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30 18:02:09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카트바디/스피드 카트/레전드 등급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카트바디/스피드 카트
{{{#!wiki style="margin: -10px -10px; padding:5px 0" <tablealign=center><tablewidth=340px><tablebordercolor=#2e3191> 파일: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 로고.svg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2e3191> 게임 모드 <colbgcolor=#ffffff,#1f2023> 클래식 모드 (아이템 종류) · 아케이드 모드 · 랭킹전 · 시나리오 모드 · 타임어택 · 훈련장 · 라이선스 테스트 · 커스텀 경기 트랙 커스텀
카트바디 카트바디 목록 (스피드 · 아이템 · Hybrid · 튜닝) · 특징 · 카트 강화 · 커스텀 · 파츠 · 획득 경로
트랙 R · L3 · L2 · L1 · 특수 트랙
창고 카트 · 캐릭터 · · 플라잉 펫 · 엠블럼 · 아이템 · 배경 · 계기판 · 컬렉션
시스템 능력치 · 프로필 · 재화 · 감정소 · 팩토리 · 클럽 · 마이룸 · 소셜
시즌 S1 ~ S5 · S6 ~ S10 · S11 ~ S15 · S16 ~ S20 · S21 ~ S25 · S26 ~ S30
공식 대회 KRPL · 카러플 그랑프리 · 기타 대회
기타 게임 플레이 팁 (드리프트 테크닉) (건전지 수급) · 용어사전 · 중국 서버 (차이점) · 평가 · 논란 및 사건 사고 · 최대프레임 지원기기
시리즈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 ·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padding:5px 0" <tablealign=center><tablewidth=340px><tablebordercolor=#2e3191> 파일: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 로고.svg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
카트바디 목록
}}} ||
스피드 카트 일반 희귀 레어 레전드
시즌 1~5
시즌 6~10
시즌 11~15
시즌 16~20
시즌 21~25
시즌 26~30

시즌 31~35
아이템 카트 희귀 레어
시즌 1~5
시즌 6~10
시즌 11~15
시즌 16~20
시즌 21~25
시즌 26~30
레전드
시즌 1~5
시즌 6~10
시즌 11~15
시즌 16~20

시즌 21~25
시즌 26~30
Hybrid 카트 레전드
튜닝 카트 레전드

1. 개요2. 서술 지침3. 상세
3.1. 무과금 카트3.2. 시즌 패스 카트3.3. 소과금 카트3.4. 하이라이트 카트
4. 시즌 1~55. 시즌 6~106. 시즌 11~157. 시즌 16~208. 시즌 21~259. 시즌 26~30

1. 개요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에 출시된 레전드 스피드 카트바디를 정리한 문서.

한 시즌 내에서 카트바디별 스탯은 대체로 시즌 하이라이트 카트[1]>나머지 과금 카트[2]>시즌패스 카트[3]≥무과금 카트[4] 순이다.

시즌이 지날수록 스탯이 점점 상승해서 레전드 등급 자체가 의미가 없게 되었다. 레어 카트바디와의 격차는 2022년부터 진작에 벌어졌고, 2024년 현재 레전드 최상급과 최하급 카트바디의 격차(파라곤 인페프노(시즌 26) - 골든 로디 카프카(시즌 1))도 17km/h 가까이 나온다. 이에 몇몇 유저들은 PC카트처럼 등급별로 레전드 카트바디 스탯을 고정하되 그 안에서 스탯을 조정하는 식으로 카트바디가 나오면 어떻나 의견을 제시하기도 한다.

2. 서술 지침

3. 상세

3.1. 무과금 카트

실버 기어, 조각 교환, 서프라이즈 보물 상자, 기다리면 열리는 상자[9], 플레이 이벤트, 시뮬레이션 모드, 랭킹전 경쟁 코인 이벤트등으로 출시되는 카트.

