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03 12:33:10

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

파일:Coupnag light logo.png 파일:Coupnag dark logo.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rocket_logo.png 파일:쿠팡 로켓와우.png 파일:제트배송.png 파일:쿠팡이츠 로고.jpg 파일:쿠팡플레이(2024)2.png
파일:쿠팡풀필먼트서비스 로고.png 파일:쿠팡 로지스틱스서비스 로고.png 파일:쿠팡페이 로고.png 파일:쿠팡 파이넨셜 로고.jpg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택배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영 택배사
대형 택배사

[[GS Postbox|
포스트박스
]] [[편의점 택배#s-3.2|
CU포스트
]]

[[농협택배|
농협택배
]] [[홈픽|
홈픽
]]
대형화물/B2B위주
파일:건영택배 로고.png
한의사랑택배 하이택배 케이호남택배
기타
제로데이택배 중앙지하철택배
이커머스 계열
}}}}}}}}} ||

1. 개요

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 유한회사(약칭 CLS)는 2018년 설립된 쿠팡 배송 전문 자회사이며, 택배회사이다. 초기에는 일부 캠프 소속 헬퍼들을 관리하는 정도로 존재감이 없었지만, 2024년 현재에는 쿠팡에서 로켓 직구, 로켓배송, 로켓와우, 로켓프레시 배송이 99% 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를 위한 물류시설인 쿠팡 캠프들과 직원들 또한 100% CLS 소속으로 전환되었다. 현재 쿠팡 본사는 전략, 기획같은 말 그대로 그룹에 두뇌부분만 남아있다.

일단 택배회사이기 때문에 CLS 배송차량들은 노란색 영업용 번호판을 장착하며, 대부분은 정부에서 자유롭게 증차해주는 배 번호판을 달고 있다.

2023년 이후 쿠팡에서 물량을 늘리고 있는 로켓그로스 상품(운송장에 ♬ 표시)은 반드시 노란색 번호판을 장착해야 배송이 가능하기 때문에 극소수의 쿠팡(주) 소속 쿠팡친구들은 로켓그로스 상품을 배송하지 않는다. 또한 이때문에 기존 승용차로 하던 쿠팡 플렉스는 거의 업무확정이 되지 않고 되더라도 야간 프레시 위주로만 배정해준다고 한다.

2. 캠프 조직

2.1. 경기 북부리전

2.1.1. 남양주 Area

2.1.2. 일산 Area

2.2. 경기남부 리전

2.2.1. 경기광주 Area

2.2.2. 시흥안산구로Area

시흥 2캠프 : 시흥시 매화산단로 16-15 쿠팡 시흥2캠프 / 셔틀운행
미산동 캠프 : 시흥시 미산동 140-12
독산동 캠프 :서울시 금천구 독산동 999-9
일직동 1캠프 : 광명시 일직동 516-1
구로 1캠프 : 서울시 구로구 경인로 110
오류동 캠프 : 서울시 구로구 오류동 123
신도림 캠프 : 서울시 구로구 신도림동 299-1
구로동 캠프 : 서울시 구로구 서부샛길 822

2.2.3. 동탄화성수원군포Area

2.3. 서울인천 리전

2.3.1. 송파서초 Area

2.3.2. 인천강서 Area

2.4. 지방 리전

2.4.1. 대구대전구미 Area

2.4.2. 광주전주 Area

2.4.3. 부산김해창원울산 Area


3. 캠프 업무


서브허브 및 캠프에서 다시 한 번 더 택배 분류를 한다. 여기서는 일부 파트 사원을 제외하면 모두에게 '헬퍼님'이라고 부른다.

전반적으로 센터의 허브공정과 유사하지만 다른 점도 있다. 허브를 작게 간소화한 구조이기 때문에, 전체 헬퍼 인원수와 공정 구조와 보직의 종류가 윗 문단에 비해 비교적 단순하다.

캠프에서는 물류센터들과는 달리 식사를 제공하지 않으며 식대도 제공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근무시간 단위가 8시간 미만이며 짧고 굵게 일한다. 여러 이유로 근무를 붙여서 하더라도 근무종료후 재 출근하여 근무한 것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역시 식대를 받을 수 없다. 그래도 간식 자판기와 저렴한 음료수 자판기가 있으며 휴대폰 사용이 자유롭다. 웬만해서는 간단한 먹을거리를 챙겨오는 것을 추천한다.

2023년 기준 쿠팡캠프들이 소분, 방역업무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캠프 내의 업무를 쿠친들이 맡는 추세에 있었다가, 여러 문제가 발생하여 다시 따로 뽑고 있다.

