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05-25 17:02:12

충녀

김기영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26px
||<tablewidth=100%><tablebgcolor=#000000><width=200><bgcolor=#FFF,#191919> [[죽엄의 상자|[[파일:죽엄의상자.png|width=13%]]]] ||<width=200><bgcolor=#E2D497,#191919> [[양산도|[[파일:양산도.png|width=14%]]]] ||<width=200> [[봉선화(영화)|[[파일:봉선화(김기영).png|width=90%]]]] ||
||<bgcolor=#FFF> {{{#000 죽엄의 상자 (1955)}}} ||<bgcolor=#E2D497> {{{#CC4122 양산도(1955)}}} || {{{#F01617 봉선화 (1956)}}} ||
||<width=200><bgcolor=#C0B07E,#191919>  [[여성전선|[[파일:여성전선.png|width=15%]]]] ||<width=200><bgcolor=#EBE1C6,#191919> [[황혼열차|[[파일:황혼열차.png|width=13%]]]] ||<width=200> [[초설|[[파일:초설.png|width=85%]]]] ||
||<bgcolor=#C0B07E> {{{#C53B1A 여성전선 (1957)}}} ||<bgcolor=#EBE1C6> {{{#D1512C 황혼열차 (1957)}}} || {{{#FFF 초설 (1958)}}} ||
||<width=200> [[슬픈 목가|[[파일:슬픈목가.png|width=100%]]]] ||<width=200><bgcolor=#587A2D,#191919> [[10대의 반항|[[파일:10대의반항.png|width=13%]]]] ||<width=200><bgcolor=#85B07B,#191919> [[하녀(1960)|[[파일:하녀(김기영).png|width=90%]]]] ||
|| {{{#FFF 슬픈 목가 (1959)}}} ||<bgcolor=#587A2D> {{{#!html <span style="text-shadow: 1px 0px #FFF, 0px 1px #FFF, -1px 0px #FFF, 0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color:#A63E31">10대의 반항 (1959)</span>}}} ||<bgcolor=#85B07B> {{{#FFF 하녀 (1960)}}} ||
||<width=200><bgcolor=#DCCFA5,#191919> [[현해탄은 알고 있다|[[파일:현해탄은알고있다.png|width=100%]]]] ||<width=200><bgcolor=#FFF,#191919> [[고려장(영화)|[[파일:고려장.png|width=10%]]]] ||<width=200><bgcolor=#D7CB99,#191919> [[아스팔트(영화)|[[파일:아스팔트(김기영).png|width=100%]]]] ||
||<bgcolor=#DCCFA5> {{{#508446 현해탄은 알고 있다 (1961)}}} ||<bgcolor=#FFF> {{{#253C42 고려장 (1963)}}} ||<bgcolor=#D7CB99> {{{#C5444F 아스팔트 (1964)}}} ||
||<width=200><bgcolor=#D9C7A3,#191919> [[병사는 죽어서 말한다|[[파일:병사는죽어서말한다.png|width=100%]]]] ||<width=200><bgcolor=#383A2C,#191919> [[여(영화)|[[파일:여(김기영).png|width=45%]]]] ||<width=200> [[렌의 애가|[[파일:렌의애가.png|width=100%]]]] ||
||<bgcolor=#D9C7A3> {{{#2D3D33 병사는 죽어서 말한다 (1966)}}} ||<bgcolor=#383A2C> {{{#E1B3A6 여 (1968)}}} || {{{#FFF 렌의 애가 (1969)}}} ||
||<width=200><bgcolor=#373C36> [[미녀 홍낭자|[[파일:미녀홍낭자.png|width=95%]]]] ||<width=200> [[화녀|[[파일:화녀.png|width=90%]]]] ||<width=200><bgcolor=#FFFFFF,#191919> [[충녀|[[파일:충녀.png|width=95%]]]] ||
||<bgcolor=#373C36> {{{#!html <span style="text-shadow: 1px 0px #52A3C0, 0px 1px #52A3C0, -1px 0px #52A3C0, 0px -1px #52A3C0, 1px 1px #52A3C0, 1px -1px #52A3C0, -1px -1px #52A3C0, -1px 1px #52A3C0; color:#D4BF52"> 미녀</span>}}} {{{#D4BF52 홍낭자 (1969)}}} || {{{#FFF 화녀 (1970)}}} ||<bgcolor=#FFFFFF> {{{#000 충녀 (1972)}}} ||
