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9 15:24:01

테트리스/유명 플레이어


'''
에 대한
이 문서에서
토론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토론 중인 내용을 일방적으로 편집할 경우 관련 규정에 따라 제재될 수 있습니다.


1. 개요2. TETR.IO3. JSTRIS4. 뿌요뿌요 테트리스5. 클래식 테트리스6. TGM · 그 외7. 인공지능8. 여담

1. 개요

온라인상에 수많은 테트리스 고수들이 있긴 하지만, 테트리스는 하나의 게임으로 보기에는 역대 판매량 2위라는 타이틀에 맞게 파생작이 어마무시하게 많아 그저 비슷한 게임을 기준으로 하게 되면 그냥 퍼즐게임인지, 테트리스 범주인지 기준이 애매하기에 그 중에서도 대표적으로 jstris, tetrio, 뿌요뿌요테트리스, TGM과 같은 테트리스로서의 인지도가 높은 게임의 플레이어들을 기재한다.

2. TETR.IO

2.1. 대한민국

2.2. 국외

3. JSTRIS

3.1. 대한민국

3.2. 국외

4. 뿌요뿌요 테트리스

4.1. 대한민국

4.2. 국외

5. 클래식 테트리스

5.1. 대한민국

5.2. 국외

6. TGM · 그 외

7. 인공지능

모던 대전 테트리스 용으로 여러 AI가 만들어졌다. 이 중에서 완성도가 높고, 유명 AI들을 소개한다.

8. 여담

종합 게임 스트리머들 중에서 뿌요뿌요 테트리스를 주력 컨텐츠로 미는 경우가 있다. 문서가 있는 스트리머로는 지누, 코시tv, 랑월, 플러리 정도가 있다. 다만 이들은 원래 종합게임 스트리머로써 유명한 것이지, 테트리스를 전문적으로 플레이하는 사람들도 아니고 테트리스 플레이어로써 유명한 것도 아니기 때문에 기재하기엔 애매하다.[27] 이들의 실제 테트리스 실력은 뿌테 공방 수준을 웃도는 정도로 테트리스 커뮤니티에서 유명 플레이어로 불릴 정도는 아니다.

그래도 이들이 테트리스와는 별개로 인지도 자체가 높은 스트리머들이다보니 신규 유저들이 유입되는 계기가 되기도 하므로 영향력과 인지도는 높은 편이다. 실제 인방갤인 IRL 방송 마이너 갤러리가 디시인사이드에서 2번째로 테트리스 언급을 많이 한다. 그리고 테트리스를 하지 않는 일반인이나 트수들 눈에는 모두가 고인물로 보이기 때문에[28] 흔히 테트리스 얘기가 나온다면 테트리스 고인물의 대명사로 쓰이기도 한다.