캠프 소분의 경우 허브보다 지리적인 접근성이 좋기 때문에 주간에는 지하철, 버스를 타고 올 수 있으며, 야간 출퇴근을 위한 좌석버스도 운행한다. 물량 급감이 아닌 이상 채용 취소는 거의 없으며[1]근무일 하루이틀 전에만 신청하면 거의 대부분 근무가 확정된다.

여기까지 분류가 완료되면 배송기사인 쿠팡친구가 RT에 쌓인 택배를 1톤 트럭에 싣고 출발하게 된다.

여기서부터는 CLS쿠펀치라는 어플을 따로 사용하며, 기존 쿠펀치와는 연동되지 않는다. CLS쿠펀치로는 근무신청을 할 수 없고 문자, 카톡, 인터넷으로 신청해야 한다. [2]

3.1. 쿠지게

쿠펀치 및 워크데이에서는 Forklift operation으로 나온다.

지게차를 운전하고 물류 관련 여러가지 업무를 담당한다.

현재 정규직 전환이 진행중이라 같은 일을 함에도 불구하고 소속이 다른 경우가 있다. 정직원일수도 있으며, 용역업체 소속일 수도 있다[3]. 지게차 외에도 상황에 따라 여러가지 내부 업무를 하는데, 반품 처리 관련 업무도 이들의 주요 업무이다.

일부 캠프들은 인력부족으로 인해 배송기사인 쿠팡친구에게 이 업무를 시키는 경우도 있다. 쿠팡친구 출신 쿠지게는 쿠팡친구 급여를 그대로 받지만 순혈 쿠지게는 최저임금+지게차수당+야간수당+연장수당만 받는다. 이렇게 보면 쿠친출신들이 돈을 더 많이 받는것처럼 보이지만 쿠친들의 경우 쿠친 기본급에 지게차수당만 더 받는 셈이라 그냥 거기서 거기다. 혹은 쿠팡로지스틱스 소속 정식 관리직인 CL, HL들이 지게차업무를 겸하는 경우도 있다.

2023년 현재 대다수의 캠프들은 서브허브에서 롤테이너만 받는 경우가 많다. 만약 캠프규모가 작은편이라면 아예 도크레벨러를 활용하여 상,하차를 하기 때문에[4] 지게차를 탈 일이 많이 줄었다. 그래도 지게차수당은 받긴 하지만...

3.2. 플렉스 어시스턴트

Flex Assistant

말그대로 (CL들의) 쿠팡 플렉스 업무를 보조하기 위한 포지션. 육체적 노동은 거의 하지 않지만, 캠프의 상황이 상당히 여유롭지 않은 이상 본인이 직접 돌아다니면서 여러 잡무를 할 가능성이 높다. 사실상 플렉스들의 CL로 봐도 된다.

쿠지게처럼 쿠팡친구가 이 업무를 하지 않는 이상, 순혈 FA는 퇴사율이 높은편. 아무래도 쿠친들과 달리 각 개별 사업자들과 계약을 하는 형태이다 보니 제대로 통제하는 게 쉽지 않기 때문이다.

3.3. 신호수


지게차와 간선차등이 오갈때 안전통제등의 역할을 한다. 다만 쿠팡의 물류 특성상 주로 저녁, 새벽, 이른오전에 물류가 몰리기에, 늦은오전, 오후 근무자의 경우 쿠지게들의 업무보조나 캠프 주변정리등을 요청 받을 수 있다. 그렇다면 한가한 시간대에는 신호수를 안 쓰면 되는거 아니냐 하겠지만 지게차관련 사고가 워낙 많이 발생한 탓에[5] 회사 내규에 신호수 없이 지게차를 움직이면 안된다는 규정을 아예 못 박은 상황이다. 오후라도 지게차가 움직일 일이 전혀 없는게 아니기에 어쩔 수 없이 물류가 많이 없는 오후에도 신호수를 쓸 수 밖에 없게 된 것이다.

허브와 달리 잡무가 추가되는 셈이지만 신호수만을 따로 뽑기 때문에 일장일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서브허브화 된 캠프들의 경우 차량 배치등의 말 그대로 신호수의 역할만 수행한다.

3.4. 소분(하차, 분류적재, etc...)

센터 허브에서 온 파렛트 위의 택배들을 하차 요원들이 컨베이어벨트 위에 하차하고, 그것을 각 구역에 맞게 분류하는 일이다.

지게차가 파렛트를 소분장 인근으로 옮기면, 입식지게차로 컨베이어벨트 바로 앞 까지 파렛트를 다시 옮기고 그 위에 있는 택배들을 하차 요원이 안전칼로 비닐을 뜯고 곧바로 컨베이어에 싣는다.[6] 입식지게차의 경우 CL, HL 등 로지스틱스 관리직이 맡거나, 소분인력중에 상대적으로 짬이 높은 사람이 맡거나, '자키수'라는 보직으로 따로 선발하기도 한다.

