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1 23:41:54

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FIFA 월드컵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

1. 역대 기록2. 1954 스위스 월드컵
2.1. 16강 조별리그 서독전 - 1 : 4 패2.2. 16강 조별리그 대한민국전 - 7 : 0 승2.3. 16강 조별리그 재경기 서독전 - 2 : 7 패
3. 1958 스웨덴 월드컵 ~ 1998 프랑스 월드컵4.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4.1. 32강 조별리그 브라질전 - 1 : 2 패4.2. 32강 조별리그 코스타리카전 - 1 : 1 무4.3. 32강 조별리그 중국전 - 3 : 0 승4.4. 16강전 일본전 - 1 : 0 승4.5. 8강전 세네갈전 - 1 : 0 승4.6. 4강전 브라질전 - 0 : 1 패4.7. 3위 결정전 대한민국전 - 3 : 2 승
5. 2006 독일 월드컵 ~ 2022 카타르 월드컵6. 2026 북중미 월드컵

1. 역대 기록

역대 월드컵 전적 순위: 40위

연도 결과 순위 경기 승점 득점 실점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1930 우루과이
불참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1934 이탈리아
기권
파일:프랑스 국기.svg
1938 프랑스
불참
파일:브라질 국기(1889-1960).svg
1950 브라질
본선 진출 확정 후 기권[1]
파일:스위스 국기.svg
1954 스위스
조별리그[2] 9위 3 3 1 0 2 10 11
파일:스웨덴 국기.svg
1958 스웨덴
기권
파일:칠레 국기.svg
1962 칠레
본선 진출 실패[16개국]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966 잉글랜드
파일:멕시코 국기.svg
1970 멕시코
파일:독일 국기.svg
1974 서독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1978 아르헨티나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2 스페인
본선 진출 실패[24개국]
파일:멕시코 국기.svg
1986 멕시코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90 이탈리아
파일:미국 국기.svg
1994 미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1998 프랑스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2002 한일
3위[6] 13 7 4 1 2 10 6
파일:독일 국기.svg
2006 독일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0 남아공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4 브라질
파일:러시아 국기.svg
2018 러시아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2 카타르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2026 북미
? ? ? ? ? ? ? ? ?
합계 3위 1회 2/21[8] 16 10 5 1 4 20 17

2. 1954 스위스 월드컵

2.1. 16강 조별리그 서독전 - 1 : 4 패

파일:1954 FIFA 월드컵 스위스 로고.svg
1954 FIFA 월드컵 스위스 2조 제1경기
1954년 6월 17일 17:30(UTC+1)
방크도르프 슈타디온 ( 스위스, 베른)
주심: 조제 다 코스타 비에이라 (포르투갈)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1 : 4
파일:독일 국기.svg
튀르키예 서독
2' 수앗 마마트 득점자 14' 한스 셰퍼
52' 베른하르트 클로트
60' 오트마르 발터
84' 막스 모를로크
관중: 28,000명

2.2. 16강 조별리그 대한민국전 - 7 : 0 승

파일:1954 FIFA 월드컵 스위스 로고.svg
1954 FIFA 월드컵 스위스
2조 2차전
1954년 6월 20일 일요일 15:30 (UTC+1)
스타드 드 샤르밀 ( 스위스, 제네바)
주심: 파일:UEFA URU.png 에스테반 마리노
관중: 17,150명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7 : 0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파일:UEFA TUR.png 터키 파일:UEFA KOR.png 대한민국
10', 30' 수아트 마마트
18' 레프테르 퀴취칸도냐디스
37', 64', 70' 부르한 사르군
76' 에롤 케스킨
파일:득점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1954 FIFA 월드컵 스위스/2조 문서
5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 16강 조별리그 재경기 서독전 - 2 : 7 패

파일:1954 FIFA 월드컵 스위스 로고.svg
1954 FIFA 월드컵 스위스 2조 플레이오프
1954년 6월 23일 18:00(UTC+1)
하르드투름 슈타디온 ( 스위스, 취리히)
주심: 레이몬드 빈센티 (프랑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2 : 7
파일:독일 국기.svg
튀르키예 서독
21' 무스타파 에르탄
82' 레프테르 퀴취칸도니아디스
득점자 7' 오트마르 발터
12', 79' 한스 셰퍼
30', 60', 77' 막스 모를로크
62' 프리츠 발터
관중: 17,000명

3. 1958 스웨덴 월드컵 ~ 1998 프랑스 월드컵

4.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4.1. 32강 조별리그 브라질전 - 1 : 2 패