리듬 게임 랭커인 REMILIA도 테트리스를 잘 하는 편이다. 일본의 버튜버 호시마치 스이세이도 나름 테트리스 고수로서 팬들 사이에서 알려져 있는 편.
[1] 게임별 분리 기준은 등재 대상인 플레이어가 현재를 기준으로 외적으로 매체에서 가장 많이 노출된 게임을 기준으로 삼고, 기록으로 유명한 플레이어는 기록이 더 높게 측정된 게임을 주로 삼아 기재한다. 위상이 높았었던 과거형 게임은 위에서 말한대로 자세한 설명에 같이 작성해 넣어주면 좋다. [2] 본인은 종합 게임 스트리머라고 하긴 하지만 방송 주력 컨텐츠는 테트리스이다. [3] 스팀과 닌텐도 스위치 버전을 통틀어 50000점 계정을 하나도 아니고 다수 보유하고 있지만 대부분 어뷰징이다. [4] 다른 뿌요뿌요 시리즈도 플레이한다. [5] 초반에 비해 빠진다는 것이지, 절대 약하지 않다. 괜히 유명 플레이어가 아니다. [6] 물론 어디까지나 서양 기준으로, 당장 한국 뿌요러와 비교하기도 뭐한 실력이다. [7] Ekoro라는 닉네임으로 활동하며, 테크맵과 EZ, FL 고수, 그리고 osu!taiko 랭커로도 유명하다. [8] 그러다 보니 어느 정도 양덕(?)이라는 반응도 있긴 하다. [9] 이에 대한 근거로 2023년 5월 28일 TSD TETR.IO CUP 15 결승전에서 결국 패하긴 했지만, 출전했던 5번의 경기중에서 출전한 경기에서 단 한번도 세트 단위로는 패한적 없던 CZ에게서 2번째 세트에서 최초로 한세트를 따내며 최고 수준의 플레이어임을 입증했고, 해당 경기는 사실상 1위는 정해져 있다고 할 정도로 압도적이던 CZ가 처음으로 대회에서 질수도 있겠다는 가능성을 심어준 경기였다. [10] 그 이전까지는 TeamTSD CUP 12 준결승전에서 firestorm이 10점까지 몰아붙였다가 듀스로 역전패한 것이 최고기록이었지만 결과적으로 이변이 없었다. [11] 가이드라인 테트리스 커뮤니티에서는 Hard Drop 주최 온라인 대회들이 권위가 높다고 평가된다. [12] 결승에서 Blaarg를 만났으며 3:0으로 최종 우승. [13] 이를 테트리오 유저들 사이에서 Diaostack이라고 부른다. 본인도 자신의 다운스태킹에 이 명칭을 쓴다. [14] 플레이어뿐만 아니라 승자 예측자들도 대회에 포함되어서 상금을 받을 수 있는 구조이다. [15] T미노 말고도 다른 테트리미노, 심지어는 펜토미노들로도 엘리베이터 영상 시리즈를 만들었다. [16] 1분 50초경 참고. 해당 동영상은 뿌요뿌요 테트리스 퓨전 모드이다. [17] 뿌요테트 동영상 썸네일들을 보면 드라코켄타우로스에 꽂힌 듯 하다. 최근에는 원샷의 니코도 썸네일에 뜨고 있다. [18] EVO 출전 경력이 있다. [19] Super Brain에서 나온 본명이다. [20] 정확한 게임명은 Nullpomino (누루뽀미노) [21] 다만 개인방송 시청자 수는 그리 많지 않다. [22] 마스터 · W.Rule 부문의 전일이지만 사실 그게 전일인 이유는 일하협 규정상 마스터 모드의 경우 랭크 M 이상은 전부 랭크 M으로 취급하기에 가능했던 일이다. 만약 해당 규정이 없었으면 4분 32초 95의 최종랭크가 MM이라는 점 때문에 거기에 발목이 잡히게 되고 따라서 전일이 될 수 없었다. 즉 그가 해당 부문의 전일인 이유는 해당 규정이 있었기 때문으로 만약 그 규정이 없었다면 GM 등급의 기록 중에서 타임이 가장 빠른 플레이어가 전일이었으며 랭크에서 뒤쳐지면 아무리 타임이 빠르다곤 한들 MM 등급으론 전일로 인정받지도 못했다. 그런고로 헤보마이를 포함한 아르카디아 2006년 2월호 이후의 역대 TGM3 마스터 모드 부문의 전일은 해당 규정의 혜택을 톡톡히 봤다. [23] 다만 뿌요테트로 넘어와서는 그의 평가는 미묘한 편. 테트리스 프렌즈의 메타를 그대로 가져와 플레이하다 보니 같은 뿌요테트 플레이어인 아메미야 타이요, 카즈, 후레아 등에 비해 조금 저평가되는 감이 없지 않다. [24] 이전에 AI대전 기능이 탑재된 테트리스 게임은 이미 Misamino, 테트리스 온라인 폴란드등 꽤 있었지만 뿌요뿌요 테트리스용으로 제작된 인공지능으로서는 처음. [25] 단 퍼펙트 클리어 기능을 끌 수 있는 옵션이 존재하긴 한다. [26] Wumbo가 뿌요테트 방송 중 레이팅 5만점에서 단 1승을 남긴 상태에서 Zetris를 만나서 진 뒤 빡쳐서 방종했다는 일화는 유명하다. [27] 그나마 이들 중 지누는 시도 때도 없이 뿌테를 켜서 논란이 생기거나 반려묘 이름을 뿌요로 짓는 등 뿌테에 대한 애정을 많이 보여주는 편이다. 실력도 뿌테 레이팅 2만점까지 찍어본 경력이 있고, Tetr.io에서 상위 5%인 U 랭크에 드는 등 고수로 꼽을 만큼의 실력은 되는 편. [28] DT만 보고도 고였다는 채팅이 막 올라오던 시절도 있었다. 그래도 요즘은 눈들이 상향평준화 돼서 그 수준은 아니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