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3 11:11:38

총독(중국)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총독

1. 개요2. 역사3. 관할4. 중화제국의 총독을 지낸 실존 인물5. 관련글

[clearfix]

1. 개요

總督

전근대 중국의 지방 최고 통치 관직. 식민지를 통치하는 총독부 총독의 어원이다. 영어로는 viceroy로 번역된다.[1]

2. 역사

명나라, 청나라 시대에는 성(省) 안의 업무를 총괄하는 최고 지방관 직책이었다. 비슷한 직으로 순무(巡撫)가 있는데 순무는 성내의 관리의 감사, 재정 등을 맡는 직책이었고, 총독은 이러한 권한 + 성내의 최고 결정권과 군권도 가지고 있어 순무와 비교할 때 품계가 한등급 높으나 관할권한이 비슷한 지방행정에서 막강한 직책이었다. 면적도 총독은 2-3개의 성을 총괄하였고. 순무는 1개 성을 관할했다. 현대 한국으로 치자면 도지사 사령관 혹은 미국 주지사 주방위군 사령관격의 관직이지만 여러 , 를 총관하는 보다 더 광범위하고 강력한 직위이다. 총독 직책이 신설된 명나라 초기에는 고정된 지방관리의 역할이 아니라 황제가 직속으로 지방에 파견, 상주시킨 감찰관의 역할을 담당했으나, 점차 상설 관직으로 편제되어 기존에 존재했던 지방관리 체계의 맨 위에서 군림하는 최고위 지방관리로 역할이 바뀌었다. (한 ~ 삼국시대 때의 자사(刺史) 또한 원래는 감찰관이었다가 결국 최고위 지방관이 되었는데, 총독 또한 정확히 같은 변천 과정을 밟았다.)

다만 명나라 때에 비해 청나라의 총독은 권한이 상대적으로 약해졌다. 각지의 주방팔기의 지휘권을 맡는 장군을 총독과는 별개로 종1품 직위(대규모 주방의 장군은 정1품)로 내려보냈고, 또 별도로 녹영을 통할하는 제독(종1품)도 따로 두었기 때문에 녹영 일부의 군권만 가진 총독이 지방행정에서 주방팔기의 협조 없이 일처리를 하기가 매우 어려웠기 때문이다. 그리고 요직에는 민인 출신 한인보다는 만주족 기인 위주로 총독 인선이 이뤄졌다.[2]

3. 관할

청나라 시기 총독은 다음과 같았다. 총독의 직함은 관할지역의 앞글자를 따서 붙였다.
조정이 위치한 직례성과 인접한 산서, 산동, 하남에는 총독을 두지 않았다. 또한 몽골 티베트 같은 지역은 총독과 순무를 두지 않고 암반(ᠠᠮᠪᠠᠨ)이라는 관리를 파견했는데, 티베트 지역은 분리주의까진 아니지만 상당히 독립적으로 움직였기 때문에 사실상 오늘날 국제외교에서의 특명전권대사나 다름없는 자리였다. 다만 성격 까탈스러운(...) 옹정제는 총독이나 순무의 일처리가 답답하다 싶으면 이들의 관할 구역을 과감히 쪼개거나 합병하여 믿을만한 심복 측근을 파견해 부임시키기도 했다. 그 예로 하남순무에서 총독으로 승진하더니 산동총독까지 겸하게 된 전문경, 절강순무에서 민절총독의 관할구역을 분할한 절강총독으로 승진하고 훗날 직례총독에까지 오른 이위, 운귀에다 광서성까지 관장하는 운귀광총독에 오른 시린기오로 오르타이 등이 있다. 호광성이 호남성 호북성으로 분리된 것도 옹정제 즉위 직후의 일이었다. 건륭제 역시 준가르와 전쟁을 하던 시기에는 '천섬총독'을 신설하여 사천 섬서, 감숙을 모두 관장하게끔 했다.

또 특이한 점으로는, 순무의 상위호환에 가까운 지방장관으로서의 총독 직책과 별개로 황하, 장강 치수사업을 담당하는 하도총독, (주로 대운하에서의) 조운사업을 담당하는 조운총독 등 직책별로도 총독직을 운용했다. 이들은 자연재해라도 났다 하면 가장 먼저 탈탈 털리고 감방에 처넣어지거나 처형되는 수도 있는 막중한 책임의 관직이었기에 보통의 무장이나 문관도 아니고 각 분야의 노련한 기술관료 전문가 중에서 주로 선발했지만, 중국의 여느 벼슬자리가 그렇듯이 나라의 기강이 해이해지면 특유의 전문성 덕에 외부인이 쉬이 개입하지도 못하는 터라 매관매직, 부정부패의 온상이 되기도 했다.

총독은 명목상 병부 소속인데, 일단 총독의 정식관명은 도찰원 우도어사(종1품) 겸 총독(정2품)인데 여기에 종1품의 병부상서를 가관하기도 하였다. 군기처 상설화 후에는 군기대신에 뽑히기도 했다.

4. 중화제국의 총독을 지낸 실존 인물

5. 관련글


[1] 직함이 관할구역에 해당하는 성의 약칭이나 머릿글자를 따온 합성어일 경우 각 약칭을 하이픈으로 연결해 나타낸다.(예: Viceroy of Min-Zhe, 민절총독) 그러나 이 같은 형태의 합성어가 아닐 때는 붙여서 한 단어로 표기한다.(예: Viceroy of Liangjiang, 양강총독) 또한 청 말기에 신설된 동삼성총독은 직함을 의역해 'Viceroy of Three Eastern Provinces로 번역한다. [2] 수도가 있는 직례나 부유한 양강 같은 요직을 독차지한건 아니었다. 그 쪽에는 오히려 문관 출신 한인들이 많이 임명되었다. 이러한 차별적 인선의 가장 큰 원인은 아무래도 군사적 긴장. 예를 들면 옹정제 연간에 묘족의 반란이 일어나자 한인들도 심심찮게 보직되던 운귀 지역에 오르타이가 보내졌고, 준가르, 티베트와의 최전선 지역이었던 섬서, 감숙, 사천 지역은 연갱요를 따라 최전선에서 싸웠던 악종기 같은 몇몇 일부 사례를 제외하면 강건성세 내내 기인들이 보직되었다. 다만 육전이 주를 이룬 남부 지역이나 서북지역과 달리 절민 지역이 분할 보직된 복건 절강에는 기인보다는 대만 섬 동녕 왕국 견제하기 위해 해당 지역 지리에 밝은 한인들 중에서 총독 인선이 이뤄졌다. [3] 1648년( 순치 5년) ~ 1669년( 강희 8년) 直隸山東河南總督 [4] 장쑤성과 안후이성이 분리되기 전의 강남성과 장시성의 두 성을 의미. [5] 푸젠성의 별칭이자 오대십국 시기 이 지역에 존재했던 나라. [6] 본래 푸젠성 관할이었다가 1885년에 푸젠성에서 분리되었지만, 민절총독의 직함이나 관할지역은 변하지 않았다. 이후 시모노세키 조약으로 대만성이 일본에 넘어가면서 관할지역이 축소되었다. [7] 후난성과 후베이성이 분리되기 전의 호광성에서 유래 [8] 1882년 신설되면서 섬감총독의 관할지역으로 지정되었다. [9] 만주 지역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75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75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