파일: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로고_좌우.svg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C조 1경기
2002.06.03.(월) 18:00 (UTC+9)
울산문수축구경기장 ( 대한민국, 울산광역시 남구)
주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영주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1 : 2 파일:브라질 국기.svg
튀르키예 브라질
45+2′ 하산 사슈 득점 50′ 호나우두
87′ 히바우두 (PK)
86′ 알파이 외잘란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90+4′ 하칸 운살 파일:경고 퇴장 아이콘.svg
퇴장자 -
관중: 33,842명
경기 최우수 선수: 파일:브라질 국기.svg [[히바우두|{{{#ffffff 히바우두}}}]]

4.2. 32강 조별리그 코스타리카전 - 1 : 1 무

파일: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로고_좌우.svg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C조 4경기
2002.06.09.(일) 18:00 (UTC+9)
인천문학경기장 (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남구)
주심: 파일:베냉 국기.svg 코피 코지아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1 : 1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튀르키예 코스타리카
56′ 엠레 벨로조글루 득점 86′ 윈스톤 파르크스
관중: 42,300명
경기 최우수 선수: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파울로 완초페|{{{#ffffff 파울로 완초페}}}]]

4.3. 32강 조별리그 중국전 - 3 : 0 승

파일: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로고_좌우.svg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C조 5-2경기
2002.06.13.(목) 15:30 (UTC+9)
서울월드컵경기장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마포구)
주심: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오스카르 루이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3 : 0 파일:중국 국기.svg
튀르키예 중국
6′ 하산 사슈
9′ 뷜렌트 코르크마즈
85′ 위미트 다발라
득점 -
- 퇴장자 58′ 사오자이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관중: 43,605명
경기 최우수 선수: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하산 사슈|{{{#ffffff 하산 사슈}}}]]

튀르키예의 조별리그 마지막 경기는 서울특별시 마포구 성산동에 위치한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렸다. 상대는 이번에 처음 올라온 중국이었다. 중국은 이미 2패로 탈락이 확정되었고, 2차전까지 1무 1패를 기록한 튀르키예는 3차전에서 반드시 중국을 3골 차 이상으로 이기고 브라질 vs 코스타리카의 경기를 지켜봐야 한다. 만에 하나 브라질과 코스타리카가 서로 비겼을 경우에는 튀르키예가 중국을 아무리 큰 점수 차[9]로 꺾어도 코스타리카에 승점 1점이 뒤져서 조별리그에서 탈락하게 된다. 마침 이 날 홈 관중인 한국 축구팬들은 모두 이웃나라인 중국이 아니라 형제의 나라 튀르키예를 열렬히 응원했다.

멀리서 원정 응원을 온 자국 축구팬들과 아울러 형제의 나라 한국 축구팬들의 응원을 등에 업은 튀르키예는 초반부터 중국을 사정없이 몰아붙였다. 마침내 전반 6분, 공격형 미드필더 하산 사슈가 중국 수비수들의 마크를 따돌리고 자신의 개인기로 페널티 박스로 진입해 오른발 강슛을 날려 선제골을 뽑아냈다. 그렇게 1 : 0으로 앞서갔다. 아직 튀르키예엔 2골이 더 필요했기에 하산 사슈는 골 셀레브레이션도 마다하고 볼을 집어 센터 서클로 운반해 조금이라도 빨리 경기를 속개하려고 했다. 그리고 불과 3분 후, 전반 9분에 튀르키예의 프리킥 찬스에서 공격에 가담한 센터백 뷜렌트 코르크마즈가 헤더 골을 터뜨리며 순식간에 스코어는 2 : 0으로 벌어졌다.

같은 시각에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브라질과 코스타리카의 경기에선 전반 10분과 13분에 스트라이커 호나우두가 연속으로 골을 터뜨려 2 : 0으로 앞서갔다. 이제 실시간 순위에서 브라질이 3전 전승(승점 9점)으로 1위를 굳혔고 튀르키예와 코스타리카는 1승 1무 1패(승점 4점)로 동률을 이루었으나 골 득실에서 튀르키예가 +1, 코스타리카가 0이 되어 드디어 순위 역전에 성공했다. 하지만 전반 35분에 수문장 뤼쉬튀 레츠베르 골키퍼가 공중볼 선방 도중 착지 미스로 햄스트링 부상을 당해 후보 골키퍼 외메르 차트크츠로 교체하는 불운을 겪었다. 결국 전반전은 튀르키예가 2 : 0으로 앞선 채 끝이 났다. 같은 시각 수원에서는 전반 38분에 브라질의 에드미우손이 1골을 더 넣었으나 불과 1분 후에 코스타리카의 공격수 파울로 완초페가 만회골을 터뜨려 브라질이 3 : 1로 앞선 채로 끝이 났다.