||<width=200><bgcolor=#47221A,#191919> [[파계#s-3|[[파일:파계.png|width=100%]]]] ||<width=200> [[육체의 약속|[[파일:육체의약속.png|width=100%]]]] ||<width=200><bgcolor=#E0D9C7,#191919> [[혈육애|[[파일:혈육애.png|width=100%]]]] ||
||<bgcolor=#47221A> {{{#!html <span style="text-shadow: 1px 0px #FFF, 0px 1px #FFF, -1px 0px #FFF, 0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color:#C62C18"> 파계 (1974)</span>}}} || {{{#!html <span style="text-shadow: 1px 0px #FFF, 0px 1px #FFF, -1px 0px #FFF, 0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color:#DA2236"> 육체의 약속 (1975)</span>}}} ||<bgcolor=#E0D9C7> {{{#C75D49 혈육애 (1976)}}} ||
||<width=200> [[이어도(동음이의어)#s-1|[[파일:이어도(김기영).png|width=15%]]]] ||<width=200><bgcolor=#BB3927,#191919> [[살인나비를 쫓는 여자|[[파일:살인나비를쫓는여자.png|width=100%]]]] ||<width=200><bgcolor=#D6CEB2,#191919> [[흙(영화)|[[파일:흙(김기영).png|width=30%]]]] ||
|| {{{#!html <span style="text-shadow: 1px 0px #FFF, 0px 1px #FFF, -1px 0px #FFF, 0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color:#008480"> 이어도 (1977)</span>}}} ||<bgcolor=#BB3927> {{{#FFF 살인나비를 쫓는 여자 (1978)}}} ||<bgcolor=#D6CEB2> {{{#5E4D49 흙 (1978)}}} ||
||<width=200><bgcolor=#D4D3B7,#191919> [[수녀(영화)|[[파일:수녀(김기영).png|width=90%]]]] ||<width=200><bgcolor=#CFC8AC,#191919> [[느미|[[파일:느미.png|width=100%]]]] ||<width=200><bgcolor=#E7DED9,#191919> [[반금련(영화)|[[파일:반금련.png|width=100%]]]] ||
||<bgcolor=#D4D3B7> {{{#BE0402 수녀 (1979)}}} ||<bgcolor=#CFC8AC> {{{#C54F5F 느미 (1979)}}} ||<bgcolor=#E7DED9> {{{#BC1D31 반금련 (1981)}}} ||
||<width=200><bgcolor=#2D3661,#191919> [[화녀 '82|[[파일:화녀82.png|width=85%]]]] ||<width=200><bgcolor=#C03683,#191919> [[자유처녀|[[파일:자유처녀.png|width=100%]]]] ||<width=200> [[바보사냥|[[파일:바보사냥.png|width=100%]]]] ||
||<bgcolor=#2D3661> {{{#AF3753 화녀}}} {{{#D19AA0 '}}}{{{#8BB9B7 82}}} {{{#D19AA0 (1982)}}} ||<bgcolor=#C03683> {{{#1E256F 자유처녀 (1982)}}} || {{{#!html <span style="text-shadow: 1px 0px #FFF, 0px 1px #FFF, -1px 0px #FFF, 0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color:#AF1829"> 바보사냥 (1984)</span>}}} ||
||<width=200><bgcolor=#151424,#191919> [[육식동물(영화)|[[파일:육식동물.png|width=100%]]]] ||<width=200> [[죽어도 좋은 경험|[[파일:죽어도좋은경험천사여악녀가되라.png|width=100%]]]] ||<|2> [[김기영(1919)|[[파일:김기영서명.png|width=25%]]]] ||
||<bgcolor=#151424> {{{#!html <span style="text-shadow: 1px 0px #FFF, 0px 1px #FFF, -1px 0px #FFF, 0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color:#EE241A"> 육식동물 (1984)</span>}}} || {{{#B797C8 죽어도 좋은 경험}}}{{{#FFF (천사여 악녀가 되라) (1990)}}} ||
||<-3><height=20><bgcolor=#181818> '''[[https://www.kmdb.or.kr/db/per/00004686/filmo#divFilmo|{{{#ffffff {{{+1 상세정보 링크 열기}}}}}}]]''' ||

