서는 이를 "과거 플레처였던 배는 마땅히 받아야 할 기념대신 고철업자의 토치라는 수치를 겪었다(Instead of well-earned memorialization, ex-Fletcher suffered the ignominy of the scrapper’s torch)"라고 표현했다.

3. DD-446 래드포드

USS Radford (DD-446)
함명의 유래 윌리엄 래드포드[1]
진수 일자 1942/5/3
취역 일자 1942/7/22
주요 활동 제2차 세계 대전
1946년 1월 17일 퇴역
1949년 10월 17일 재취역
6.25 전쟁
베트남 전쟁
퇴역 일자 1969/11/10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12개
6.25 전쟁 배틀 스타 5개
베트남 전쟁 배틀 스타 4개
최후 1970년 스크랩

취역 이후 불타는 수송선의 화재 진압을 돕고, 대서양에서 대잠 초계를 돌다가 1942년 12월 5일 태평양으로 보내진다.

1943년 1~3월에는 과달카날 전역에서 함포로 일본군을 두들겨 팼으며 1943년에는 뉴조지아 전투에 참전해 해안 포격, 대잠초계, 상륙 병력 호위를 하기도 했다. 이때 쿨라 만 해전에도 참전해 헬레나의 생존자를 구조하기도 했다. 9월에는 과달카날에서 일본군 바지선을 가라앉혔고 11월에는 길버트 제도에서 일본군 잠수함 I-40을 격침시켰다(고 한다). 길버트 제도에서의 작전이 끝난 후 오버홀을 위해 샌프란시스코로 향한다.

1944년 2월 다시 전선으로 복귀, 호위 임무를 맡았다. 3월에는 부건빌의 일본군 포대를 포격했다. 4월에는 홀란디아 전투를 지원했다. 이후로도 뉴기니에서 벌어지는 전투를 지원하다 9월 12일 수리를 위해 진주만을 돌아간다. 이후 11월에 복귀, 필리핀으로 향하는 상선단의 호위에 동참한다.

1945년에도 필리핀 전투에서 화력 지원 임무를 담당한다. 이 와중에 기뢰에 당한 라 발레트(DD-448)를 견인하려다가 자신도 기뢰에 당해 손상되기도 했다. 9월까지 샌프란시스코에서 수리를 받았으며 1946년 1월 퇴역 처리된다.

1949년 대잠전 개장을 받고 호위구축함으로 재분류 된 뒤 재취역. 태평양에서 활동하다 6.25 전쟁이 벌어지자 한반도에 파견된다. 11월까지 작전을 수행하다 진주만으로 귀환, 오버홀과 훈련을 받는다.

1951년 9월 77 기동부대(Task Force 77)에 배속, 다시 한반도로 보내져 서해안에서 해안 포격과 소해 임무를 수행했다.

1952년 6월 다시 진주만으로 귀환, 에니웨톡을 중심으로 초계 및 훈련을 벌인다.

1953년 5월 다시 한반도로 보내져 원산을 포함한 한반도 동쪽을 포격했다. 이후 대만 해협을 초계한 뒤 11월 진주만으로 귀환한다.

1960년 FRAM II 개량을 받았다.

베트남 전쟁 당시에는 양키 스테이션에서 작전하며 베트남 공화국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에게 포탄을 날렸다.

4. DD-447 젠킨스

USS Jenkins (DD-447)
함명의 유래 손턴 A. 젠킨스[2]
진수 일자 1942/6/21
취역 일자 1942/7/31
주요 활동 제2차 세계 대전
1946년 5월 1일 퇴역
1951년 11월 2일 재취역
6.25 전쟁
베트남 전쟁
퇴역 일자 1969/7/2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14개
6.25 전쟁 배틀 스타 1개
베트남 전쟁 배틀 스타 5개
최후 1971년 스크랩

1942년 가을 북아프리카 전선으로 향하는 수송선단을 호위하며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으며 11월에는 횃불 작전에서 프랑스군에게 포탄을 날렸다. 횃불 작전이 끝난 후에는 다시 뉴욕으로 돌아와 태평양 전선을 준비했다.

1943년 뉴칼레도니아에 도착, 초계 및 호위 임무를 수행하다 6월 말 뉴조지아 전역에 참가했다. 7월에는 쿨라 만 해전에 참전했으며 손상된 수상기모함 친커티그를 무사히 호위하기도 했다. 11월에는 마킨과 타라와를 포격했으며 12월에는 콰잘레인과 워트제를 포격했다. 이때 렉싱턴 (CV-16)이 어뢰에 피격되자 진주만까지 호위하는 임무를 맡기도 했다.

1944년 1월 말 다시 전선에 복귀. 2월 내내 재급유 함대와 함께 다녔고 3월 내내 부건빌을 포격했다. 4월부터 여름 내내 뉴기니에서 벌어지는 상륙작전을 지원하며 초계, 호위, 해안 포격을 수행했다. 이 해 가을 벌어진 필리핀 탈환전에도 참가하였다.

1945년에도 필리핀에서 소해정 호위, 해안 포격, 대잠 초계 등을 수행했다. 4월에는 오보에 작전에 참가...하려다가 일본군 기뢰를 밟아 전쟁이 끝날 때까지 수리를 받았다. 이후 퇴역.

1951년 6.25 전쟁으로 재취역. 호위구축함(DDE)으로 재분류되었으며 1952년 여름 동안 77 기동부대(Task Force 77)에 소속되어 작전을 수행했다.

베트남 전쟁에도 참전해 해안 포격 임무를 수행했다.

5. DD-448 라 발레트

USS La Vallette (DD-448)
함명의 유래 엘리 A. F. 라 발레트[3]
진수 일자 1942/6/21
취역 일자 1942/8/12
주요 활동 제2차 세계 대전
퇴역 일자 1946/4/16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10개
최후 1974년 페루에 양도되어 분해됨

취역 및 훈련 이후 서해안에서 호위 임무를 수행하다 1942년 12월 태평양 전쟁에 배치되었다.

1943년 과달카날 전역에 참가, 1월 29일 일본기 세 대를 격추하며 첫 실전을 치른다. 다음 날에도 여섯 대의 G4M을 격추했지만 어뢰에 맞아 22명이 사망했다. 이 일로 수리를 받으러 캘리포니아에 가게 된다. 8월에야 수리를 마치고 다시 전장에 복귀해 미나미토리시마 공습에 참가한다. 이후 솔로몬 제도 초계, 콜롬방가라 내 일본군 병력 수송선 공격, 길버트 제도 상륙 지원, 콰잘레인 및 워트제 포격 등을 수행한다.

1944년 2월에는 로이-나무르 상륙을 지원했으며, 4월에는 뉴기니의 아이타페를 포격했다. 6월에는 다시 뉴기니로 돌아와 상륙 부대를 지원했다. 이후 필리핀 탈환전에도 참가했지만, 레이테 만 해전이 벌어질 때는 재보급을 위해 홀란디아로 가고 있었다.

1945년에는 필리핀 탈환전을 지원했다. 그러다가 2월 14일 기뢰에 피격, 6명이 죽고 23명이 부상을 입는 큰 피해를 입는다. 8월 7일까지 샌프란시스코에서 수리를 받았으며 전쟁이 끝난 후 퇴역했다.

6. DD-449 니콜라스

USS Nicholas (DD-449)
함명의 유래 새뮤얼 니콜라스[4]
진수 일자 1942/2/19
취역 일자 1942/6/4
주요 활동 제2차 세계 대전
1946년 6월 12일 퇴역
1951년 2월 19일 재취역
6.25 전쟁
베트남 전쟁
퇴역 일자 1970/1/30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16개
6.25 전쟁 배틀 스타 5개
베트남 전쟁 배틀 스타 9개
대통령부대표창
최후 1970년 스크랩

1942년 9월 과달카날 전역에 참가, 수송선 호위 임무를 맡으며 태평양 전쟁에 발을 디뎠다.

1943년에도 과달카날에서 수송선을 호위하고, 해안을 포격하고, 대잠 초계를 벌이는 등의 임무를 맡았다. 과달카날 전역이 끝난 후에는 뉴조지아 전투에 참가했다. 7월에는 쿨라 만 해전에도 참가했는데, 이 전투에서 격침된 헬레나의 생존자 291명을 구조하며 전투를 치렀다. 이 일로 대통령부대표창을 받기도 하였다. 며칠 후 벌어진 콜롬방가라 해전에도 참가하였다. 11월에는 콰잘레인 및 워트제 포격에 참가했다.

1944년 2월에는 뉴기니 상륙을 지원했고 5월에는 재보급 함대를 호위했으며 해안 포격도 수행하였다. 6월에는 대잠 임무를 벌였다. 필리핀 탈환전에도 참전했는데, 11월에는 일본군 잠수함 I-38을 영원히 가라앉히기도 했다.

전쟁이 끝난 후에는 일본 항복 조인식에 미국 대표단을 실어날랐다. 일본이 정식으로 항복하는 그 순간에 도쿄 만에 있었다는 이야기. 이후 연합군 포로들을 집으로 돌려보내는 작전에 참가했다. 1946년 퇴역, 태평양 예비함대에 들어간다.

6.25 전쟁이 발발하자 호위구축함으로 전쟁에 참전, 서해안에서 항공모함을 호위했으며 동해안을 포격했다.

1954년 Operation Castle을 지원했으며 1959~1960년 현대화 개량을 받았다.

1965년에는 남베트남 해안에서 북베트남의 무기와 인력이 밀입국하는 것을 막는 활동을 했다. 포격 지원과 정보 수집 역시 수행했으며 대만 해협 근처를 순찰하기도 했다. 또한 아폴로 7호, 아폴로 8호 캡슐 회수 임무를 맡기도 했다.

7. DD-450 오배넌

USS O'Bannon (DD-450)
함명의 유래 프레슬리 오배넌[5]
진수 일자 1942/2/19
취역 일자 1942/6/26
주요 활동 제2차 세계 대전
6.25 전쟁
베트남 전쟁
퇴역 일자 1970/1/30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17개
6.25 전쟁 배틀 스타 3개
대통령부대표창
최후 1970년 스크랩

감자로 잠수함을 잡은 구축함. 자세한 건 문서로.

8. DD-451 셔벌리어

USS Chevalier (DD-451)
함명의 유래 고드프리 드쿠셀 셔벌리어[6]
진수 일자 1942/4/11
취역 일자 1942/7/20
주요 활동 제2차 세계 대전
퇴역 일자 -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3개
최후 1943년 벨라라벨라 해전에서 격침

취역한 이후 대서양에서 세 차례의 호위 임무에 동원된 후 태평양 전쟁에 투입되었다.

