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4 20:57:12

통합 플럭스 성운

항성 은하천문학· 우주론
Stellar & Galactic Astronomy · Cosmology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RoyalBlue><colcolor=#fff> 항성천문학
측광학 광도 · 별의 등급
항성 ( ) 색등급도 · 여키스 분류법 · 하버드 분류법 · 별의 종족 · 다중성계( 쌍성) · 변광성( 세페이드 변광성 · 밝은 청색 변광성 · 황새치자리 감마형 변광성) · 성단( 산개성단의 분류 · 섀플리-소여 집중도 분류) · 초대질량 항성 · 쿼시 별 · 섬광성
항성 진화 보크 구상체 · 진스 불안정성 · 하야시 경로 · 갈색왜성 · 황소자리 T형 별 · 주계열성 · 준거성 · 적색거성 · 헬륨 섬광 · 점근거성가지 · 적색초거성 · 볼프–레이에별 · 행성상성운 · 초신성( 중력붕괴 · 좀비별 · 감마선 폭발)
밀집성 백색왜성( 신성 · 찬드라세카르 한계) · 중성자별( 뉴트로늄 · 기묘체) · 블랙홀( 에딩턴 광도)
성간물질 성운( 전리수소영역 · 통합 플럭스 성운) · 패러데이 회전
은하천문학
기본 개념 은하( 분류) · 활동은하핵( 퀘이사) · 위성은하 · 원시은하( 허블 딥 필드) · 툴리-피셔 관계 · 페이버-잭슨 관계 · 헤일로( 암흑 헤일로)
우주 거대 구조 은하군 · 은하단 · 머리털자리 은하단 · 페르세우스자리-물고기자리 초은하단( 페르세우스자리 은하단) · 섀플리 초은하단 · 슬론 장성 · 헤르쿨레스자리-북쪽왕관자리 장성
우리 은하 은하수 · 록맨홀 · 페르미 거품 · 국부 은하군( 안드로메다은하 · 삼각형자리 은하 · 마젤란은하( 대마젤란 은하 · 소마젤란 은하) · 밀코메다) · 처녀자리 초은하단( 처녀자리 은하단) · 라니아케아 초은하단( 화로자리 은하단 · 에리다누스자리 은하단 · 센타우루스자리 은하단 · 거대 인력체) · 물고기자리-고래자리 복합 초은하단
우주론
기본 개념 허블-르메트르 법칙 · 우주 상수 · 빅뱅 우주론 · 인플레이션 우주론 · 표준 우주 모형 · 우주원리 · 암흑물질 · 암흑에너지 · 디지털 물리학( 시뮬레이션 우주 가설) · 평행우주 · 다중우주 · 오메가 포인트 이론 · 홀로그램 우주론
우주의 역사와 미래 우주 달력 · 플랑크 시대 · 우주배경복사( 악의 축) · 재이온화
틀:천문학 · 틀:태양계천문학·행성과학 · 천문학 관련 정보
}}}}}}}}} ||
파일:Integrated_Flux_Nebula_Surrounding_Polaris_-_Kush_Chandaria (1).jpg
폴라리스 근처의 통합 플럭스 성운인 MW1. 오른쪽에 있는 성단 NGC 188이다.
1. 개요2. 상세3. 관련 문서

1. 개요

통합 플럭스 성운/Integrated Flux Nebula(IFN)

통합 플럭스 성운은 우리 은하의 원반에서 수직방향으로 몇만 광년정도에 떨어져 있는 가스 성운으로 장노출 촬영에서나 겨우 볼 수 있을 정도로 그 밝기가 너무나도 어둡기 때문에, 비교적 최근인 1990년대 후반에 그 존재가 알려졌다.

2. 상세

문서 상단의 북극성 주위 IFN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IFN은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성운의 모양인 발광성운, 반사성운과 달리 마치 약간 밝은 암흑성운같은 생김새를 가지고 있다. 조명 원인도 일반적인 성운이 중심에 있는 무겁고 밝은 항성들에 의해 이온화되거나 그 빛에 반사되어 우리 눈에 보이는 것과는 달리, IFN은 우리은하 원반의 수직방향에 위치한 헤일로에 위치하고 있어 우리은하 전체에서 나오는 빛이다. 즉, 어떤 밝은 항성에 의해 조명되는것이 아니라, 아주 멀리 떨어져 있는 수천만개의 항성들에 의해 조명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성운들과 비교해서 극도로 희미한 밝기를 가지고 있다.

IFN은 그 밝기가 지나치게 어둡기 때문에 1990년대 후반에 공식적으로 그 존재가 알려졌지만, 사실 1950년대 후반에 진행된 팔로마 전천 조사가 진행되던 시기, 30장의 사진에 현재는 IFN으로 불리는 어두운 성운들이 확인되었었다. 실제로 전천 조사를 진행하던 천문학자들은 이 먼지를 발견했지만, 이 먼지들이 단순히 은하 원반 내부에 위치한 성간먼지일 것으로 오해해 엄청난 발견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놓쳐 버렸다.

그렇게 발견을 놓쳐버린 1950년대 후반 이후 30년이 지난 1990년대 후반쯤 미국의 아마추어 천문학자인 스티브 만델(Steve Mandel)이 자신이 촬영한 보데 은하 시가 은하의 장노출 사진에 정체모를 먼지들이 촬영된 것을 발견했고, 이를 그대로 여러 천문학자들에게 확인해달라고 요청한 결과, 자신이 이때까지 발견되지 않은 새로운 유형의 성운을 발견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에 큰 재미를 느꼈는지는 몰라도 그는 미탐사 성운프로젝트라는 관측 프로젝트를 통해 더 많은 IFN을 발견하기 위해 노력했고 현재까지 총 9개의 IFN이 스티브 만델에 의해 발견되었다. 이 IFN들은 만델-윌슨 목록(MW 목록)이라는 이름으로 등재되어 있다.

3.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