이후 분류적재 요원들은 물건을 번호별로 롤테이너에 분류하면 된다. 과거에는 헬퍼들이 1톤 트럭에 일부 적재까지 해줬으나 현재는 전적으로 분류업무만 수행한다.

이 공정도 위에서 서술한 것처럼 택배가 터지거나 무너지지 않게 하기 위해 택배들을 테트리스마냥 잘 쌓아야 한다. 오만가지 크기와 무게를 가진 택배들이 사전 예고되지 않은 순서대로 들어온다.[7]

하차 공정은 웬만하면 남자로 배치되지만, 오늘 처리할 물량이 너무 많은데 하차 인원이 적을 경우나 가볍고 작은 택배들이 많을 경우 등 여러가지 변수가 발생하면 여자도 추가로 투입시킬 수 있다. 또한 pb 토트박스 하차의 경우 여자한테 배정하는 경우도 상당하다.

분류 및 롤테이너 적재 공정은 남녀 근무 강도가 그렇게까지 차이가 있지는 않으며, 남녀 배치 비율이 상대적으로 고른 편이다. 다만, 택배를 들고 쉴 새 없이 롤테이너들 사이에서 수천 걸음 이상 걸어다녀야 한다. 롤테이너 위에다 두뇌를 활용해 쌓는 만큼 팔, 다리, 두뇌 3가지가 모두 중요한 공정이다. 스포츠로 치자면 축구, 군대 훈련으로 치자면 행군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모집할 때 소분이라는 이름으로 모집하는데 왜 각자 하차, 분류적재, 세척, pb분류, 기타 보직 등 다 다르냐는 의문이 있을 수 있는데, 여러가지 보직들을 묶어서 하나로 소분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3.5. 세척

프래시백을 세척기계에 넣은 후 쌓아서 롤테이너에 정리하거나 아이스팩을 세척하고 정리하는 역할을 한다.

3.6. 피딩(Feeding)/언로딩(Unloading)


롤테이너에 꽉 차게 쌓여있는 택배의 고유 번호를 본 뒤 고유 번호가 적혀 있는 트럭 도크 입구 근처로 옮기는 것이 주업무이며, 꽉찬 롤테이너를 빈 롤테이너로 교체해주기도 하고, 롤테이너를 접어 옮기는 것과 토트박스를 접어 옮기는 것도 업무 중 하나이다. 또한, 특정 시간이 되면 트럭 기사들과 함께 롤테이너를 대형트럭에 옮긴다.

트럭에 옮길 때 오르막 경사가 있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 경우 약간 먼 거리에서 미리 가속도를 가하며 밀어야 성공한다. 무겁고 위험한 롤테이너는 2인 1조로 함께 옮기는 것이 좋다. 트럭에 옮길 때 양 옆 낭떠러지를 필히 주의해야 한다.

이것 말고도 상황에 따라서 하차, 적재, 기타 여러가지 잡무를 맡긴다. 캠프마다 업무강도와 상황이 천차만별이다.

3.7. 리젝(Reject)/오버플로우(Overflow)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기계가 인식하지 못한 택배들이 리젝, 오버플로 라인으로 전달된다. 그 택배들을 수동으로 스캔하고 롤테이너에 분류적재를 한 뒤 각 라인별로 롤테이너를 직접 전달한다. 관리직, 계약직이 주로 담당한다.





[1] 월 단위 계약직 헬퍼가 되면 물량 급감으로 인한 근무취소는 없다. [2] 센터(쿠팡 플필먼트 서비스)와 달리 11시간 휴게가 적용된다.) [3] 현재는 거의 사라지는 추세이다. [4] 캠프규모가 크다면 그냥 예전처럼 지게차로 롤테이너를 하차한다. 도크레벨러로는 한 번에 하나만 상하차할 수 있어 속도도 느리기 때문이다. [5] 지게차의 특성상 인사사고가 발생하면 최소 골절이다. [6] 이때, 컨베이어에 껴서 막힐 위험이 있는 너무 크거나 긴 물건, 굴러가는 바람에 스캔 기계 인식이 안 될 위험이 있는 원기둥형 물건 등을 '이형' 이라고 부르며, 하차 요원은 이형 택배를 따로 별도의 롤테이너에다 싣는다. 이형이 많을 경우 이형 전담 헬퍼를 따로 뽑아서 이형만 쌓기도 한다. [7] 다만 중간에 로켓프레시 백이 무더기로 들어올 수 있는데, 하차 요원들이 로켓프레시 수십 개가 쌓인 파렛트, 롤테이너를 하차하고 있기 때문이다. 상황에 따라 로켓프레시만 따로 적재하고 피딩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