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0f002a><colcolor=#ffffff>
소니 스파이더맨 유니버스의 등장인물 패트릭 멀리건 Patrick Mulligan |
|
|
|
|
|
본명 |
패트릭 멀리건 Patrick Mulligan |
이명 |
톡신 Toxin |
종족 | 인간 / 심비오트 |
국적 | 미국 |
나이 | 불명 |
직업 |
특수 감옥 교도관 (이전) 경찰 (형사) |
계급 | 불명 |
등장 영화 |
《
베놈 2: 렛 데어 비 카니지》 《 베놈: 라스트 댄스》 |
담당 배우 | 스티븐 그레이엄[1] |
해외판 성우 | 모리카와 토시유키 |
[clearfix]
1. 개요
소니 스파이더맨 유니버스의 패트릭 멀리건/ 톡신.2. 작중 행적
2.1. 베놈 2: 렛 데어 비 카니지
과거에 슈리크를 특수 감옥에 데려가는 것으로 첫 등장. 하지만 슈리크가 차 안에서 음파 능력을 사용하며 난동을 부리자 그녀를 총으로 쏴 사살한다.이때의 음파 공격으로 패트릭은 청각에 손상을 입고 보청기를 사용하게 되었으며, 자신이 쏜 총격으로 인해 슈리크가 죽은 줄 알고 있었다. 하지만 슈리크는 죽지 않았고, 비밀리에 레이븐크로프트 정신병원으로 끌려가 치료 후 수감되어 있었다.
현재는 에디 브록을 주시하고 있으며, 캐서디를 만난 에디에게 정보를 얻으려고 기회를 노리고 있었으나 에디가 먼저 선수치는 바람에 분노한다. 이후 캐서디가 탈옥했다는 소식을 듣고는 에디를 찾아가 몸조심하라고 경고한다.
에디는 캐서디가 어릴 적 머물렀던 고아원에 있는 나무에 CK와 FB의 사랑이 새겨진 것을 보고 패트릭에게 통화해 FB가 캐서디가 현재 있는 곳의 단서가 될지 모른다며 고아원에 있던 아이들의 명단 등을 찾아보라고 말한다. 패트릭은 FB가 프랜시스 배리슨이라고 알려주고는 그녀가 이미 죽었다고 말하며 동요한다.
2.1.1. 파란색 심비오트?
후반부에는 캐서디에게 납치당해 그와 슈리크의 결혼식에 강제 초대되고, 베놈이 나타나 카니지와 혼전을 벌이던 틈을 타 도망치려했으나 과거에 자신을 쏴 한쪽 눈을 멀게 한 것에 원한을 품고 있던 슈리크에게 등이 찔리고 쇠사슬에 목이 감겨 내던져지게되어 그대로 죽음을 암시하게 된다. 그러나 베놈과 카니지의 최후의 대결이 끝난 이후에 "괴물 녀석들..(Monsters..)"이라 말하며슈리크에게 공격받은 눈이 파란색으로 빛나는 모습을 보여주는데 이는 후속작에서 톡신이 될 수 있음을 암시한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카니지의 자식인 파란색 섞인 심비오트라는 특징만 가져왔을 뿐, 톡신이라는 이름의 개체는 완전히 다른 디자인으로 따로 등장하게 됐고 이 심비오트의 행방은 현재 불명이다.
이 파란 심비오트에 대해 확실하게 알 수 있는 점은 패트릭 멀리건과의 궁합이 잘 맞지 않아 숙주를 갉아먹다가 어느 시점에 숙주와 분리되었다는 것 뿐이다. 그 이후에 연구소에 포획되었는지, 아니면 다른 숙주를 찾아다니며 여전히 지구 어딘가에 존재하는지는 알 방도가 없다.
이러나저러나 크레이븐 더 헌터마저 완전히 망해버리면서 소니 스파이더맨 유니버스는 그대로 완결되었기에 이제와서 이 심비오트에 대해 따져봤자 별 의미는 없게됐지만.