1943년 1월 7일 과달카날 전역에서 수송선 호위 임무를 맡았으며 29~30일에는 렌넬 섬 해전에서 몰려오는 일본군 폭격기를 상대로 대공포를 쏴갈겼다.

5월 7일에는 솔로몬 제도 해역에서 벌어지는 기뢰 설치 작업을 호위해 다음날 일본군 15구축대의 소속 구축함 세 척이 기뢰를 밟고 공습에 가라앉는데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이후 11~14일에는 콜롬방가라 섬을 포격하고 기뢰 설치 호위도 했다.

7월 초에는 뉴조지아섬에 상륙하는 해병대를 지원했다. 이때 스트롱이 일본 구축함들의 뇌격에 격침되자 스트롱을 들이받아 생존자를 구조했다. 이 과정에서 일본군 해안포에 맞아 함수에 구멍이 뚫렸으나 큰 피해는 없었다. 이 손상에 대한 수리는 7월 22일 완료된다. 이후 한동안 호위 및 초계 임무를 수행했다. 8월 15일에는 벨라라벨라섬에 상륙하는 일본 증원군을 요격했으며 9월에는 시드니행 호위 임무를 맡았다.

1943년 10월 6일 오배넌, 셀프리지와 함께 벨라라벨라섬에서 철수하는 일본군을 막는데 동원되었다. 이때 일본군의 전력은 구축함 아홉 척이었다. 셔벌리어는 전투 도중 어뢰에 맞아 통제 불능 상태에 빠진다.[7] 거기다가 뒤따라오던 오배넌이 피하지 못하고 기관실을 들이받은건 덤. 이 때문에 동력이 나가버렸고 침수까지 일어났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다른 구축함들과 함께 어뢰로 구축함 유구모를 격침시켰지만 결국 퇴함 명령이 떨어졌다. 생존자들은 오배넌에 의해 구조되었으며 아직 완전히 가라앉지 않은 셔벌리어는 아군 구축함들의 뇌격으로 자침되었다.

셔벌리어라는 이름은 기어링급 구축함에게 계승 된다.

9. DD-465 소플리

USS Saufley (DD-465)
함명의 유래 리처드 C. 소플리[8]
진수 일자 1942/7/19
취역 일자 1942/8/29
주요 활동 제2차 세계 대전
1946년 6월 12일 퇴역
1949년 12월 15일 재취역
퇴역 일자 1965/1/29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16개
최후 1968년 표적함으로 소모

취역 후 몇 번 해안 호위를 하다가 태평양 전쟁에 배치되었다. 1942년이 끝나기 직전 과달카날 전역에 투입되어 증원군 호위, 대함 수색, 해안 포격 등을 수행했다.

1943년에도 과달카날에서 작전을 수행했다. 과달카날 전역이 끝난 뒤에는 러셀 제도 점령 작전을 지원했다. 7~8월에는 뉴조지아 상륙 작전을 지원했다. 이 과정에서 일본군 잠수함 Ro-101을 격침시키기도 했다. 1944년으로 년도가 넘어갈 때는 솔로몬 제도에서 작전을 수행했다.

1944년 4월 7일, 여전히 솔로몬 제도에 있다가 일본군 잠수함 I-2를 격침시켰다. 6월에는 사이판 전투를 포함한 마리아나 제도 전역을 지원했다. 11월부터는 전쟁이 끝날 때까지 필리핀 탈환전에 참가했다.

이후 장강 하류에서 소해 작전을 한 후 퇴역, 예비역 처리되었다.

1949년 대서양에서 호위구축함(DDE)으로 재취역. 추락한 여객기나 해군 TBM의 생존자를 구조하는 활동을 했다. 1951년부터는 실험용 호위구축함(EDDE)로 재분류. 대잠 장비 실험에 종사했다.

1962년 다시 구축함으로 재지정. 영화 "PT-109"에 출연하거나 쿠바 미사일 위기 당시 쿠바를 봉쇄하는 활동을 했다. 이후 실험 임무를 계속하거나 실종된 잠수함 스레셔를 찾는 일을 하였다.

1965년 퇴역한 후에도 폭발 실험용으로 사용되었고, 그 결과 플로리다에서 가라앉았다.

10. DD-466 월러

USS Waller (DD-466)
함명의 유래 리틀턴 W. T. 월러[9]
진수 일자 1942/8/15
취역 일자 1942/10/1
주요 활동 제2차 세계 대전
1946년 6월 10일 퇴역
1950년 7월 5일 재취역
6.25 전쟁
베트남 전쟁
퇴역 일자 1969/7/15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14개
6.25 전쟁 배틀 스타 2개
베트남 전쟁 배틀 스타 2개
최후 1970년 표적함으로 소모

취역 후 호위 임무를 수행하다 태평양 전쟁으로 배치. 1943년 과달카날 전역에 참가한다. 1월 랜넬 섬 해전 참가했으며 노스햄프턴급 중순양함 시카고가 격침되자 생존자들을 구조하기도 하였다. 3월에는 블랙켓 해협 해전에 참가, 동료 구축함과 함께 무라사메 미네구모를 격침시켰다. 이후로도 계속 솔로몬 제도에서 벌어지는 작전에 참가했다. 7월에는 쿨라 만 해전에 참가했으며, 고속수송함 호위 중 아군 PT보트 세 척을 일본군 구축함으로 오인해 격침시킬 뻔하기도 했다.[10] 10월부터는 솔로몬 제도에서 벌어지는 작전에 참가했다.

솔로몬 제도 이후에는 사이판 전투를 포함한 마리아나 제도 작전에 참가했다. 1944년 11월부터는 필리핀 탈환전에 참가, 일본군 잠수함 한 척을 들이받은 다음 40mm 대공포와 5인치 함포로 두들겨 패 가라앉히는 등의 활약을 했다. 필리핀 전역이 끝난 뒤에는 몰락 작전을 준비하다 종전을 맞았다.

종전 후 중국에서 일본군 무장 해제, 소해 작전, 선박 감시 등의 임무를 맡았다. 이 도중 남아있는 일본군 기뢰와 접촉해 부상자가 나오기도 했다. 이후 샌디에이고에서 퇴역 및 예비역으로 전환.

6.25 전쟁 직전 호위구축함으로 개조되었고, 전쟁이 벌어진 직후 재취역했다. 6.25 전쟁에서는 TF95에 배속되어 원산을 비롯한 동해안을 포격했다.

1951년부터 다시 (미국의) 동해안으로 돌아갔다. 이 동안에는 카리브해와 지중해에서 활동했다.

1968년 다시 아시아로 귀환, 함포로 베트남 내 연합군을 지원했다.

11. DD-467 스트롱

USS Strong (DD-467)
함명의 유래 제임스 H. 스트롱[11]
진수 일자 1942/5/17
취역 일자 1942/8/7
주요 활동 제2차 세계 대전
퇴역 일자 -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3개
최후 1943년 뉴조지아 전투에서 격침

대서양에서 호위 및 대잠초계 임무를 수행하다 1942년 말 태평양으로 배치된다. 파나마 운하를 통과한 시기는 1943년 1월 2일.

1943년 1월 2일 뉴칼레도니아에 도착. 2월부터 과달카날 전역 막바지에 참가해 대잠 초계 등의 활동을 했다. 이후 솔로몬 제도에서 작전을 수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잠수함 Ro-34를 격침하였다. 5월 7일에는 솔로몬 제도 해역에서 벌어지는 기뢰 설치 작업을 호위해 다음날 일본군 15구축대의 소속 구축함 세 척이 기뢰를 밟고 공습에 가라앉는데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기도 했다. 이후로도 해안 포격, 대잠 초계 등의 임무를 충실히 수행하였다.

1943년 7월 5일 뉴조지아섬에 상륙하는 미군 병력을 지원해 해안 포격을 벌이던 중 일본군 구축함들의 뇌격으로 격침되었다. 생존자들은 셔벌리어가 구조했다. 일부 승무원들은 근처 섬까지 표류하기도 하였다.

12. DD-468 테일러

USS Taylor (DD-468)
함명의 유래 윌리엄 로저스 테일러[12]
진수 일자 1942/6/7
취역 일자 1942/8/28
주요 활동 제2차 세계 대전
1946년 5월 31일 퇴역
1951년 12월 3일 재취역
6.25 전쟁
베트남 전쟁
퇴역 일자 1969/6/3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14개
6.25 전쟁 배틀 스타 2개
베트남 전쟁 배틀 스타 5개
해군장관부대표창
최후 1969년 이탈리아에 양도되어 란데레(Landere)로 활동
1971년 분해됨

13. DD-469 드헤이븐

USS De Haven (DD-469)
함명의 유래 에드윈 드헤이븐[13]
진수 일자 1942/6/28
취역 일자 1942/9/21
주요 활동 제2차 세계 대전
퇴역 일자 -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1개
최후 1943년 과달카날 전역에서 격침

1943년 2월 1일 상륙정을 호위하던 중 과달카날 철수 작전을 지원하던 일본군 폭격기에게 격침당했다. 생존자들은 호위받던 상륙정이 구조했다.