일단 대부분의 무과금 유저들은 뉴비이기 때문에 컨트롤 난이도를 매우 쉽게 조정했다. 오버스티어 성향을 띠는 카트바디는 거의 찾아보기 힘든 수준이며, 끌기, 더블 드리프트, 커팅등 여러 드리프트 기술을 하기 매우 쉽게 세팅해뇠다. 그러나 문제점은 과금카트에 비해 현저히 떨어지는 성능이다. S25 기준 그래프를 보면 가속, 끌기, 코너 속도, 게이지, 힘 강화, 커브 드리프트, 민첩, 부스터 시간 이 8가지의 모든 능력치가 그 아래이다. 몸싸움도 의도한게 아니면 무조건 밀리고, 직선구간에서는 6.7km 차이나는 속도 + 익시드 + 부스터 지속시간 +0.38초 3단 콤보를 맞으며 거리가 계속 멀어진다.

이 격차의 시작은 시즌 3부터였다. 초기 시즌만 하더라도 골든 로디 카프카와 제노는 핑크 코튼/세이버 Red보다 각각 1.1km/h, 0.6km/h 느렸다. 하지만 시즌 3 백기사 출시 이후에는 시즌 패스/무과금 카트바디와 하이라이트 카트바디 스피드 차이가 2km/h 안팎으로 나기 시작했다.[10] 시즌 10부터 무과금 카트는 전쟁신의 마차/파라곤 인피니트 이후 출시가 뜸하고, 시즌 패스 카트도 시즌 9부터 무과금 카트의 격차를 벌리고 있지만 시즌 12까지 성능 상승 폭이 거의 없다 보니, 성능 강화 폭을 골드 기어 및 하이라이트 카트에 빼앗긴 셈이다.

결국 시즌 11에 블랙비틀이 출시되면서 무과금 카트와 대장 카트의 격차는 3km/h까지 벌어졌고, 시즌 13에는 시즌 패스 카트와 대장 카트의 격차마저 3km/h 안팎으로 벌어지게 되었다.

다행히 시즌 12에 오버클럭이 시스템이 나타나 무과금도 오버클럭을 가능하게 해놓았고, 하이라이트 카트들보다는 무과금 카트들의 성능을 크게 상승시켜주기 때문에 어느 정도 무과금 유저들의 환경이 개선되었다.[11] 그리고 이후 특정 분야에선 하이라이트 카트바디 못지않은 메리트를 지니는 부스터 3슬롯 카트바디인 멘티스 프로토가 무과금 이벤트로 등장했기에 호평을 받고 있다. 게다가 무과금 뛰라이더인 소닉 더 헤지혹이 출시되어 무과금의 접근성을 향상시켜 주었다. 시즌 13에는 파라곤 급의 레드 범퍼카가 기다리면 열리는 상자에 출시되어 운만 좋으면 무과금으로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시즌 13부터 오버클럭이 무색해질 정도로 무과금 카트의 성능이 뒤처지기 시작했다. 대장 카트는 출시 주기가 한 시즌 반에서 한 시즌으로 줄어들고 점점 더 많은 리어 장식 옵션을 달고 나오고 있는 반면에, 무과금 카트는 몇 시즌 동안 성능이 정체되어 있다가 특정 시즌에 급상승하여 나오고 특수 능력도 빈약하다. 따라서 오버클럭한 무과금 카트로도 오버클럭하지 않은 대장 카트를 따라잡기가 힘들어지고 있다.

그래도 시즌 17에 퀀텀 파이어 D가 무과금 치곤 꽤 괜찮은 속도(274.1km)로 출시해 하이라이트 카트 황금기사 영웅이랑 4km 이내의 차이로 격차가 조금 둘어들었다. 하지만 무과금 유저에게 대놓고 희망고문을 시전했다는 것이 다음 시즌에 적나라하게 드러났다. 바로 익시드. 속도 차이 때문에 죽겠는데 이젠 특수 기능까지도 사기로 변해서[12] 소과금 유저들에게도 만만치 않은 타격이 들어가버렸다.