후반전이 되자 튀르키예는 서서히 페이스를 조절하며 토너먼트를 위한 체력 안배를 하며 여유를 부렸다. 한편, 중국은 어떻게든 1골이라도 넣어서 체면이라도 살리겠다고 발악을 했다. 그러나 중국의 축구 실력이 워낙 형편없었기에 아무런 위협도 가하지 못했다. 오히려 후반 13분, 하프 타임 때 교체 투입된 중국 미드필더 사오자이가 엠레 벨뢰졸루에게 백태클을 하다가 주심에게 적발되어 곧바로 퇴장당하며 수적 열세에 빠뜨리며 스스로 팀을 위기에 몰아넣었다. 당시 대회를 앞두고 FIFA에서 백태클을 강력하게 제재하라는 지침을 내렸기에 사오자이는 그렇게 다이렉트 퇴장을 당한 것이다. 그런데 같은 시각에 수원에서 코스타리카의 공격수 로날드 고메스가 또 만회골을 터뜨려 스코어를 3 : 2로 좁혔다는 비보가 접해졌다. 이제 튀르키예와 코스타리카는 승점과 득실 차까지 동률이 되었는데 다득점에서 코스타리카가 5득점 4실점, 튀르키예가 4득점 3실점이 되어 다시 코스타리카가 조 2위로 올라가게 되었고 튀르키예는 3위로 떨어졌다. 이제 튀르키예는 1골이 더 필요해졌다. 만약 코스타리카가 동점골을 넣어버리면 아무리 중국을 큰 점수 차로 털어버려도 튀르키예는 16강 진출이 좌절되고 만다. 다시 발등에 불이 떨어진 튀르키예는 중국을 향해 맹렬하게 공격을 퍼붓기 시작했다.

하지만 코스타리카가 스코어를 3 : 2로 좁히고 불과 6분 만에 히바우두가 다시 추가골을 넣었고 또 2분 후에 호나우두가 굿바이 골을 박아넣으며 스코어를 5 : 2로 벌렸다. 이로서 코스타리카의 골 득실은 -1로 떨어졌고 튀르키예는 다시 심적 여유를 찾게 되었다. 그리고 후반 40분에 선제골의 주인공 하산 사슈가 중국 진영 좌측을 쇄도하다가 우측의 위미트 다발라가 노마크 상태인 걸 확인하고 반대편으로 길게 크로스를 올렸고, 다발라는 노마크 상태에서 마치 슈팅 연습하듯 편안하게 오른발 땅볼 강슛을 날려 승부의 쐐기를 박았다. 그리하여 스코어는 3 : 0으로 벌어졌다. 3골 차로 벌어지자 중국 선수들은 전의를 상실한 듯 거의 경기를 포기하다시피 하며 제발 한 골만이라도 넣어 달라는 치우미들의 마지막 소망마저 외면하였고, 그렇게 경기는 튀르키예의 3 : 0 승리로 끝났다. 같은 시각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브라질이 코스타리카를 5 : 2로 대파하면서 브라질이 3전 전승(승점 9점)으로 조 1위를 굳혔고, 튀르키예와 코스타리카는 1승 1무 1패(승점 4점)로 동률을 이루었으나 골 득실에서 튀르키예가 +2, 코스타리카가 -1이어서 튀르키예가 조 2위로 16강 진출에 성공했다. 반면, 중국은 3전 전패(승점 0점), 무득점 9실점이란 참담한 기록만 남기고 첫 월드컵을 이렇게 망쳤다.

이 경기를 앞두고 튀르키예는 1차전에서 믿었던 한국인 주심 김영주가 치명적인 오심으로 미드필더 하칸 운살을 퇴장시킨 것 때문에 일시적으로 반한 감정을 품었지만, 이 경기에서 한국인들이 대형 튀르키예 국기까지 흔들어가며 열렬하게 자국을 응원하자 잠시 쌓였던 응어리를 풀고 다시 형제의 나라로서의 우정을 과시하며 "함께 결승전에서 만나자."는 덕담까지 주고 받았다. 반면 중국은 한국인들이 '이웃나라이자 형제의 나라(?)'인 자신들을 응원해주지 않고 멀리 떨어진 튀르키예를 응원한 것에 크게 분노했다. 고구려 돌궐 응원하지 당나라 응원하냐? 이후 자신들과 동급(?)이라고 여겼던 대한민국이 다음날 포르투갈을 1 : 0으로 꺾고 2승 1무의 성적으로 조 1위를 차지해 16강에 오른데다 16강에서 자국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대표팀 중 하나인 이탈리아를 2 : 1로 꺾고 8강에 올랐으며 또 8강에서 스페인을 승부차기 끝에 꺾고 4강까지 오르자 샘이 날대로 샘이 났다. 그 질투심과 열폭을 이기지 못한 중국인들은 '한국의 심판 매수설' 같은 시덥잖은 루머나 퍼뜨렸다.