14. DD-470 배치

USS Bache (DD-470)
함명의 유래 조지 M. 배치[14]
진수 일자 1942/7/27
취역 일자 1942/11/14
주요 활동 대서양 전투
태평양 전쟁
1946년 2월 4일 퇴역
1951년 10월 1일 재취역
레바논 위기
베트남 전쟁
퇴역 일자 -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8개
베트남 전쟁 배틀 스타 2개
최후 1968년 도데카니사 제도에서 좌초

15. DD-471 빌

USS Beale (DD-471)
함명의 유래 에드워드 피츠제럴드 빌[15]
진수 일자 1942/8/24
취역 일자 1942/12/23
주요 활동 대서양 전투
태평양 전쟁
1946년 4월 11일 퇴역
1951년 11월 1일 재취역
쿠바 미사일 위기
베트남 전쟁
퇴역 일자 1968/9/30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6개
베트남 전쟁 배틀 스타 1개
최후 1969년 표적함으로 소모됨

16. DD-472 게스트

USS Guest (DD-472)
함명의 유래 존 게스트[16]
진수 일자 1942/9/27
취역 일자 1942/12/15
주요 활동 대서양 전투
태평양 전쟁
퇴역 일자 1946/6/4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8개
최후 1959년 브라질에 양도되어 파라(Para)로 활동
1983년 잠수함 세아라에 의해 표적함으로 소모

17. DD-473 베넷

USS Bennett (DD-473)
함명의 유래 플로이드 베넷[17]
진수 일자 1942/8/16
취역 일자 1943/2/9
주요 활동 대서양 전투
태평양 전쟁
퇴역 일자 1946/4/18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7개
최후 1959년 브라질에 양도되어 파라이바(Paraíba)로 활동
1978년 스크랩

18. DD-474 풀럼

USS Fullam (DD-474)
함명의 유래 윌리엄 풀럼[18]
진수 일자 1942/4/16
취역 일자 1943/3/2
주요 활동 태평양 전쟁
퇴역 일자 1947/1/5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7개
최후 1962년 표적함으로 소모됨

19. DD-475 허드슨

USS Hudson (DD-475)
함명의 유래 윌리엄 L. 허드슨[19]
진수 일자 1942/6/3
취역 일자 1943/4/13
주요 활동 대서양 전투
태평양 전쟁
퇴역 일자 1946/5/31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9개
해군장관부대표창
최후 1973년 스크랩

20. DD-476 허친스

USS Hutchins (DD-476)
함명의 유래 칼턴 B. 허친스[20]
진수 일자 1942/2/20
취역 일자 1942/11/17
주요 활동 대서양 전투
태평양 전쟁
퇴역 일자 1945/11/30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6개
최후 1948년 스크랩

21. DD-477 프링글

USS Pringle (DD-477)
함명의 유래 조엘 R. P. 프링글[21]
진수 일자 1942/5/2
취역 일자 1942/9/15
주요 활동 대서양 전투
태평양 전쟁
퇴역 일자 -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10개
최후 1945년 오키나와 전투에서 카미카제 공격으로 격침
비고 운용기간 중 수상기 1기 운용

1945년 4월 16일 피켓 임무 수행 중 D3A 폭격기의 카미카제 공격으로 두동강나 가라앉았다.

22. DD-478 스탠리

USS Stanly (DD-478)
함명의 유래 파비우스 스탠리[22]
진수 일자 1942/5/2
취역 일자 1942/10/15
주요 활동 태평양 전쟁
퇴역 일자 1946/10/??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9개
대통령부대표창
최후 1972년 스크랩

23. DD-479 스티븐스

USS Stevens (DD-479)
함명의 유래 토머스 홀드업 스티븐스[23]
토머스 홀드업 스티븐스 주니어[24]
진수 일자 1942/6/24
취역 일자 1943/2/1
주요 활동 대서양 전투
태평양 전쟁
퇴역 일자 1946/7/2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9개
최후 1973년 스크랩
비고 운용기간 중 수상기 1기 운용

24. DD-480 핼퍼드

USS Halford (DD-480)
함명의 유래 윌리엄 핼퍼드[25]
진수 일자 1942/10/29
취역 일자 1943/4/10
주요 활동 태평양 전쟁
퇴역 일자 1946/5/15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13개
최후 1970년 스크랩
비고 운용기간 중 수상기 1기 운용

25. DD-481 로이체

USS Leutze (DD-481)
함명의 유래 유진 H. C. 로이체[26]
진수 일자 1942/10/29
취역 일자 1944/3/4
주요 활동 태평양 전쟁
퇴역 일자 1945/12/6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5개
최후 1947년 스크랩

26. DD-498 필립

USS Philip (DD-498)
함명의 유래 존 W. 필립[27]
진수 일자 1942/10/13
취역 일자 1942/11/21
주요 활동 태평양 전쟁
1947년 1월 퇴역
1950년 6월 30일 재취역
6.25 전쟁
퇴역 일자 1968/9/30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9개
6.25 전쟁 배틀 스타 5개
최후 1972년 폭풍으로 침몰

27. DD-499 렌쇼

USS Renshaw (DD-499)
함명의 유래 윌리엄 B. 렌쇼[28]
진수 일자 1942/10/13
취역 일자 1942/12/5
주요 활동 태평양 전쟁
1947년 2월 퇴역
1950년 6월 재취역
6.25 전쟁
시그마 7호
베트남 전쟁
퇴역 일자 1970/2/14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8개
6.25 전쟁 배틀 스타 5개
베트남 전쟁 배틀 스타 6개
최후 1970년 스크랩

28. DD-500 링골드

USS Ringgold (DD-500)
함명의 유래 캐드월러더 링골드[29]
진수 일자 1942/11/11
취역 일자 1942/12/30
주요 활동 태평양 전쟁
퇴역 일자 1946/3/23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10개
최후 1969년 서독에 양도되어 Z-2로 활동
1981년 그리스에 양도되어 분해됨

29. DD-501 슈뢰더

USS Schroeder (DD-501)
함명의 유래 시턴 슈뢰더[30]
진수 일자 1942/11/11
취역 일자 1943/1/1
주요 활동 태평양 전쟁
퇴역 일자 1946/4/29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10개
최후 1974년 스크랩

30. DD-502 시그스비

USS Sigsbee (DD-502)
함명의 유래 찰스 D. 시그스비[31]
진수 일자 1942/12/7
취역 일자 1943/1/23
주요 활동 태평양 전쟁
퇴역 일자 1947/3/31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10개
최후 1975년 스크랩

31. DD-507 콘웨이

USS Conway (DD-507)
함명의 유래 윌리엄 콘웨이[32]
진수 일자 1941/11/5
취역 일자 1942/10/9
주요 활동 태평양 전쟁
1946년 6월 25일 퇴역
1950년 11월 8일
6.25 전쟁
퇴역 일자 1969/11/15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13개
6.25 전쟁 배틀 스타 2개
최후 1970년 표적함으로 소모

32. DD-508 코니

USS Cony (DD-508)
함명의 유래 조지프 S. 코니[33]
진수 일자 1942/8/30
취역 일자 1942/10/30
주요 활동 태평양 전쟁
1946년 6월 25일 퇴역
1949년 11월 17일 재취역
6.25 전쟁
쿠바 미사일 위기
퇴역 일자 1969/11/15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11개
6.25 전쟁 배틀 스타 2개
최후 1970년 표적함으로 소모

33. DD-509 컨버스

USS Converse (DD-509)
함명의 유래 조지 A. 컨버스[34]
진수 일자 1942/8/30
취역 일자 1943/11/20
주요 활동 태평양 전쟁
퇴역 일자 1946/4/23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11개
대통령부대표창
최후 1959년 스페인국에 양도되어 알미란테 바이데스(Almirante Vaides)로 활동
1988년 스크랩

34. DD-510 이튼

USS Eaton (DD-510)
함명의 유래 윌리엄 이튼[35]
진수 일자 1942/9/20
취역 일자 1942/12/4
주요 활동 태평양 전쟁
1946년 4월 21일 퇴역
1951년 12월 11일 재취역
퇴역 일자 1969/5/30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11개
최후 1970년 표적함으로 소모

35. DD-511 푸트

USS Eaton (DD-510)
함명의 유래 앤드류 헐 푸트[36]
진수 일자 1942/10/11
취역 일자 1942/12/22
주요 활동 태평양 전쟁
퇴역 일자 1946/4/18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4개
최후 1974년 스크랩

36. DD-512 스펜스

USS Spence (DD-512)
함명의 유래 로버트 T. 스펜스[37]
진수 일자 1942/10/27
취역 일자 1943/1/8
주요 활동 대서양 전투
태평양 전쟁
퇴역 일자 -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8개
대통령부대표창
최후 1944년 태풍 코브라로 침몰

37. DD-513 테리

USS Terry (DD-513)
함명의 유래 에드워드 테리[38]
진수 일자 1942/11/22
취역 일자 1943/1/26
주요 활동 대서양 전투
태평양 전쟁
퇴역 일자 1947/1/??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7개
최후 1974년 페루에 양도되어 분해됨

38. DD-514 대처

USS Thatcher (DD-514)
함명의 유래 헨리 K. 대처[39]
진수 일자 1942/12/6
취역 일자 1943/2/10
주요 활동 대서양 전투
태평양 전쟁
퇴역 일자 1945/5/23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12개
최후 1948년 스크랩

39. DD-515 앤서니

USS Anthony (DD-515)
함명의 유래 윌리엄 앤서니[40]
진수 일자 1942/12/20
취역 일자 1943/2/26
주요 활동 태평양 전쟁
퇴역 일자 1946/4/17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7개
최후 1958년 서독에 양도되어 Z-1으로 활동
1972년 스크랩

40. DD-516 워즈워스

USS Wadsworth (DD-516)
함명의 유래 알렉샌더 S. 워즈워스[41]
진수 일자 1943/1/10
취역 일자 1943/3/16
주요 활동 태평양 전쟁
퇴역 일자 1946/4/18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7개
대통령부대표창
최후 1959년 서독에 양도되어 Z-3으로 활동
1980년 그리스에 양도되어 네아르코스(Νέαρχος)로 활동
199?년 스크랩

41. DD-517 워커

USS Walker (DD-517)
함명의 유래 존 G. 워커[42]
진수 일자 1943/1/31
취역 일자 1943/4/3
주요 활동 대서양 전투
태평양 전쟁
1946년 5월 31일 퇴역
1951년 1월 27일 재취역
그린하우스 작전
6.25 전쟁
시그마-7
베트남 전쟁
퇴역 일자 1969/7/2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6개
6.25 전쟁 배틀 스타 2개
베트남 전쟁 배틀 스타 3개
최후 1969년 이탈리아에 양도되어 판테(Fante)로 활동
1977년 스크랩

42. DD-518 브라운슨

USS Brownson (DD-518)
함명의 유래 윌러드 H. 브라운슨[43]
진수 일자 1942/9/24
취역 일자 1943/2/3
주요 활동 대서양 전투
태평양 전쟁
퇴역 일자 -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1개
최후 1943년 글로스터 곶 전투에서 폭격으로 격침

1943년 12월 26일 글로스터 곶 전투를 지원하던 중 일본군 D3A 폭격기가 투하한 폭탄 두 발에 맞아 격침되었다. 108명의 승무원이 전사했으며 생존자는 데일리와 마한급 구축함 람슨이 구조했다.

