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6 09:13:09

페스트(소설)

파일:틀_죽기 전에 읽어야 할 책.png
[[죽기 전에 꼭 읽어야 할 책 1001|'''죽기 전에 꼭 읽어야 할 책''']]

파일:external/libertasoccidentalis09.files.wordpress.com/la-peste-albert-camus.jpg

La Peste[1]

1. 개요2. 줄거리3. 등장인물4. 기타5. 미디어 믹스

1. 개요

프랑스 작가 알베르 카뮈의 걸작 장편 소설. 1947년 갈리마르(Galimard) 출판사를 통해 발표되었다.

2. 줄거리

제2차 세계 대전의 전운이 감돌던 1940년대 프랑스령 알제리 북부 해안의 작은 도시 오랑(Oran)에서 갑작스럽게 페스트가 발생하고 그에 따라 외부와 격리 조치가 취해지면서 오랑 시는 외부와 단절되었으며 시민들은 고립되었다. 그렇게 외부로부터 고립된 채 하루에도 수십, 수백 명씩 사람들이 죽어 나가는 막장 상황이 1년 동안 지속되면서 드러나게 되는 인간 존재의 실존을 철학적으로 다뤘다.

주인공인 의사 리외와 보건대를 중심으로 모두에게 닥친 결코 피할 수 없는 재난적 운명 앞에서 인간은 어떤 선택을 하는가를 보여주고 있다. 실존주의 문학의 대표작일 뿐만 아니라 대중적으로도 재난소설 장르의 효시이다.

3. 등장인물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4. 기타

배경은 알제리의 도시인데 등장 인물들은 모두 프랑스 출신이고 아랍인, 베르베르인 등 해당 지역의 선주민들은 등장은커녕 언급되는 부분도 없다. 카뮈 연구가로 프랑스에서도 알려진 김화영 고려대학교 교수도 이 점을 언급했다. 이는 프랑스가 알제리를 단순히 식민지가 아니라 프랑스 본국의 연장선으로 취급했기 때문이다. 카뮈가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알제리는 프랑스의 한 지역이었고, 카뮈는 그 프랑스의 일개 지역에서 태어난 프랑스 혈통의 프랑스 소설가였다.[4] 특히 작품의 배경인 오랑은 독립 전에는 유럽인 주민이 알제리에서 가장 비중이 높은 도시로 인구의 과반을 차지했으며[5] 반독립 세력의 아성이기도 했다 #. 그러니 카뮈 입장에선 당연히, 배경이 프랑스이니 등장 인물도 프랑스인만 등장시킨 것이다. 첫 장부터 오랑 시는 프랑스의 한 도청 소재지에 불과하다는 문장이 나올 정도니 말 다 했다. 그러나 페스트 집필 이후 일간지에 기고한 칼럼 등에서는 알제리는 프랑스가 아니라고 언급한 바, 소설 집필 이후 생각에 변화가 없었다고는 할 수 없다.[6]

카뮈의 다른 작품 《이방인》의 주인공의 재판 사건이 등장인물 간의 대화에서 언급된다.[7] 또한 카프카의 소설 《소송》으로 추정되는 책에 대해 이야기하는 장면이 나온다.[8]

2020년 전 세계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가 강타함에 따라 다시금 입소문을 타고 판매량이 늘어났다. <페스트>에서 페스트 발병 이후 사람들이 취한 행동이 놀라울 정도로 2020년대 들어 코로나 발병 이후 사람들이 취한 행동과 유사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자면 사람들이 가짜 소문(미신) 같은 것에 속는다거나,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려 한다거나 등. 기사

5. 미디어 믹스

5.1. 뮤지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페스트(뮤지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2. 영화

1992년에 프랑스와 아르헨티나, 영국 합작으로 영화로도 나왔으나 묻혔다. 불의 전차, 미드나잇 익스프레스 제작자로 유명한 영국인 데이빗 푸트남이 제작했는데 카뮈의 후손들은 영화화를 반대하여 엄청 오랫동안 설득해야 했다고. 음악은 반젤리스가 맡았다. 그냥 평작보단 조금 낫다 수준이지만 묻힌 셈. 그래도, 나름 배우진은 화려하여 윌리엄 허트, 로버트 듀발, 라울 훌리아 같은 배우들이 맡았다. 감독은 오피셜 스토리로 1986년 아카데미 외국어영화상을 받았던 아르헨티나 감독인 루이스 푸엔조. 1989년에 그레고리 펙, 제인 폰다 주연인 미국영화 <올드 그링고>를 감독한 바 있었다. 하지만, 올드 그링고는 흥행과 평에서 쫄딱 망하고 이 영화도 흥행이나 비평은 그다지 거두지 못했고 페스트 이후로 2002년에 드라마 연출을 했을 뿐이고 2004년에 고래와 창녀라는 영화를 감독하고 20년 가까이 영화감독을 하고 있지 않고 있다.

영화는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촬영되었으며, 어느 나라라는 언급은 없고 그냥 '오랑' 이라는 도시에서 일어난 일이라 하였다. 오랑은 비교적 인지도가 떨어지므로 잘 모르는 사람들은 유럽 어느 도시 정도로 인식되었을 것이며 당연히 아랍인은 한 명도 등장하지 않았다. 현대에 제작하려면 원작에는 등장하지 않는 알제리의 아랍인, 베르베르인 등을 등장시켜야 하므로, 그 가능성은 매우 낮다.


[1] 참고로 밑에 쥐와 모자는 1992년 영화 포스터다 #. [2] 2020년에 나온 민음사 버전에서는 리유라고 발음한다. 발음상 리외가 정확하지만 어색함을 피하기 위해서라고. [3] '파늘루' 라고 번역하기도 한다. [4] 카뮈가 알제리 태생으로 수정되어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알제리가 독립한 1962년 이후의 일이다. 카뮈는 1960년에 사망했으니 그는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자신이 태어난 곳이 프랑스고, 자신의 소설 <페스트>의 무대로 설정한 알제리의 오랑 시가 프랑스라고 생각했다. [5] 1954년 기준 64.5% : 프랑스어 위키백과 [6] 카뮈는 알제리 독립에는 반대했으나 알제리 자치권 확대와 알제리 토착민 차별 시정을 주장한 바 있다. [7] 민음사 기준 79페이지 [8] 민음사 기준 82페이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