하녀 시리즈
{{{#!wiki style="text-align: center; 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wiki style="color: #FFFFFF;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하녀
김기영 1960/11/03
화녀
김기영 1971/04/01
충녀
김기영 1972/10/06
수녀
김기영 1979/04/21
육식동물
김기영 1985/03/23
하녀
임상수 2010/05/13
}}}}}}}}}

1972년 국산 1위 흥행 영화
1971년
화녀
1972년
충녀
1973년
이별[1]
<colbgcolor=#2F141A,#010101><colcolor=#EEE> 충녀 (1972)
蟲女
김기영관 개관 기념 특별전 포스터 ▼
장르 로맨스, 스릴러
감독 김기영
각본 김기영
제작 한진섭
원작 김승옥
주연 윤여정, 남궁원, 전계현
촬영 정일성
음악 한상기
제작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립물산주식회사
배급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림필름
개봉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72년 10월 6일
화면비 2.35 : 1
상영 시간 120분
상영 등급 파일:영등위_18세이상_2021.svg 청소년 관람불가

1. 개요2. 등장인물3. 줄거리4. 여담

[Clearfix]

1. 개요

김기영 감독의 X녀 시리즈 중 세번째 작품으로, 이전의 하녀와 화녀와는 조금 다른 이색적인 플롯이 특징이다. 전 해에 흥행에 성공한 화녀의 여세를 몰아 제작되었고 2년 연속 최다 관객 동원 기록을 세우며[4] 흥행에 성공하였다. 이후 1984년에 재각색한 육식동물이 상영되었으나 흥행에는 처참하게 실패하였다. 액자식 구성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2. 등장인물

3. 줄거리

명자는 고등학생이지만 명자의 가정은 아들을 대학에 보내겠다는 생각으로 명자를 호스티스로 취직시킨다. 명자가 취직한 곳에서는 명자와 동식을 연결시켜주었고 동식은 명자를 겁탈한다. 동식은 자기가 가정에 처한 위상을 말하며 자기의 첩이 되어달라고 한다.

그러나 동식과 명자의 불륜은 정숙에게 들키게 되었으며, 정숙은 다음의 조건으로 동식과 명자의 불륜을 허락한다.
첫째, 하루를 반으로 쪼개 밤 12시에는 돌려보낼 것.
둘째, 체중 70 혈압 130을 유지할 것, 이를 위해 생활을 통제하고 하루마다 보고를 할 것.
셋째, 10만원씩 보낼 테니 계산서와 영수증을 줄 것.
이라는 황당한 조건으로 첩살이를 허락한다.

명자는 아이를 갖기를 바랬으나 이를 눈치챈 정숙은 동식에게 수면제를 먹이곤 강제로 정관수술을 시켜 자식을 갖지 못하게 한다.

이런 생활을 위로하기 위해 동식은 아이를 입양하여 기르지만 냉장고에서 얼어 죽으며 이를 안 동식은 명자와 헤어지려고 하나 명자가 동식을 죽이며 영화는 끝이 난다.

4. 여담

화녀보다도 당대 청년 문화, 나아가 세대 문제가 강하게 반영된 편이라는 평이 많다.

상태가 좋지 않은 상영용 프린트로만 남아서 복원에 난항을 겪고 있다고 한다.

유튜브에 무료공개되었다.


[1] 증언이 1973년 촬영작임을 들어 흥행 1위라는 말이 있기도 하나, 증언의 개봉일은 1974년 1월 1일이다. [2] 영화가 상영될 당시의 포스터는 사라지고 없다. 위 이미지는 당시 신문광고. [3] 2018년 11월 15일 CGV 명동역 씨네라이브러리 '김기영관' 개관 기념 특별전인 '김기영 마스터피스 특별전-욕망의 해부학' 상영 포스터 [4] KBS 다큐 채널에 올라온 김기영 다큐에 나온 자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