43. DD-519 데일리

USS Daly (DD-519)
함명의 유래 대니얼 데일리[44]
진수 일자 1942/10/24
취역 일자 1943/3/10
주요 활동 태평양 전쟁
1946년 4월 18일 퇴역
1951년 7월 6일 재취역
6.25 전쟁
퇴역 일자 1960/5/2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8개
6.25 전쟁 배틀 스타 1개
최후 1946년 스크랩

44. DD-520 아이셔우드

USS Isherwood (DD-520)
함명의 유래 벤저민 F. 아이셔우드[45]
진수 일자 1942/11/24
취역 일자 1943/4/12
주요 활동 대서양 전투
태평양 전쟁
1946년 2월 1일 퇴역
1951년 4월 5일 재취역
퇴역 일자 1961/9/11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5개
최후 1961년 페루에 양도되어 알미란테 기세(Almirante Guise)로 활동
1981년 스크랩

45. DD-521 킴벌리

USS Kimberly (DD-521)
함명의 유래 루이스 A. 킴벌리[46]
진수 일자 1943/2/4
취역 일자 1943/5/22
주요 활동 태평양 전쟁
1947년 2월 5일 퇴역
1951년 2월 8일 재취역
6.25 전쟁
퇴역 일자 1954/1/15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5개
6.25 전쟁 배틀 스타 1개
최후 1967년 중화민국에 양도되어 안양(安陽)으로 활동
2003년 표적함으로 소모

46. DD-522 루스

USS Luce (DD-522)
함명의 유래 스티븐 B. 루스[47]
진수 일자 1943/3/6
취역 일자 1943/6/21
주요 활동 태평양 전쟁
퇴역 일자 -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5개
최후 1945년 오키나와 전투에서 카미카제 공격으로 격침

1945년 5월 4일 피켓 임무 수행 중 일본군 카미카제 두 기의 습격을 받았다. 첫번째 카미카제는 격추했지만 폭탄이 폭발하며 생긴 충격으로 동력이 나가버려서 두번째 카미카제에게 당했다.

47. DD-526 애브너 리드

USS Abner Read (DD-526)
함명의 유래 애브너 리드[48]
진수 일자 1942/8/18
취역 일자 1943/2/5
주요 활동 태평양 전쟁
퇴역 일자 -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4개
최후 1944년 필리핀 탈환전에서 카미카제 공격으로 격침

1944년 11월 1일 레이테 만에서 초계 임무를 수행하던 중 D3A의 습격을 받았다. 애브너 리드는 D3A를 격추했지만 D3A가 투하한 폭탄과 추락하는 D3A가 후면에 명중하며 격침되었다. 사망자 22명.

48. DD-527 암멘

USS Ammen (DD-527)
함명의 유래 대니얼 암멘[49]
진수 일자 1942/9/17
취역 일자 1943/3/20
주요 활동 태평양 전쟁
1946년 4월 15일 퇴역
1951년 4월 5일 재취역
퇴역 일자 1960/9/15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8개
최후 1961년 스크랩

49. DD-528 멀라니

USS Mullany (DD-528)
함명의 유래 로버트 M. 멀라니[50]
진수 일자 1942/10/10
취역 일자 1943/4/23
주요 활동 태평양 전쟁
1946년 2월 14일 퇴역
1951년 3월 8일 재취역
베트남 전쟁
퇴역 일자 1971/10/6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7개
최후 1971년 중화민국에 양도되어 칭양(慶陽)으로 활동
2001년 인공 어초로 사용

본래 예정된 이름은 비티(Beatty)였으나 1941년 5월 28일 멀라니로 변경된다.

1945년 4월 6일 오키나와 전투에서 카미카제에 당해 퇴함 명령까지 떨어졌지만 살아남았다.

50. DD-529 부시

USS Bush (DD-529)
함명의 유래 윌리엄 샤프 부시[51]
진수 일자 1942/10/27
취역 일자 1943/5/10
주요 활동 태평양 전쟁
퇴역 일자 -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7개
최후 1945년 오키나와 전투에서 카미카제 공격으로 격침

1945년 4월 6일 피켓 임무 수행 중 카미카제 세 기에 당해 격침되었다.

51. DD-530 트라텐

USS Trathen (DD-530)
함명의 유래 제임스 트라텐[52]
진수 일자 1942/10/22
취역 일자 1943/5/28
주요 활동 태평양 전쟁
1946년 1월 18일 퇴역
1951년 8월 1일 재취역
6.25 전쟁
퇴역 일자 1972/11/1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8개
6.25 전쟁 배틀 스타 2개
최후 1973년 표적함으로 소모

52. DD-531 헤이즐우드

USS Hazelwood (DD-531)
함명의 유래 존 헤이즐우드[53]
진수 일자 1942/11/20
취역 일자 1943/6/18
주요 활동 태평양 전쟁
1946년 1월 18일 퇴역
1951년 9월 12일 재취역
쿠바 미사일 위기
퇴역 일자 1965/3/19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10개
최후 1976년 스크랩

1958년 이후로는 DASH(Drone Anti-Submarine Helicopter)나 SLAD(Shipboard Landing Assist Device)를 실험하는 임무를 맡기도 했다.

53. DD-532 히어만

파일:Aerial_view_of_USS_Heermann_(DD-532),_circa_in_1943.jpg
USS Heermann (DD-532)
함명의 유래 루이스 히어만[54]
진수 일자 1942/12/5
취역 일자 1943/7/6
주요 활동 태평양 전쟁
1946년 6월 12일 퇴역
1951년 12월 12일 재취역
퇴역 일자 1957/12/20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9개
대통령 부대 표창
최후 1961년 아르헨티나에 양도되어 브라운(Brown)[55]로 활동
1983년 스크랩

존스턴과 함께 사마르 해전에서 대활약한 구축함이며, 사마르 해전의 승부를 결정지은 배이다.

사마르 해전에서는 일본 전함 공고와 하루나, 중순양함 2척[56]에 어뢰를 날렸으며, 이 중 하루나에게 발사한 어뢰가 세계 최대 초전함인 야마토급 전함 야마토와 나가토급 전함 나가토를 전장에서 쫓아냈고 이것이 해전의 승부를 결정지었다. 어뢰에 쫓기던 야마토와 나가토는 물론이고, 구리다 함대의 전함과 순양함들은 히어만을 비롯한 미군 구축함들에게 집중포화를 퍼부었고 사무엘 B. 로버츠가 이 공격으로 대파되었지만, 히어만은 포탑 하나가 날아가는 등의 큰 피해를 입고서도 4대의 함재기와 협력하여 토네급 중순양함 치쿠마의 선수를 날려버리고 함교를 파괴했고, 치쿠마는 그날을 넘기지 못하고 격침되었다. 이후 토네급 중순양함 토네가 히어만에게 덤볐지만 토네는 히어만을 지키던 함재기들의 공격으로 도주했다.

일본에서는 야마토가 히어만의 어뢰를 피한 후 다시 싸웠다고 주장했지만, 대낮에 2시간 동안 혈투를 벌였음에도 야마토와 나가토, 공고와 하루나는 해전이 끝날 때까지 히어만을 물리치고 레이테 만으로 돌입하지 못했으며 이것은 일본의 순양함과 구축함들도 마찬가지였다. 함대결전을 위해 준비된 일본 최강의 함대가 미군 구축함 한 척을 돌파하지 못한 것이다. 결국 일본 함대는 구리다 턴을 시전하며 퇴각했고, 히어만은 사마르 해전에서 일본 함대와 맞서 용감하게 나서서 싸운 3척의 구축함과 1척의 호위구축함 중 유일한 생존함이 되었고 대통령 부대 표창을 받게 된다.

수리를 끝마친 히어만은 이오지마 전투와 오키나와 전투에서 대잠 초계 임무를 맡았다. 오키나와 전투 과정에서 가이텐을 실은 잠수함 I-56을 격침시켰다. 이는 히어만이 올린 마지막 격침 성과였다. 종전 직전 카미카제 공격을 1차례 받았지만 대공포로 무사히 격추시켰고, 무사히 종전을 맞을 수 있었다.

이후 히어만은 현역 일선에서 물러나 훈련함으로 쓰였다가 1961년에 아르헨티나 해군에 공여되고 브라운(Brown, D-20)으로 개명되었다. 그리고 약 22년간 더 구른 후인 1983년에 스크랩되며 파란만장했던 함생을 마치게 된다.

54. DD-533 호엘

USS Hoel (DD-533)
함명의 유래 윌리엄 R. 호엘[57]
진수 일자 1942/12/19
취역 일자 1943/7/29
주요 활동 태평양 전쟁
퇴역 일자 -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5개
대통령 부대 표창
최후 사마르 해전에서 격침

사마르 해전에서 존스턴이 공격당하자 히어만, 사무엘 B. 로버츠와 함께 구리타 함대에 용맹하게 돌격한 또 한 척의 구축함. 공고의 앞을 가로막고 분전하다 포위당해 격침된다. 돌격한 구축함 중 가장 먼저 격침당해 다른 세 척에 비하면 유명하진 않다.

55. DD-534 매코드

USS McCord (DD-534)
함명의 유래 프랭크 C. 매코드[58]
진수 일자 1943/1/10
취역 일자 1943/8/19
주요 활동 태평양 전쟁
1947년 1월 15일 퇴역
1951년 8월 1일 재취역
6.25 전쟁
퇴역 일자 1954/6/9
주요 수훈 ?
최후 1974년 스크랩

56. DD-535 밀러

USS Miller (DD-535)
함명의 유래 제임스 밀러[59]
진수 일자 1943/2/15
취역 일자 1943/8/31
주요 활동 태평양 전쟁
1945년 12월 19일 퇴역
1951년 5월 19일 재취역
6.25 전쟁
1958년 레바논 위기
퇴역 일자 1964/6/30
주요 수훈 ?
최후 1975년 스크랩

57. DD-536 오웬

USS Owen (DD-536)
함명의 유래 엘리어스 K. 오웬[60]
진수 일자 1943/3/21
취역 일자 1943/9/20
주요 활동 제2차 세계 대전
1946년 12월 10일 퇴역
1951년 8월 17일 재취역
6.25 전쟁
퇴역 일자 1958/5/27
배틀 스타 제2차 세계 대전 9개
6.25 전쟁 2개
최후 1973년 스크랩

58. DD-537 더 설리번즈

USS The Sullivans (DD-537)
함명의 유래 설리번 5형제
진수 일자 1943/4/4
취역 일자 1943/9/30
주요 활동 태평양 전쟁
1946년 1월 10일 퇴역
1951년 7월 6일 재취역
6.25 전쟁
레바논 위기
쿠바 미사일 위기
퇴역 일자 1965/1/7
배틀 스타 제2차 세계 대전 9개
6.25 전쟁 2개
최후 1977년 이후 버팔로에 전시 중



제2차 세계대전 당시에는 주로 대잠 및 대공 초계 업무를 맡았다.