시즌 22에는 듀얼 부스터까지 나와서 결국 체념한 유저들이 하나둘씩 카러플을 나가자 대책으로 넥슨은 튜닝이라는 새로운 무과금 카트 라인업을 출시하는데 일단 기본 속도는 시즌패스 카트보다 살짝 좋게 나왔고, 튜닝 모듈이라는 강화 시스템이 있는데, 그중에서 가장 눈여겨 볼 것은 바로 견인이다. 무려 타임어택 쉐도우에도 적용이 돼서 견인 상태로 주행이 가능하며, 올릴 수 있는 최대 속도는 시즌 24에 나온 포텐-Tune 기준 280.6km로, 듀얼 부스터를 감안하면 시즌 24 하이라이트 카트와 속도가 대략 1.5km 차이난다. 뭔가 그럴싸 해보이지만, 튜닝 모듈에서 그런 정상급 옵션을 뽑는 확률은 과장없이 트윙클 스타 1트만에 카트를 뽑는 확률보다 낮다. 어지간히 튜닝 모듈에 K코인을 바치지 않는 이상 280.6까지는 못간다고 보면 되고, 대부분 278~279 정도의 옵션이 대부분이다. 그리고 만약 그 정상급 옵션을 뽑았다고 쳐도, 어디까지나 그 속도는 타임어택 한정이며, 멀티 플레이에서는 1등하자마자 견인이 풀리면서 속도가 귀신같이 떨어져 다시 따라잡힌다. 또한 특수 능력 부분에서 한번 더 발목을 잡는다. 아무리 최고 옵션을 뽑아도 하이라이트 카트의 속도보다 느린건 여전한데다 익시드, 부스터 지속시간[13] 등의 리어장식 특수 능력에도 밀린다. 게다가 빠른 속도를 준 대가로 플라잉 펫과 캐릭터 능력을 봉인되어버리기 때문에, 레전드 플라잉 펫을 가진 유저들에게는 전혀 메리트가 없다. 결국엔 속도만 빠른 쓰레기 카트 취급을 당하면서 몰락해버렸다.

결국 이 현상은 극에 달해, 시즌 25에서는 무과금 카트와 하이라이트 카트와의 최고속도 차이가 7km/h 넘게까지 나버리게 되었다.

3.2. 시즌 패스 카트

시즌 패스를 구매하고 일정 레벨에 도달하면 획득할 수 있는 카트바디이다. 하지만 시즌패스 가격이 고작 4000원 정도밖에 안하는지라 카트의 성능은 무과금 카트를 간신히 추월하는 정도이다. 하지만 현재는 무과금에 튜닝 카트가 나와버리면서 무과금 카트보다도 성능이 안좋아져 버리는 웃픈 상황이 오게 되었다. 현재는 유저들이 시즌패스를 사는게 카트를 위한게 아닌 900 건전지를 얻을려고 사는 거라고 한다(...).

3.3. 소과금 카트

하이라이트 카트바디를 제외한 다른 과금 방식[14]으로 얻을 수 있는 카트바디. 하이라이트 키트랑 비교해봤을 때 속도는 1~2km 정도, 다른 능력치들은 대부분 살짝 낮고, 그중 몇몇은 살짝 높은 경우도 있다. 무과금 유저도 게임만 열심히 한다면[15] 한 시즌내에 무과금으로 얻을 수 있는 건전지는 대략 1800건전지 정도 되기 때문에 5000 건전지 이내인 소과금 카트는 2~3시즌 내에 확정적으로 얻을 수 있다. 하지만 그만큼 실럭도 따라줘야 한다. 왜냐하면 소과금 카트부터는 뉴비, 초보를 위한 쉬운 드립감을 넣어주지 않고 본격적으로 세부적인 컨트롤이 가능한 민감한 드립감을 넣어주기 때문이다.

