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2-01 22:41:20

튀니지-몰타 관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 유럽 · 아프리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아메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다자관계
파일:모로코 국기.svg 파일:알제리 국기.svg 파일:튀니지 국기.svg
모로코·알제리·튀니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 아프리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유럽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 ||
파일:튀니지 국기.svg 파일:몰타 국기.svg
튀니지 몰타
1. 개요2. 역사적 관계
2.1. 고대2.2. 중세2.3. 21세기
2.3.1. 2000년대2.3.2. 2010년대2.3.3. 2020년대
3. 대사관4. 교통 교류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튀니지 몰타 사이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2. 역사적 관계

1967년부터 두 나라들 사이에 외교 관계가 수립되었다.

2.1. 고대

기원전 8세기 무렵 페니키아 티레의 식민지가 되었던 몰타 섬은 수백여 년 후인 기원전 6세기 무렵 고대 카르타고 식민지가 되었다.

2.2. 중세

튀니지 해안지대에 기반한 아글라브 왕조가 몰타를 침략하고, 주민들을 식민시켰다.

2.3. 21세기

2.3.1. 2000년대

팔레스타인인 기독교 신자였던 수하 아라파트는 남편이자 팔레스타인의 정치인, 독립운동가였던 야세르 아라파트 사망 후 2004년 후기부터 튀니지 국적을 얻고 튀니지에서 거주했으나 2007년 8월 14일, 벤 알리의 아내였던 레일라 트라벨시와 사이가 나빠져 해외로 추방되어 몰타로 이주했다. #

2.3.2. 2010년대

2011년 튀니지 혁명의 여파로 벤 알리 대통령이 해외로 망명했는데, 한 때 알 아라비야 방송에서는 몰타로 도망쳤다는 주장이 나오기도 했었고 모하메드 간누치 총리는 리비아의 보호 아래 몰타로 도망갔다고 해서 간누치 총리가 임시 대통령이 되었다.[1] #, #

2011년 11월 2일, 몰타에 거주중이었던 수하 아라파트에가 튀니지에서 부패 혐의로 지명 수배를 받았다. #, #

2019년 6월 기준으로 3천200여 명의 난민들이 북아프리카를 건너 몰타나 이탈리아로 피난간 것으로 알려졌다. #

2019년 9월 21일, 튀니지나 리비아 등을 지나서 유럽으로 오는 난민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이탈리아, 프랑스, 독일, 몰타, 핀란드의 정치인들이 몰타의 수도 발레타에서 모였다. #

2.3.3. 2020년대

2023년 8월, 어느 난민선이 튀니지를 떠나 이탈리아 람페두사 섬으로 가던 도중 몰타의 화물선이 구조했다. #

3. 대사관

튀니스 발레타에 몰타 대사관, 튀니지 대사관이 세워져 있다.

4. 교통 교류

몰타에서 배를 타고 지중해 건너 튀니지로 갈 경우 따로 출항증명서가 필요없다고 한다. #

또한 튀니스 에어 국제공항, 튀니스 국제공항과 몰타 국제공항, 에어 몰타가 이어져 있다.

5. 관련 문서



[1] 물론 실제로는 사우디아라비아로 도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