함명의 주인공들인 설리번 5형제 중 막내 앨버트 리오 "앨" 설리번의 아들 제임스 설리번이 이 함선에서 근무했다.

2022년쯤에 USS리틀 록과 전시되고있던도중에 침수가되어 가라앉을뻔했다. 다행히 현재 물을 다빼낸뒤에 다시 띄우는데 성공은 했지만 복구가 필요해 보인다.

59. DD-538 스티븐 포터

USS Stephen Potter (DD-538)
함명의 유래 스티븐 포터[61]
진수 일자 1943/4/28
취역 일자 1943/10/21
주요 활동 제2차 세계 대전
1945년 9월 21일 퇴역
1951년 3월 29일 재취역
퇴역 일자 1958/6/13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10개
최후 1973년 스크랩

60. DD-539 틴지

USS Tingey (DD-539)
함명의 유래 토머스 틴지[62]
진수 일자 1943/5/28
취역 일자 1943/11/25
주요 활동 제2차 세계 대전
1946년 3월 ??일 퇴역
1951년 1월 27일 재취역
6.25 전쟁
퇴역 일자 1963/11/30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8개
6.25 전쟁 배틀 스타 5개
최후 1966년 표적함으로 소모

61. DD-540 트와이닝

USS Twining (DD-540)
함명의 유래 네이선 C. 트와이닝[63]
진수 일자 1943/7/11
취역 일자 1943/12/1
주요 활동 제2차 세계 대전
1946년 6월 14일 퇴역
1950년 6월 10일 재취역
6.25 전쟁
퇴역 일자 1971/7/1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8개
6.25 전쟁 배틀 스타 5개
최후 1971년 중화민국에 양도되어 구이양(貴陽)으로 활동
1999년 중화민국 함정 목록에서 삭제됨

62. DD-541 야널

USS Yarnall (DD-541)
함명의 유래 존 J. 야널[64]
진수 일자 1943/7/25
취역 일자 1943/12/30
주요 활동 제2차 세계 대전
1947년 1월 15일 퇴역
1950년 8월 30일 재취역
6.25 전쟁
퇴역 일자 1958/9/30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7개
6.25 전쟁 배틀 스타 2개
최후 1968년 중화민국에 양도되어 쿤양(昆陽)으로 활동
1999년 중화민국 함정 목록에서 삭제됨

63. DD-544 보이드

USS Boyd (DD-544)
함명의 유래 조셉 보이드[65]
진수 일자 1942/10/29
취역 일자 1943/5/8
주요 활동 제2차 세계 대전
1947년 1월 15일 퇴역
1950년 11월 24일 재취역
6.25 전쟁
퇴역 일자 1969/10/1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11개
6.25 전쟁 배틀 스타 5개
최후 1968년 터키에 양도되어 이스켄데룬(İskenderun)으로 활동
1981년 스크랩

64. DD-545 브래드포드

USS Bradford (DD-545)
함명의 유래 가말리엘 브래드포드[66]
진수 일자 1942/12/12
취역 일자 1943/6/12
주요 활동 제2차 세계 대전
1946년 7월 11일 퇴역
1950년 10월 27일 재취역
6.25 전쟁
퇴역 일자 1962/2/9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11개
6.25 전쟁 배틀 스타 6개
최후 1962년 그리스에 양도되어 티엘라(Θύελλα)로 활동
1981년 스크랩

65. DD-546 브라운

USS Brown (DD-546)
함명의 유래 조지 브라운[67]
진수 일자 1943/2/21
취역 일자 1943/7/10
주요 활동 제2차 세계 대전
1946년 8월 1일 퇴역
1950년 10월 27일 재취역
6.25 전쟁
퇴역 일자 1962/2/9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15개
해군부대표창
최후 1962년 그리스에 양도되어 나바리노(Ναυαρίνο)로 활동
1981년 스크랩

66. DD-547 코웰

USS Cowell (DD-547)
함명의 유래 존 G. 코웰[68]
진수 일자 1943/3/18
취역 일자 1943/8/23
주요 활동 제2차 세계 대전
1946년 7월 22일 퇴역
1951년 9월 21일 재취역
6.25 전쟁
퇴역 일자 1971/8/17
주요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배틀 스타 11개
6.25 전쟁 배틀 스타 2개
대통령부대표창
최후 1982년 아르헨티나에 양도되어 알미란테 스트로니(Almirante Storni)로 활동
1982년 스크랩

67. DD-550 캡스

68. DD-551 데이비드 W. 테일러

69. DD-552 에반스

70. DD-553 존 D. 헨리

71. DD-554 프랭크스

72. DD-555 해거드

73. DD-556 헤일리

74. DD-557 존스턴

USS Johnston (DD-557)
함명의 유래 존 V. 존스턴[69]
진수 일자 1943/3/25
취역 일자 1943/10/27
주요 활동 태평양 전쟁
퇴역 일자 -
배틀 스타 6개
대통령 부대 표창
최후 사마르 해전에서 격침

레이테 만 해전의 일부인 사마르 해전에서 대활약한 전설이 된 구축함. 존스턴 항목 참조.

75. DD-558 로즈

76. DD-559 롱쇼

USS Longshaw (DD-559)
함명의 유래 윌리엄 롱쇼 주니어[70]
진수 일자 1943/6/4
취역 일자 1943/12/4
주요 활동 태평양 전쟁
퇴역 일자 -
배틀 스타 9개
최후 1945년 오키나와 전투에서 좌초

1945년 5월 18일 환초에 좌초했다. 예인선 아리카라의 도움을 받아 환초에서 탈출할 예정이었으나 일본군 해안포의 포격에 전방 탄약고가 날아가는 큰 손상을 입는다. 결국 미군은 롱쇼를 포기하고 피킹의 뇌격으로 자침시켰다.

77. DD-560 모리슨

USS Morrison (DD-560)
함명의 유래 존 고든 모리슨[71]
진수 일자 1943/7/4
취역 일자 1943/12/18
주요 활동 태평양 전쟁
퇴역 일자 -
배틀 스타 8개
최후 1945년 오키나와 전투에서 카미카제 공격으로 격침

78. DD-561 프리쳇

79. DD-562 로빈슨

80. DD-563 로스

81. DD-564 로우

82. DD-565 스몰리

83. DD-566 스토다드

84. DD-567 와츠

85. DD-568 렌

86. DD-569 얼릭

87. DD-570 찰스 오스본


플레처급으로 이루어진 구축함 전대 제23구축함전대의 기함. 제23구축함전대는 31노트 버크로 유명한 알레이 버크 제독 대령 시절에 지휘한 구축함전대로 세인트 조지 곶 해전에서 당시 5척이던 제23구축함전대는 동수의 제31구축대를 레이더로 먼저 발견하여 기습, 아무런 피해 없이 3척을 격침시키는 성과를 거두게 된다. 이후에도 여러 전과를 거두어 미합중국 대통령 부대 표창 받고 현재까지 활동하고 있는 미 해군 구축함전대 중 하나이다. 제23구축함전대 홈페이지

88. DD-571 클랙스턴

89. DD-572 다이슨

90. DD-573 해리슨

91. DD-574 존 로저스

92. DD-575 맥키

USS McKee (DD-575)
함명의 유래 휴 맥키[72]
진수 일자 1942/8/2
취역 일자 1943/3/31
주요 활동 태평양 전쟁
퇴역 일자 1946/2/25
배틀 스타 11개
최후 1974년 스크랩

93. DD-576 머레이

94. DD-577 스프로스턴

95. DD-578 윅스

96. DD-579 윌리엄 D. 포터

USS William D. Porter(DD-579)
함명의 유래 윌리엄 데이비드 포터[73]
진수 일자 1942년 9월 27일
취역 일자 1943년 7월 6일
주요 활동 태평양 전쟁
퇴역 일자 -
배틀 스타 4개
최후 1945년 오키나와 전투에서 카미카제 공격으로 격침

포터의 기묘한 함생. 빛나는 전공을 세운 자매함들과 달리 참 파란만장한 활약(?)을 보여준 걸로 유명하다. 첫 임무는 테헤란 회담에 참석하는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과 미국 해군의 함대 총사령관 겸 해군참모총장 어니스트 킹 제독 등 고위급 관료들이 탄 전함 USS 아이오와 함을 호위하는 것이었다. 시작부터 실수로 을 덜 끌어올린 상태에서 출항하려다 아군의 배를 닻으로 긁고 지나가면서 갑판을 박살내는 민폐를 저질렀다. 이때는 임무가 급하니 짧은 사과만 전달하고 갈 길을 재촉했다.

그러나 그건 시작에 불과했다. 항해 도중 포터함이 폭뢰를 실수로 떨어뜨리면서 전 함대가 유보트의 기습으로 상황을 착각하여 급하게 회피 기동을 실시해야 했다. 이 회피 기동은 포터가 자신의 실수를 실토할 때까지 계속되었고 승조원 한 명이 폭뢰로 인한 물살에 떠밀려 가 실종되기도 했다. 이런 추태에 화가 난 어니스트 킹 제독은 직접 포터의 함장을 질책했고 포터의 함장은 개선하겠다는 답을 보냈다. 그걸로도 모자라 기동 중 오조작으로 인한 추진기관 고장으로 낙오하기까지 했다.

이후 항해 도중에 있던 대공 사격 훈련에서 포터 함은 가상 목표물을 전부 격추하며 체면치레를 하는 듯 했으나…진짜 대참사는 어뢰 발사 훈련에서 터졌다. 그 날의 훈련 내용은 어뢰발사기의 사출장약 뇌관을 뺀 채로 실탄 어뢰의 장전과 조준과 격발을 하는 것이었는데, 포터의 어뢰 분대장인 로턴 도슨이 이를 깜빡하고 시원하게 사출장약 뇌관을 넣어준 뒤 격발을 해버리는 바람에 전시에 대통령과 해군참모총장이 탑승한 기함을 향해 실탄 어뢰가 발사되는 전대미문의 사태가 벌어졌다.

어뢰를 발사해버린 뒤 황급히 이를 수습하려 해보았으나, 전 함대가 무선 침묵을 유지하는 상황이었으므로 USS 아이오와에게 무선 교신 대신 발광 신호를 보내서 상황을 알려야 했는데, 너무 급박하게 신호를 보내느라 승조원이 당황했는지 처음엔 '어뢰가 USS 아이오와 반대편으로 발사', 그 다음으로는 '어뢰가 전속력으로 후진 중'이라고 전혀 알 수 없는 내용을 발신하고 말았다. 상황이 더 꼬여가자 포터 함은 무선 침묵을 깨고 '귀함을 향해 정조준된 어뢰가 발사됐다'는 무전을 쳤고, 뒤늦게 이 사실을 알게 된 USS 아이오와는 당연히 혼비백산해 다가오는 어뢰를 피하려고 긴급기동을 시도했다.