백기사가 나오기 전까지는 골드 기어로 출시한 몬스터가 하이라이트 카트로 나왔지만 백기사가 나온 지 한참 된 현재 헤비 과금러 입장에서는 가장 구매할 메리트가 없는데 가격은 천장을 칠 경우 최소 5만원 이상[16]이면서 성능은 하이라이트보다 좋지 않다. 그래서 이 카트들에 대한 평가는 주로 과금을 안 하고[17] 사는 입장에선 나쁘지 않지만, 과금을 해서 이 카트를 살 바에는 하이라이트 카트를 사라는 평가가 대다수이다.[18]

각 입수 경로에 대해 장점과 단점을 나열해보자면, 골드 기어 카트는 하이라이트 카트에 비해서 더 호불호 적은 드립감[19] 이나 전용 옵션(시즌 10부터) 때문에 수요가 있지만, 이마저도 (중국 서버 기준) 시즌 12 골든 몬스터가 끝이고 이후에는 골드 기어에서 아이템 카트만 나온다. 기념 배지 카트는 가격은 하이라이트 카트보다 비싼 주제에 성능이 낮기 때문에 가성비가 매우 좋지 않고, 시간의 상점 카트도 동화나라 디지니를 제외하면 특출난 점을 찾기가 어렵다.[20]행운의 별자리의 경우 상점 패키지보다 조금 더 싸게 살 수 있지만 레전드 플라잉 펫이 행운의 별자리에서만 나온다는 것이 발목을 잡으며, 트윙클 스타는 재화를 가장 많이 뿌리기 때문에 가장 부담없이 살 수 있지만, 카트만 나온다는 보장이 없어서 카트가 안 나오면 다음 시즌까지 기다려야 한다는 것이 단점이다. 상점 패키지 카트의 경우 좋은 성능을 가지고 있지만, 패키지를 거의 뿌리지 않기 때문에 무과금러든 과금러든 트윙클 스타, 행운의 별자리보다 얻기 힘들다.

상술했듯이 재화를 뿌리기 때문에 아래 카트를 무과금으로 사는 것이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편의 상 과금 카트 목록에 적는다.

시즌 12부터는 시간의 상점으로 색칠놀이 카트가 계속 출시되어 유저들의 욕을 먹고 있다. 시즌 26 현재까지도 계속 색칠놀이 카트로 출시해 대부분 채념해버렸다(...)

3.4. 하이라이트 카트

{{{#!wiki style="margin: -10px -10px; padding:5px 0" <tablealign=center><tablewidth=340px><tablebordercolor=#2e3191> 파일: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 로고.svg 카트바디 목록
하이라이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백기사고화질.png 파일:카오스고화질.png 파일:흑기사고화질.png
백기사 카오스 흑기사
파일:파라곤고화질.png 파일:카러플_멘티스.png 파일:카러플_스타쉽 솔리드.png
파라곤 멘티스 스타쉽 솔리드
파일:카러플_블랙 비틀.png 파일:카러플_골든 파라곤.png 파일:카러플_슈퍼 코튼.png
블랙 비틀 골든 파라곤 슈퍼 코튼
파일:카러플_플라즈마 GT.png 파일:카러플_아르테미스.png 파일:드세고화질.png
플라즈마 GT 아르테미스 드래곤 세이버 플레임
파일:카러플_드래곤 세이버.png 파일:카러플_황금기사영웅.png 파일:카러플_강철기사영웅.png
드래곤 세이버 다크 황금기사 영웅 강철기사 영웅
파일:카러플_스칼렛바이퍼.png 파일:카러플_아메시스트바이퍼.png 파일:카러플_플레어파라곤.png
스칼렛 바이퍼 아메시스트 바이퍼 플레어 파라곤
파일:크리스탈파라곤.png 파일:카러플_흑룡.png 파일:카러플_백룡.png
크리스탈 파라곤 흑룡 백룡
파일:카러플옵시디언공식.png 파일:카러플블레이즈공식.png 파일:카러플_블랙 비틀 골드.png
히페리온 옵시디언 히페리온 블레이즈 블랙 비틀 골드
파일:카러플_블랙 비틀 블루.png 파일:카러플_크로노스 에어.png 파일:카러플_크로노스 엠퍼러.png
블랙 비틀 블루 크로노스 에어 크로노스 엠퍼러
파일:카러플_흑기사 리파인.png 파일:카러플_백기사 리파인.png 파일:카러플_플라즈마 코멧.png
흑기사 리파인 백기사 리파인 플라즈마 코멧
파일:카러플_플라즈마 글로우.png 파일:카러플파라곤인페르노공식.png 파일:카러플파라곤아스트랄공식.png
플라즈마 글로우 인페르노 파라곤 아스트랄 파라곤
}}}}}} ||