2.2. 베놈: 라스트 댄스
2.2.1. 불명의 심비오트
문서가 존재하는 미디어믹스 심비오트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소니 픽처스 | <colcolor=#ffffff> | 베놈(스파이더맨 트릴로지) | ||
소니 스파이더맨 유니버스 | 베놈 · 라이엇 · 카니지 · 널 · 톡신 · 래셔 · 애고니 · 페이지 · 텐드릴 · 애니멀 | ||||
게임 | <colbgcolor=#e0120f> Marvel's Spider-Man | 베놈(Marvel's Spider-Man 시리즈) | |||
퓨처파이트 | 베놈 · 카니지 · 에이전트 베놈 · 스크림 · 널 · 톡신 · 슬리퍼 | ||||
원작 등장 심비오트 |
소니 스파이더맨 유니버스의 등장인물 ??? ??? |
|
|
|
<colcolor=#fff><colbgcolor=#0F002A> 본명 |
불명 ? |
종족 | 심비오트 |
나이 | 불명 |
가족 | 불명[2] |
소속 | 51구역 |
등장 영화 | 《 베놈: 라스트 댄스》 |
담당 배우 | 스티븐 그레이엄 |
담당 성우 |
|
원작과는 다르게 청록색으로 등장하며 특이하게 다리가 없어서 뱀 혹은 해파리를 연상케하는 하반신을 지니고 있다.[3] 이 때문에 한때 나무위키에서는 톡신과는 별개의 심비오트일 것이라는 추측이 있었으나, 마블 엔터테인먼트 공식 유튜브 채널에 올라온 베놈 3 예고편 유튜브 자막에 Toxin이라고 명시되어 있어 해당 심비오트가 톡신임을 확인할 수 있다. #
그 밖에도 아마존 프라임에서 스트리밍 중인 베놈 3의 자막에 ' 톡신이 으르렁 거림 (TOXIN GRUNTING)'이라고 표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영화 개봉후에 DVD에 수록되어 있는 해당 심비오트의 삭제 장면의 제목은 '톡신의 경고 (Toxin's Warning)'이다.
심비오트를 연구하는 51구역 내 연구소에 갇힌 상태로 첫 모습을 보인다. 위독해진 패트릭에게 연구소에서 심비오트를 새로 주입해 탄생하였다고 하며, 이후 연구원들이 톡신에게 지구를 침공한 제노페이지의 정체에 대해 물어보자 제노페이지는 베놈에 존재하는 코덱스를 사냥하러 온 널의 창조물이라고 답한다.
As long as Venom lives, everyone, everything... will end.
베놈이 살아있는 한, 마지막 한 사람까지... 전부 죽일 것이다.[4]
클린타르[5]에서 풀려나 지구를 침략하면 모든 생명체가 죽을 것이라고 경고하였다. 베놈이 살아있는 한, 마지막 한 사람까지... 전부 죽일 것이다.[4]
이후 코덱스의 행방을 파악한 제노페이지가 연구소를 급습하자 갇혀 있던 방의 유리창을 깨부숴 탈출 후 베놈에게 달려드는 제노페이지를 막고 베놈한테 도망치라고 말하지만 제대로 된 저항조차 하지 못한채 그대로 톱니와도 같은 제노페이지의 이빨에 숙주인 멀리건과 갈려 10초만에 사망한다.
Venom, run! go!!
베놈, 도망쳐! 어서!
베놈, 도망쳐! 어서!
3. 평가
심비오트의 디자인과 작중 행적, 능력 각성의 시초까지 전부 평가가 최악이다. 능력 각성의 경우는 베놈 2: 렛 데어 비 카니지 후반부에 매우 뜬금없이 심비오트의 능력을 얻게 되었다는 떡밥이 생기는데, 원작을 아는 관객들에겐 캐릭터 자체가 복선이지만, 원작을 모르는 관객에겐 이해할 수 있는 여지조차 없어서 비판을 받았다.이후 베놈: 라스트 댄스에서 모습을 드러내며 본격적으로 등장을 하며 나름의 기대를 불러일으켰다.
하지만 상체는 붉은색, 하체는 짙은 파란색을 띄고 있었던[6] 원작과 달리 청록색으로 통일된 피부색과 별다른 설명도 없이 해파리를 연상시키는 하체 등 원작에서의 모습은 전혀 찾아볼 수 없는 이질적인 디자인으로 등장했으며[7] 독자적인 캐릭터성을 가져 본연의 서사를 가지고 있었던 원작과 달리 작중행적이라곤 정부의 실험체로서 갇혀 널과 심비오트에 대한 설명만 하고 임팩트 있는 장면 하나없이 바로 제노페이지 믹서기의 첫 희생양으로 만들어버리는 허무맹랑한 퇴장을 보이며 큰 비판을 받고 있다.
게다가 숙주인 패트릭 멀리건은 이름 모를 단역도 아니며 베놈 2: 렛 데어 비 카니지에선 준 조연급의 비중을 가진 캐릭터였고 톡신 또한 상술되었듯 원작에선 독자적인 캐릭터성으로 나름의 많은 인기과 큰 잠재력을 지니고 있었는데[8] 막상 전개를 위해 일회성으로 소모되고 말아버린 것. 이럴거면 실험체로 잡혀있던 심비오트 아무나 골라다가 썼으면 됐지 왜 굳이 2편에서 억지로 떡밥까지 뿌려 톡신을 썼냐는 반발도 많으며 톡신은 이런식으로 소모해놓고 정작 애고니는 왜 살려둔거냐며 카니지를 잇는
4. 기타
- 베놈 2가 개봉하기 이전에 베놈 역의 배우 톰 하디가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패트릭 멀리건의 명판 사진을 올렸다가 곧바로 삭제하였는데, 팬들은 이를 보고 본작에서 톡신의 1대 숙주인 패트릭 멀리건이 나올 것이라 추측하였다. 실제로 1차 예고편에서 형사 역할의 인물이 포착되었고 여러 클립 영상에서도 패트릭 멀리건 본인임이 확인되었다.