물론 어뢰 한 발에 전함이 격침되는 일은 전함 자체에 결함이 있거나 매우 낮은 확률로 취약 부위를 맞아 보일러 실 및 탄약고가 유폭되는 등의 상황이 터지지 않는 한 결코 흔하지는 않다. 예를 들어 아이오와 급과 유사한 크기인 야마토급 전함의 2번함 무사시는 자료에 따라 다르지만, 어뢰 10발에 폭탄 16발 혹은 어뢰 20발에 폭탄 17발을 맞고서야 격침되었으며 완전히 가라앉기까지 네 시간이나 걸렸다. 침몰만 안 된다고 땡은 아니긴 하지만.[74]

이 와중에 해군부 차관을 지냈던 만큼 평소 해군 분야에 관심이 많았고 특히 자국 해군에 대한 애착이 깊었던 루스벨트는 어뢰가 자신이 탑승한 아이오와의 근처로 발사되었다는 보고를 듣자 재밌겠다며 발사된 어뢰를 가까이서 보게 자신의 휠체어를 어뢰가 잘 보이는 곳으로 옮겨달라고 하질 않나, 대통령의 경호를 맡은 시크릿 서비스 요원들은 무슨 의도였는지는 모르겠지만 권총을 뽑아들지를 않나…난리도 그런 난리가 없었다고.[75]

결국 포터가 발사한 어뢰는 아이오와 뒤에서 약 3,000야드(약 2.7㎞) 떨어진 곳에서 폭발했다. 당연히 함대는 발칵 뒤집혔고, 포터는 즉시 함대에서 열외하여 모항으로 복귀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버뮤다 군항으로 복귀하자마자 함장인 월터 소령을 비롯한 포터의 전 승조원들은 엄중한 조사 및 폭풍까임을 면할 수 없었으나, 루스벨트 본인이 실수 좀 할 수도 있는 거지 그런 걸로 갈구지 말라고 통 크게 넘어간 덕에 로턴 도슨만 노역 14년형을 선고받는 걸로 끝났다(이것도 선고뿐이었고 실제로 집행되지는 않았다). 함장 월터 소령도 루스벨트가 개입한 덕에[76] 1944년까지 무난히 함장직을 수행했고 나중에는 한국 전쟁에도 참전한 뒤 소장까지 승진해 충분히 명예롭게 전역했으며(믿기지 않는다면 미군 국립묘지 웹사이트에 Wilfred Walter를 검색해보자), 포터 함 역시 곧바로 샌디에이고 항으로 돌아가서 태평양 전역에 복귀했다. 해군은 이 사건이 너무 쪽팔렸는지 전쟁 이후까지 이를 쉬쉬했지만, 해군 내부에 소문이 나는 건 어쩔 수 없었는지 포터 함을 만나는 배들은 죄다 "쏘지 마! 우리도 공화당원이야(루스벨트가 민주당원이었기 때문)! ㅋㅋㅋ" 했다고.

어쨌든 이런 대형사고를 터트린 포터는 어니스트 킹 제독 명령에 따라 방한복 보급 등의 동계훈련을 위해 알류산 열도로 배치됐고, 여기서도 술에 취한 수병이 실수로 5인치 포를 발사해서 포탄이 기지 사령관 자택의 앞마당을 날려버리는 트롤짓을 저지른다. 하필이면 그 때 사령관은 자택에서 파티를 벌이는 중이었으나 다행히 사상자는 아무도 없었기 때문에 담당자가 징계를 받는 선에서 그쳤다고 한다.

이후 태스크 포스 94에 소속되어 남하해 필리핀 및 오키나와 전투에 참전했다. 오키나와 전투에서도 본의 아닌 팀킬을 저질러서 교전 중 동형 구축함인 USS 루스를 기관포로 손상시키기도 했다. USS 루스는 훗날 카미카제의 공격을 받고 침몰했는데 포터 역시 오키나와에서 발 폭격기 카미카제 공격으로 격침되었다. 이 최후도 포터답다면 포터다웠는데, 태평양에서 전투 중 포터 옆 바다로 추락한 카미카제가 가속도를 타는 바람에 용골 가까이로 파고들어가 포터 바로 밑에서 기뢰마냥 폭발했고, 함체에 구멍이 나는 등의 피해를 입힌 것. 끝까지 기묘했던 게 침몰할 때 사상자는 한 명도 없었다고 한다. 이로 인해 이 배에 탑승한 모든 사람들 중 사망자는 첫 훈련 임무 당시 파도에 휩쓸려 실종 처리된 비전투손실 1명밖에 없는 기묘한 기록을 남기게 되었다.

97. DD-580 영

98. DD-581 샤렛

99. DD-582 코너

100. DD-583 홀

101. DD-584 홀리건

102. DD-585 해러던

103. DD-586 뉴컴

104. DD-587 벨

105. DD-588 번즈

106. DD-589 이자드

107. DD-590 폴 해밀턴

108. DD-591 트윅스

109. DD-592 호워스

110. DD-593 킬렌

111. DD-594 하트

112. DD-595 멧칼프

113. DD-596 실즈

114. DD-597 와일리

115. DD-629 애벗

116. DD-630 브레인

117. DD-631 어빈

USS_Erben_(DD-631)


1963년 한국으로 인도되어 대한민국 해군 최초의 구축함 DD-911 충무함이 되었다.

118. DD-632 헤일

119. DD-633 시고니

120. DD-634 스템벨

121. DD-649 앨버트 W. 그랜트

122. DD-650 캐퍼턴

123. DD-651 콕스웰 앨버트 W. 그랜트

124. DD-650 캐퍼턴

125. DD-651 콕스웰

126. DD-652 잉거솔

미드웨이 해전 당시 아군 오사로 사망한 로열 R. 잉거솔 2세 중위와, 그의 할아버지 로열 R. 잉거솔의 이름을 따왔다.

127. DD-653 냅

128. DD-654 베어스

129. DD-655 존 후드

130. DD-656 반 발켄버그

131. DD-657 찰스 J. 뱃저

132. DD-658 컬래헌

133. DD-659 대실

134. DD-660 벌라드

135. DD-661 키드

USS Kidd (DD-661)
함명의 유래 아이작 C. 키드[77]
진수 일자 1943/2/28
취역 일자 1943/4/23
주요 활동 태평양 전쟁
1946년 12월 10일 퇴역
1951년 3월 28일 재취역
6.25 전쟁
퇴역 일자 1964/6/19
최후 1982년 이후 배턴루지에 전시 중

현존하는 미 해군 전체에서 졸리 로저를 공식적으로 게양할 수 있는 권한을 유일하게 부여받은 함선으로 미국 최후의 사략선이란 별명도 있다. 승조원들이 아이작 C. 키드 제독과 성의 철자가 같은 해적 캡틴 키드를 떠올려서 함선의 스폰서인 키드 부인에게 첫번째 출항에서 졸리 로저를 달아도 괜찮겠냐고 허락을 요청했는데, 마침 남편의 생전 별명도 캡틴 키드였기에 이를 재밌어한 키드 부인은 미 해군에 청원을 보내서 졸리 로저를 게양할 수 있는 권리를 얻어주었다. 연돌에 그려진 해적도 이 때 같이 그렸다. 덕분에 20세기에 최초이자 유일하게 뉴욕에 입항한 해적선(?)이라는 기록도 보유하고 있다.

해적 마스코트에 걸맞게 구조한 항공기 조종사를 항공 모함에서 보상으로 지급하는 아이스크림과 교환할 때 마치 해적이 인질을 잡은 것 처럼 몸값을 요구하는 것 처럼 너희 비행사 잡았으니 당장 우리에게 아이스크림을 내놓으라는 유쾌한 기행을 펼친 전적도 있어서 태평양의 해적(Pirate of the Pacific)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급양 환경이 열악했던 다른 구축함과 마찬가지로 아이스크림에 환장했기에 승조원들이 돈을 모아서 직접 아이스크림 제조 장비를 설치하기도 했다.

키드는 여러 전투에서 활약했지만, 그 중 오키나와 전투에서 맹활약했다. 오키나와 전투 초중반 내내 적 전함 탐지, 해안 포격, 격추된 미군 조종사 구출, 기뢰 제거 등 여러 작전을 수행했다.

오키나와 전투 중이었던 1945년 4월 11일에 카미카제 공격을 받아 보일러실이 폭발하고 총 38명의 승조원이 사망하였다. 하지만 곧 정상 운항이 가능한 상태로 수리되었다. 승무원의 사기를 북돋우기 위해 카미카제 당시 손상된 해적 그림도 다시 그려넣었다. 종전 직후에는 임시 퇴역되었다가 한국 전쟁이 발발하면서 재취역하였고, 1952년 9월에 한반도에 도착해서 연안 정찰 및 화력 지원 임무를 맡았다.

1964년에 정식으로 퇴역하였고, 1975년에는 박물관함으로 지정되었다. 여타 플레처급 선보다 보존 상태가 좋았기에 1945년 8월 당시 고증에 맞는 장비를 장착하는 복원 작업이 진행된 후 1983년에 루이지애나 주도(州都) 배턴루지에서 대중에게 문을 열었다. 이로써 키드는 3척만 남은 플레처급 박물관함 중 하나가 되었다. 키드의 무장은 현재도 실 사격이 가능할 정도로 잘 보존되어있어서 매년 7월 4일 독립 기념일마다 축포를 발사하고 있다. 여전히 성조기와 함께 펄럭이는 졸리 로저는 덤이다.

키드의 함명은 키드급 구축함에 계승되었으며, 키드급이 대만에 팔려간 후에는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에 계승되었다. 알레이 버크급 DDG-100 키드도 선대 키드와 마찬가지로 현존하는 미 해군 전체에서 졸리 로저를 공식적으로 게양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은 유일한 함정이며, 입항할 때 졸리 로저를 게양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영화 그레이하운드에서 주인공인 DD-548, 콜사인 '그레이하운드' 역으로 출연하였다.

2022년에는 기록적인 가뭄으로 인해 미시시피 강의 수위가 크게 낮아지면서 흘수선 아래가 완전히 드러났다.