시즌 3 백기사 때부터 출시된,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에서 과금이 가장 많이 필요한 카트바디. 시즌 3~시즌 6에는 행운의 빙고로 출시하였다가 시즌 7에 출시한 파라곤은 별도의 특별 이벤트로 출시하고 시즌 8 멘티스부터는 센터로 출시한다. 시즌 2에 출시된 몬스터는 시즌 하이라이트 카트였으나 골드 기어라는 기존의 획득 방식에서 획득 가능했고, 비슷한 성능의 카트가 이미 출시된 상태였으며, 하이라이트 카트 구매 시 함께 획득할 수 있는 재화인 시크릿 스크롤도 주지 않는 데다가 신규 하이라이트 카트가 출시 될 때 전용 센터 키를 추가로 지급하지도 않고 전용 티저 영상도 없기 때문에 하이라이트 카트로 분류하기 어렵고 일반적인 과금 카트로 분류되는 편이다.

여기 서술된 카트들은 모두 출시 당시 1대장이었고 이 카트들의 1대장 자리를 빼앗은 카트들도 전부 여기 서술된 카트들이다. 성능이 매우 좋은 만큼 가격도 15만원 선으로 가장 비싸다.[21]

백기사~멘티스까지는 파라곤을 제외하면 주로 시즌 중반~중후반쯤에 출시되었으나 스타쉽 솔리드부터는 시즌 첫 날에 출시하고 있다.

시즌 13 슈퍼코튼부터 하이라이트 카트 전용 테일램프 장식이 소개되면서, 전용기능이 탑재되어 출시된다. 또, 블랙 비틀까지는 기존 대장 카트가 다음 대장 카트와 병행 판매되다가 단종되었지만, 골든 파라곤부터는 시즌이 끝나는 동시에 기존 대장 카트가 단종되고 다음 시즌에 새 대장 카트가 출시된다.

한국 서버에서는 시즌 13에서는 시즌1~12때까지 나온 카트와 캐릭터들을 럭셔리키로 재판매한게 되었다.[22]

하이라이트 카트답게 구성품이 대체로 사이버 느낌이 강하다.