-
마블 코믹스 원작에서는 슈리크와 딱히 접점이 없는 인물로, 영화 오리지널 설정을 추가한 것으로 보인다.
- 원작에선 가끔가다 극화체로 묘사되기도 하는데, 깡마르고 유약해보이며 날카로운 인상의 젊은 경관이었던 원작과는 달리 영화에선 후덕하고 연륜 있는 경관으로 등장한다. 다만 초반부에 나왔던 젊은 모습은 원작과 나름 꽤 유사하게 나왔다.
- 클리터스 캐서디가 카니지로 각성한 것처럼 베놈 2에서 카니지나 베놈의 심비오트 조각이 멀리건의 몸에 들어간다는 연출은 나오지 않았으나 슈리크에게 칼빵을 맞은 눈이 파란색으로 빛나며 재생된 것은 심비오트 특유의 치유 능력을 생각해보면 확실히 톡신 관련 떡밥일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다만 마땅한 복선이나 설명이 없어 일반 관객은 물론이고 원작을 아는 팬들마저 모르고 지나간 경우가 많아 너무 억지스럽다는 비판이 많다.
- 베놈 3가 개봉되기 전날 심비오트의 모습이 여러 유출샷으로 공개되었을때 일부 관계자와 사람들은 이 모습이 래셔일 것이라는 추측이 지배적이였을 정도로 톡신이 이 외형으로 영화를 데뷔할 것이라고는 전혀 예상치 못한 부분이였다.
- 공식적인 표기에도 불구하고 팬들사이에선 계속해서 청록색 심비오트가 톡신이 맞는지 아닌지에 대한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이는 사실 논쟁이 일궈질 이유도 없는게 공식 측의 실수든 아니든 공식적으로 톡신이라고 표기했다. 이 외에도 굳이 톡신에 대한 떡밥을 뿌린 패트릭 멀리건을 사용했다는 점, 본작의 작중상 베놈 외 심비오트들은 단 한 개체도 명칭이 언급되지 않았다는 점, 여태까지의 소니 스파이더맨 유니버스가 보여준 작품들의 질낮은 완성도와 캐릭터낭비를 보았을 때 관객 측에선 오해할 수 밖에 없는 부분이다. 애당초 성립자체가 안되는 논쟁인 것.[9] 결론적으로 해당 심비오트는 톡신이 맞다. 다만 이런 부분을 관객들의 니즈를 파악하고 작중에 확실한 묘사를 보여주었어야하는 것인데 그러지 못한 것은 엄연히 제작진 측의 역량이다.
[1]
캐리비안의 해적 시리즈에서 스크럼을,
아이리시맨에서 토니 프로벤자노 역을 맡았다.
[2]
원작에선
카니지의 자식이자
베놈의 손주.
[3]
원작에서는 톡신의 혀 색깔이 초록색인데, 이를 전신이 청록색인 설정으로 재해석한 것 같다.
[4]
이는 본인이 직접 죽일거라는 뜻이 아닌 아래 설명과 같이 널이 지구에 침략할 시 모두를 죽인다는 의미.
[5]
심비오트들은 본래 널에 의해 창조되어 악한 성질을 띄도록 강제되었으나 빛에 의해 정화되고 나서는 심비오트끼리 뭉쳐 안드로메다에 행성의 형태로 널을 가두었는데,이 인공 행성과 같은 감옥을 클린타르라고 한다.
[6]
이는 베놈과 카니지의 특성을 모두 가진 캐릭터의 성격을 그대로 드러내는 아이덴티티이기도 하며, 그러한 관계성이 톡신이라는 캐릭터의 가장 중요하고 또 흥미로운 부분이다. 그러나 영화에서는 이를 아예 무시한 각색을 보여주었다.
[7]
이 때문에 예고편에서 첫 모습을 보이고 대부분
래셔일 것이라고 추측했었다. 하지만 정작
래셔는 따로 존재했다.
[8]
그렇기 때문에 모두가 본작의 메인빌런 혹은
반동인물이 톡신이 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었다.
[9]
가장 신빙성이 있는 가설이라면 2편에서 등장한 파란색 심비오트가 진짜 톡신의 포지션이며 해당 심비오트와 청록색의 톡신은 별개의 개체라는 가설인데, 이 가설또한 신빙성이 그리 높진 못한게 청록색과 파란색은 유사색이기에 제작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변할 수 있는 부분이며, 파란 심비오트는 누구이고, 왜 굳이 패트릭 멀리건을 소비한 것이고, 왜 청록색 심비오트를 톡신으로 선정한 것이고, 사용할 수 있는 심비오트는 수 없이 많은데 왜 굳이 그런 난해한 구도를 만들었냐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