136. DD-662 베니언

137. DD-663 헤이우드 L. 에드워즈

138. DD-664 리처드 P. 리어리


미해군 에선 1944년 취역, 1946년에 퇴역했다. 이후 1959년까지 예비역으로 보존되다 일본 해상자위대에 공여된다. 공여 후 함명은 JDS 유구레 (DD-184)로 변경돼서 1974년까지 해상자위대에서 운용되다 1976년에 스크랩 처리되었다.

139. DD-665 브라이언트

140. DD-666 블랙

141. DD-667 천시

142. DD-668 클래런스 K. 브론슨

143. DD-669 코튼

144. DD-670 도치

145. DD-671 개틀링

146. DD-672 힐리

147. DD-673 히콕스

USS_Hickox(DD-673)

1968년 한국으로 인도되어 대한민국 해군 세번째 구축함 DD-913 부산함이 되었다.

148. DD-674 헌트

149. DD-675 루이스 핸콕

150. DD-676 마셜

151. DD-677 맥더뭇

152. DD-678 맥고완

153. DD-679 맥네어

154. DD-680 멜빈

155. DD-680 멜빈

USS Melvin (DD-680)
함명의 유래 존 T. 멜빈[78]
진수 일자 1943/10/17
취역 일자 1943/11/24
주요 활동 태평양 전쟁
1946년 5월 31일 퇴역
1951년 2월 26일 재취역
퇴역 일자 1954/1/13
최후 1975년 스크랩

레이테 만 해전에서 벌어진 수리가오 해협 해전에서 일본의 후소급 전함 후소를 뇌격으로 격침시켰다. 이오지마 전투 당시 카미카제 공격을 받아 대파된 새러토가를 호위하기도 했다.

156. DD-681 호프웰

157. DD-682 포터필드

158. DD-683 스톡햄

159. DD-684 웨더번

160. DD-685 피킹

161. DD-686 할시 파웰

Halsey_Powell(DD-686)

1968년 4월 27일 한국으로 인도되어 대한민국 해군 두번째 구축함 DD-912 서울함이 되었다가 1982년 스크랩되었다.