4. 시즌 1~5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카트바디/스피드 카트/레전드 등급/시즌 1~5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시즌 6~10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카트바디/스피드 카트/레전드 등급/시즌 6~10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시즌 11~15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카트바디/스피드 카트/레전드 등급/시즌 11~15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시즌 16~20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카트바디/스피드 카트/레전드 등급/시즌 16~20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시즌 21~25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카트바디/스피드 카트/레전드 등급/시즌 21~25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시즌 26~30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카트바디/스피드 카트/레전드 등급/시즌 26~30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시즌 3부터 시즌 6까지는 빙고, 별도의 이벤트로 나온 파라곤, 시즌 8부터는 센터로 뽑는 카트. 몬스터는 시즌 2 하이라이트였지만 다른 시즌 하이라이트 카트와는 달리 단독 1대장을 차지하지 못했다. [2] 시간의 상점, 행운의 별자리 등 [3] 무과금 카트와 시즌패스 카트의 차이는 편차가 심하다. 예를 들어 나이트 이글처럼 동 시대의 무과금 카트보다 확실히 좋은 카트가 있는가 하면, 골든 로디 카프카, 골드 드래곤, 궁니르 같이 오히려 무과금 카트보다 안 좋은 카트도 있다. 시즌 11부터는 무과금 카트와 시즌 패스 카트와의 격차도 벌어지기 시작했다. [4] 실버기어, 조각 교환, 서프라이즈 보물상자 등. [5] 탑티어는 S, 티어1은 A+, 티어2는 A, 티어3 중 상위 50%는 B+, 하위 50%는 B, 티어4 중 상위 50%는 C+, 하위 50%는 C, 티어5는 D로 분류한다. 다만 솔리드 스타쉽은 다른 S급 카트바디보다도 몸싸움이 압도적이고 장기간 몸싸움 1대장을 하고 있기 때문에 예외적으로 S+로 분류한다. [6] 뛰라이더일 경우 초소형, 바이크 또는 전체 길이가 17.5미만인 경우 소형, 17.5이상 18미만일 경우 준중형, 18이상 18.5미만일 경우 중형, 18.5이상 19미만일 경우 준대형, 19이상 19.5미만일 경우 대형, 19.5이상일 경우 초대형으로 분류했다. [7] 단, 앞 길이가 1미만일 경우에는 한 등급 아래로 분류한다. 또한 앞 길이가 2.5초과일 경우 한 등급 위로 분류한다. [8] 예: 멘티스-멘티스 Z7(중국서버에서는 HT+) [9] 현재는 캐럭터로 바뀌었다. [10] 물론 윈드 솔리드, 나이트 이글, 웨이브 같은 예외도 있긴 하다. [11] 오버클럭을 기준으로 하면 전쟁신의 마차는 272.3km/h이고 파라곤 인피니트와 로디 머큐리는 일반적인 멘티스, 오버클럭 파라곤과 동일한 272.4km/h라서 오버클럭 슈퍼 코튼과 2.4km/h정도 차이 난다. [12] 익시드 1.0만 해도 1.0을 탑재한 카트보다 2km/h 빠른 카트가 겨우 따라잡는데, 2.0은 1.0보다 익시드를 이론상 2.6배 더 많이 쓸 수 있으며, 3.0은 그 이론의 영역을 현실로 끌고 왔다. 이러니 무과금 유저들이 살아남을 수 있을 리가... [13] 최대 3.09초. 하이라이트 카트바디의 속도인 3.383초보다 한참 짧다. [14] 시간의 상점, 골드기어, 기념 배지, 행운의 별자리 등 [15] 열심히 한다는게 건전지를 주는 모든 이벤트에 참가하여 건전지를 얻는다는 말이다. [16] 트윙클 스타가 57000원, 행운의 별자리가 67500원 정도, 상점 패키지 카트가 86000원 정도. [17] 무과금러 입장에서는 하이라이트 카트바디와의 가장 큰 차이점으로, 기타 과금 카트를 획득하기 위해 필요한 재화는 뿌리지만, 하이라이트 카트를 획득하기 위해 필요한 재화는 뿌리지 않는다(직접 건전지로 사야 한다). [18] 기존작의 업그레이드형 카트의 경우 기존작 보유자 할인 특전으로 다음 하이라이트 카트까지 잠깐 탈 차를 구하는 목적이라면 나쁘진 않다. [19] 파라곤과 멘티스는 굉장히 우수한 드립감을 가지고 있지만 솔리드 스타쉽과 블랙비틀은 매우 호불호 갈리는 드립감을 가지고 있다. [20] 이 때문인지 중국 서버 기준 시즌 10부터는 시간의 상점 및 기념 배지로 출시되는 레전드 카트바디가 없었다가 시즌 16이 되어서야 블록 제니스가 시간의 상점으로 출시되었다. 하지만 성능이 시즌 11 하이라이트 카트 블랙비틀과 동급으로, 가성비가 안 좋다. 시즌 16 하이라이트 카트인 드세 발끝도 따라가지 못한다. [21] 전야제, 건전지 보너스 이벤트를 통해 가격을 10만원대로 낮출 수 있다. [22] 단,풍선이나 오라 등의 장신구는 제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