4.4. 16강전 일본전 - 1 : 0 승

파일: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로고_좌우.svg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16강 7경기
2002.06.18.(화) 15:30 (UTC+9)
미야기 스타디움 ( 일본, 미야기현 미야기군)
주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피에를루이지 콜리나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1 : 0 파일:일본 국기.svg
튀르키예 일본
12′ 위미트 다발라 득점
관중: 45,666명
경기 최우수 선수: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알파이 외잘란|{{{#ffffff 알파이 외잘란}}}]]

4.5. 8강전 세네갈전 - 1 : 0 승

파일: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로고_좌우.svg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8강 4경기
2002.06.22.(토) 20:30 (UTC+9)
나가이 육상경기장 ( 일본, 오사카부 오사카시)
주심: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오스카르 루이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1 : 0
(서든데스 연장전)
파일:세네갈 국기.svg
튀르키예 세네갈
94′ 일한 만시즈 (골든골) 득점 -
관중: 44,233명
경기 최우수 선수: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하산 사슈|{{{#ffffff 하산 사슈}}}]]

4.6. 4강전 브라질전 - 0 : 1 패

파일: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로고_좌우.svg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4강 2경기
2002.06.26.(수) 20:30 (UTC+9)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 일본, 사이타마현 사이타마시)
주심: 파일:덴마크 국기.svg 킴 밀톤 닐센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0 : 1 파일:브라질 국기.svg
튀르키예 브라질
- 득점 49′ 호나우두
관중: 61,058명
경기 최우수 선수: 파일:브라질 국기.svg [[호나우두|{{{#ffffff 호나우두}}}]]

4.7. 3위 결정전 대한민국전 - 3 : 2 승

파일: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로고_좌우.svg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3위 결정전
2002년 6월 29일 토요일 20:30 (UTC+9)
대구월드컵경기장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수성구)
주심: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사드 마네
관중: 63,483명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2002~2019).svg
2 : 3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UEFA KOR.png 대한민국 파일:UEFA TUR.png 터키
9' (FK) 이을용
90+3' 송종국
파일:득점 아이콘.svg 1'[10]11초로 월드컵 역대 최단 시간 득점이다.] 하칸 쉬퀴르
13', 32' 일한 만시즈
경기 다시 보기(전반전) | 경기 다시 보기(후반전)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경기 최우수 선수: 파일:UEFA TUR.png 하칸 쉬퀴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히딩크호/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터키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2006 독일 월드컵 ~ 2022 카타르 월드컵

한일 월드컵 이후로는 유럽예선에서 번번히 물만 먹고 있는 중이다. 특히 월드컵 본선과 가장 근접했던 카타르 월드컵은 또다시 32강 본선 문턱에서 좌절하고 말았다.

6. 2026 북중미 월드컵

48강 본선으로 확대되는 월드컵이며, 만약 이때 48강 본선 진출에 성공하면 '튀르키예'라는 국명으로서 정식으로 진출하게 된다(1954년과 2002년 진출 당시 국명은 '터키'였다).


[1] 당시에는 전세계적으로 제2차 세계대전의 후유증과 동시에 한국전쟁까지 일어나서 튀르키예는 16개국 본선 1950월드컵에 진출을 확정지었으나, 결국 기권하였고, 튀르키예를 비롯하여 직전에 기권하는 팀들도 많아서 13개국이 본선에 진출하여 13강 조별리그와 조 1위 4강 풀리그(토너먼트가 없었다.) 진출 제도로 진행되었다. [2] 당시 유럽예선에서 스페인을 탈락시키고 1954월드컵 16개국 본선에 진출했으며, 16강 조별리그에서 한국과 같은 조에서 만나 7:0으로 이겼다. 서독과 1승 1패로 승점이 같아 재경기 끝에 대회 9위로 8강 실패했다. 재경기도 FIFA 공식기록에 포함. [16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 [24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 [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 [6] 48년만의 월드컵에서 4강 진출하였고 4강전 브라질에게 탈락하여 3, 4위전에서 48년만에 대한민국을 만나서 승리하여 3위를 달성 [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 [8] 월드컵 본선 진출 비율 [9] 예-튀르키예가 중국에 10:0으로 승리 [10] 정확하게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