162. DD-687 울만

163. DD-688 레미

164. DD-689 워들리

165. DD-690 노먼 스콧

166. DD-691 메르츠

167. DD-792 캘러헌

168. DD-793 캐신 영

169. DD-794 어윈

170. DD-795 프레스턴

171. DD-796 벤험

172. DD-797 쿠싱

173. DD-798 몬센

174. DD-799 자비스

175. DD-800 포터

176. DD-801 콜훈

177. DD-802 그레고리

178. DD-803 리틀

179. DD-804 룩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64
, 5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64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미국-멕시코 전쟁 남북 전쟁에 참전한 미 해군 장교. 미국-멕시코 전쟁 당시에는 전쟁용 슬루프 워렌의 상륙 부대를 지휘해 멕시코군 브릭 말레크 아델을 나포했다. 남북전쟁 당시에는 연합 철갑선 버지니아의 첫 희생양이 된 프리깃 컴벌랜드의 함장이었으며 이후에는 철갑선 뉴 아이언사이즈의 함장이 된다. 1866년 제독이 되고 1890년 사망. [2] 미국-멕시코 전쟁 남북 전쟁에 참전한 미 해군 장교. 남북전쟁 당시 전쟁용 슬루프 오네이다의 함장이자 패러것 제독의 참모장이었다. 전후 제독 자리까지 올랐고 1893년 사망. [3] 미영전쟁 미국-멕시코 전쟁에 참전한 미 해군 장교. 1862년 미 해군에 소장(rear admiral) 계급이 만들어지고 나서 그 계급장을 처음 단 인물 중 하나다. 다만 고령인지라 소장 계급장을 단지 1년도 지나지 않아 세상을 떠났다. [4] 미국 독립 전쟁에 참전한 해병대 장교. 200명의 해병대원과 50명의 선원들을 이끌고 바하마의 주요 섬인 뉴프로비던스에 상륙해 몬태규 요새, 총독관저, 나소를 점령했다. 이 미합중국 최초의 상륙작전은 대륙군에게 그토록 필요한 대포와 탄약을 확보할 수 있게 해줬다. 미 해병대 "초대" 사령관으로 여겨지는 인물. 초대에 따옴표가 있는건 해병대 대빵이긴 했지만 당시에는 해병대 사령관이라는 보직이 없었기 때문이다. [5] 1차 바르바리 전쟁에 참전한 미 해병대 장교. 데르나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Marines' Hymn에 나오는 트리폴리의 해안이 바로 이 전투를 말하는거라나. [6] 초창기 미해군항공대 조종사. 1916년 장갑순양함 노스캐롤라이나 (ACR-12)에서 벌어진 실험에 참가해 최초로 함상 캐터펄트에서 사출된 조종사가 되었으며 1922년에는 항공모함 랭글리 (CV-1)의 비행갑판에 최초로 착함했다. 1922년 비행기 추락으로 사망. [7] 셀프리지 또한 어뢰를 맞아 함수가 박살났다. [8] 초창기 미해군항공대 조종사. 1916년 비행기 추락으로 사망. [9] 19세기 말 미 해병대 장교. 미국-스페인 전쟁, 의화단 운동 진압, 필리핀 반군 진압, 베라크루스 점령, 아이티 점령 등에 참가했다. 이후 장군까지 되어 1920년 은퇴해 1926년 사망. 필리핀에서 민간인 학살을 벌였다는 얘기가 있다. [10] 정찰기가 오인해서 잘못 알려줬다. [11] 남북 전쟁에 참전한 미 해군 장교. 모빌만 해전 당시 슬루프 머논가힐라의 함장으로 연합군 철갑함 테네시에게 닥돌했다. 머논가힐라와 다른 연방군 함선의 맹공을 받은 테네시는 결국 항복하게 된다. 전후 제독의 자리에 올랐고 1876년 은퇴했으며 1882년 사망했다. [12] 미국-멕시코 전쟁 남북 전쟁에 참전한 미 해군 장교. 전후 제독까지 된다. [13] 19세기 초 미 해군 장교이자 탐험가. 미국-멕시코 전쟁 참전자로 실종된 존 프랭클린 제독을 찾기 위한 구조대를 이끌기도 했다. 1862년 은퇴해 1865년 사망. [14] 남북 전쟁에 참전한 미 해군 장교. [15] 미국-멕시코 전쟁에 참전한 해군 장교. 프리깃 콩그레스에서 복무하던 장교로 샌디에이고 점령에 참가했다. 사실 군 경력보다는 캘리포니아 및 네바다 인디언 현안 감독관이나 캘리포니아 측량감, 주오헝제국 미국 공사와 같은 이후 경력이 더 다채롭다. 1893년 사망. [16] 미국-멕시코 전쟁 남북 전쟁에 참전한 해군 장교. 남북전쟁 때는 건보트 오와스코와 모니터함 상거먼을 지휘했다. 1879년 사망. [17] 미해군항공대 초창기 조종사. 1926년 리처드 에벌린 버드와 함께 북극 횡단 비행에 성공해 명예 훈장을 수여받았다. 1928년 대서양 비행에 성공한 독일 항공기 "브레멘"의 승무원을 구조하는데 투입되었다가 폐렴으로 인해 사망했다. [18]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해군 제독. 1926년 사망. [19] 19세기 해군 장교. 윌크스 남극 탐험대 선박 중 하나였던 전투용 슬루프 피콕의 함장이었다. 1862년 사망. [20] 전간기 미해군항공대 조종사. 1938년 수상기를 몰며 훈련에 참가하던 중 PBY 카탈리나와 충돌했지만 승무원들을 살리기 위해 계속 조종석에 남았다. 그의 희생으로 생존한 승무원들은 낙하산을 타고 탈출할 수 있었다. 명예 훈장 추서됨. [21]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해군 장교. 1926년 제독이 되었으며 1932년 복무 중 사망했다. [22] 미국-멕시코 전쟁과 남북전쟁에 참전한 해군 장교. 1874년 제독이 되었으며 같은 해 은퇴, 1882년 사망했다. [23] 미영전쟁에 참전한 해군 장교. 1841년 복무 중 사망했다. [24] 토머스 홀드업 스티븐스의 아들이자 남북전쟁에 참전한 해군 장교. 1880년 제독이 되었으며 1881년 은퇴했고 1896년 사망했다. [25] 전쟁용 슬루프 USS 새기노의 선원. 1871년 새기노가 미드웨이 인근에 좌초하자 도움을 요청하기 위해 2,500km 떨어진 하와이까지 간 파견대의 유일한 생존자다. 나머지 3명은 카우아이 섬에 상륙하는 과정에서 파도에 휩쓸려 전부 익사. 이 일로 명예 훈장을 받았다. 1910년 은퇴...하나 싶더니 1917년 미국이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며 77세 소위로 한군두를 했다. 1919년 사망. [26] 남북전쟁과 미국-스페인 전쟁에 참전한 해군 장교. 1907년 제독이 되었으며 1912년 은퇴, 1931년 사망했다. 여담으로 트렌턴 전투 문서에 있는 "델라웨어 강을 건너는 워싱턴"을 그린 화가가 아버지다. [27] 남북 전쟁 미국-스페인 전쟁에 참전한 해군 장교. 1899년 제독이 되었지만 1900년 복무 중 급사했다. [28] 남북 전쟁에 참전한 해군 장교로 건보트 웨스트필드의 함장. 1963년 제2차 갤버스턴 전투 당시 웨스트필드가 모래밭에 좌초하자 연맹군에게 넘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배를 폭파시켰다. 이 과정에서 폭탄이 너무 빨리 터져 사망. [29] 윌크스 원정과 남북 전쟁에 참전한 해군 장교. 1866년 제독이 되며 은퇴해 1867년 사망했다. [30] 신미양요, 미국-스페인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참전자이자 드릭스-슈뢰더 속사포의 공동 개발자. 1908년 제독이 되었으며 1922년 사망. [31] 미 해군 제독. 미국-스페인 전쟁의 원인이 된 장갑순양함 메인이 폭발할 때 그 함장이었다는 희귀한 경력이 있다. 1907년 은퇴해 1923년 사망. [32] 남북 전쟁 당시 미 해군에 복무하던 인물. 플로리다가 연방을 탈퇴했을 때 미 연합국 장교가 펜사콜라 해군 조선소에 계양된 성조기를 내리길 요구하자 거절했다. [33] 남북 전쟁에 참전했던 미 해군 장교. 전쟁이 끝난 후인 1867년 자신이 지휘하던 상선이 침몰하며 사망. [34] 미 해군 제독. 무연화약 도입과 어뢰정 개발을 주도한 인물이었다. 미국-스페인 전쟁 시절 순양함 몽고메리 (C-9)을 지휘하며 참전한 경력이 있다. 1909년 사망. [35] 1차 바르바리 전쟁 당시 외교관이자 미 육군 장교. [36] 남북 전쟁 당시 미 해군 장교로 서부전역의 건보트 함대를 지휘했다. 제독까지 되었지만 1863년 급사. [37] 1차 바르바리 전쟁에 참전한 해군 장교. 미영전쟁 당시에는 볼티모어 해군 기지 지휘관이었다. 1826년 사망. [38] 남북 전쟁에 참전한 해군 장교. [39] 남북 전쟁에 참전한 해군 장교. 1866년 제독이 되었으며 1868년 은퇴, 1880년 사망. [40] 메인 함 사건 당시 경비를 서고 있던 미 해병대 병사. 메인 함이 폭발하자 찰스 D. 시그스비 함장의 방으로 뛰어들어가 배가 가라앉고 있다고 보고했다. 배에서 뛰어내리는 대신 함장에게 보고하러 온 용기를 높게 평가한 시그스비 함장은 해병대에 추천장을 보내 부사관으로 승진시켰다. 1899년 원사 계급으로 전역했으며 같은 해 사망. [41] 미국의 해군 간부. 미영전쟁 당시부터 호위함 컨스티튜션에서 복무한 이후 40년을 미 해군에서 일해왔다. 1851년 사망. [42] 남북 전쟁에 참전한 미 해군 장교. 남북전쟁 이후 제독이 되어 전대를 지휘하거나 등대 관련 부서의 수장이 되거나 하다가 1897년 은퇴했다. 은퇴한 이후에도 파나마 운하 건설에 대한 위원회 두 곳의 회장으로 있었다. 1907년 사망. [43] 19~20세기 해군 제독. 1907년 은퇴해서 1935년 사망. [44] 의화단 운동 진압과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해병대원. 명예 훈장을 두 번이나 받았다. 의화단 운동에서 한 번, 1915년 아이티 점령에서 또 한 번. 1차 대전 중 벨로우드 전투에서 "가자 개자식들아, 영원히 살고싶기라도 한거냐?(Come on, you sons of bitches, do you want to live forever?)"라는 명언을 남기기도 했다. [45] 남북 전쟁 당시 해군 수석 기술자(Engineer-in-Chief of the Navy). 증기공학국(Bureau of Steam Engineering)을 창설했다. 1884년 은퇴해 1915년 사망. [46] 남북 전쟁에 참전한 해군 장교. 1887년 제독이 되었으며 1892년 은퇴해 1902년 사망했다. [47] 남북 전쟁에 참전한 미 해군 장교. 해군 인원 교육에 큰 노력을 쏟았다. 남북전쟁 이후 제독 자리까지 올라갔으며 1917년 사망했다. [48] 남북 전쟁에 참전한 미 해군 장교. 건보트 USS 뉴런던의 함장으로 복무하던 중 맹방 지상군의 포격으로 전사했다. [49] 19세기 해군 제독. 남북 전쟁에 참전하기도 했다. 1898년 사망. [50] 19세기 해군 제독. 미국-멕시코 전쟁 남북 전쟁에 참전하기도 했다. 특히 남북전쟁 중 벌어진 모빌만 해전에서 공을 세워 의회의 감사를 받기도 했다. 1887년 사망. [51] 미영전쟁에 참전한 해병대 장교. 호위함 컨스티튜션에서 영국군 호위함 게리에로 넘어가던 중 입은 치명상으로 사망했다. [52] 남북 전쟁에 참전한 해군 장교. 바크 미드나이트의 함장으로 남부 해안을 포격하는 임무를 주로 맡았다. 이후 증기선 마운트버논의 함장으로 임명되어 봉쇄망을 뚫으려 하던 남부 상선들을 나포하거나 남부 증기선 케이트를 나포하는 등의 활약을 세웠다. 1866년 전역해 1903년 사망. [53] 미국 독립 전쟁 당시 대륙군 해군 장교. [54] 1차 바르바리 전쟁에 참전한 미 해군 군의관. 탑승하고 있던 케치 인트레피드의 승무원들이 바르바리 해적들에게 나포된 프리깃 필라델피아에 잠입할 때 잠입조에 참가한 함장을 대신해 인트레피드의 임시 지휘관을 맡았다. [55] 아르헨티나 배 치고는 이상한 이름인데 아일랜드계 제독의 이름을 따서 그렇다. [56] 치쿠마, 초카이 [57] 남북 전쟁에 참전한 미 해군 장교. 건보트에서 복무하며 연합군의 포화를 무릅쓰고 지상군에게 포격지원을 해주거나 지휘하던 건보트가 전복되어 완전히 침몰하는 일을 막기 위해 고의적으로 좌초시키는 등의 공을 세웠다. [58] 전간기 공중항모 USS 아크론의 마지막 함장. 1933년 함장으로 부임한지 3개월 후 아크론이 뉴저지 해안에 추락하며 순직했다. [59] 남북 전쟁 당시 건보트 마블헤드의 부사관. 1863년 손토강의 연맹군 포대를 상대로 교전할 때 남부군의 포화에도 불구하고 계속 수심을 쟀다. 이 공로로 명예 훈장을 받았으며 승진도 했다. [60] 남북 전쟁 당시 철갑함 루이빌의 함장. [61]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해군 조종사. 영국 해군 항공대에 자원해 복무하며 최초로 독일 수상기를 격추한 미국 해군 조종사가 되었다. 1918년 4월 25일 북해에서 8대의 독일기를 만나 전투를 벌이던 중 격추 및 실종. [62] 미국 초창기의 해군 장교. 미국 독립 전쟁에 참전했으며, 유사전쟁 당시에는 맨오워 갠지스의 함장으로 복무했다. 1800년 워싱턴 해군공창의 건설을 감독했으며, 공창이 완공되자 1829년 죽을 때까지 공창의 총책임자로 있었다. [63] 19세기~제1차 세계 대전 시기의 미 해군 인사. 대백색함대가 세계 일주를 할 때 키어사지의 함장이었으며 1914년 미국이 베라크루스에 상륙할 때는 타코마 (C-18)의 함장이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에는 윌리엄 심즈 제독의 참모장으로 있었다. 1924년 사망. [64] 영미전쟁과 제2차 바르바리 전쟁에 참전한 미 해군 장교. 제2차 바르바리 전쟁에서 본국으로 귀환 중 타고있던 배와 함께 실종됨. [65] 1차 바르바리 전쟁 참전자. 바르바리 해적들에게 나포된 프리깃 필라델피아를 불태우는데 참가했다. [66] 유사전쟁 당시 활동한 사략선 선장. [67] 1차 바르바리 전쟁에 참전한 수병. 바르바리 해적들에게 나포된 프리깃 필라델피아를 불태우는데 참가했다. [68] 영미전쟁 당시 프리깃 에식스에서 복무하던 장교. 1914년 3월 28일 영국군 함선 두 척과의 전투에서 다리 하나를 잃었으나 함내로 이송되기를 거부하고 계속 전투를 수행했다. 한 달 후 사망. [69] 남북 전쟁에 참전한 미 해군 장교. 건보트 세인트루이스의 중위로 헨리 요새 전투에서 세인트루이스호 상륙 부대를 지휘해 거점 하나를 무력화시키는 공을 세웠다. 이 공으로 전시 한정 대위로 승진. [70] 남북 전쟁에 참전한 미 해군 의무 장교. 1865년 피셔 요새 전투에서 죽어가는 해병대원을 돕다가 전사. [71] 남북 전쟁에 참전한 미 해군 수병. 철갑함 카론들레에서 복무하던 중 연합군 철갑함 아칸소를 상대로 벌인 전투에서 용맹하게 싸워 명예 훈장을 받았다. [72] 신미양요에서 전사한 미 해병대 장교. [73] 남북 전쟁에 참전한 미 해군 장교. 전쟁 전부터 해전용 폭발탄을 연구하는 등 공학자 기질이 강했던 인물이었다. 남북전쟁 당시에는 건보트 뉴 에라의 함장을 맡았는데 이 배를 철갑함으로 개조한 다음 미영전쟁 당시 해군 장교였던 아버지의 배 이름을 따 에식스라고 개명까지 해버렸다. 이렇게 만든 철갑선을 가지고 연합군의 철갑선 아칸소를 자침시키는 공을 세우기도 하고 준장 계급까지 올라갔지만 남북전쟁이 끝나는 것을 보지도 못하고 심장병으로 사망하였다. [74] 어뢰 1발로도 항해불능 상태는 충분히 유발할 수 있는 데다, 용골에라도 맞았다간 폐함처리가 고려될 만큼 어마어마한 인명과 물자의 피해가 발생한다. 그리고 어뢰란 게 회피 기동중이면 빗겨맞을 수도 있지만 당시 USS 아이오와는 정선 중이었고, 무사시가 맞은 건 항공용 경어뢰였고 아이오와에 날아간 건 잠수함용 중어뢰, 그것도 거대한 전함에 정조준으로 명중한 어뢰라면 대파를 면하기 어렵다. 더구나 대통령이 피탄충격으로 쓰러져 머리라도 다치면 즉시 유고상황이다. 그리고 인명피해가 없더라도 사고 수습과 전함의 손상으로 인한 함대의 속력 저하 때문에 루스벨트 대통령이 테헤란 회담에 제 시간에 참석하지 못해 외교적인 차질이 생겼을 것은 분명했다. [75] 물론 경호처에선 뜬금없이 전시에 대통령과 해군참모총장이 탄 군함에 실탄 어뢰가 달려오는 상황이었으니만큼 함내에 불순분자가 있을 수 있다는 생각을 할 수 있으니... [76] 월터 소령이 받은 문책은 '유리한 상황에서 목표 군함을 격침시키지 못했다'였으니, 귀항하기도 전에 이미 루스벨트가 적당히 넘어갈 생각이었음을 알 수 있다. [77] 진주만 공습 당시 제1전함부대 사령관. 공습이 벌어지자 기함인 전함 애리조나 (BB-39) 함교로 달려가 지휘를 하던 중 애리조나가 유폭되며 전사했다. 명예 훈장 추서됨. [78]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미 해군 장교. 초계정 알세도(Alcedo)에서 소위로 복무하다 배가 독일군 잠수함에게 격침되며 전사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최초로 격침된 미군 전투함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