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12 21:51:38

챗GPT 거대한 전환

챗GPT 거대한 전환
파일:챗GPT거대한전환.jpg
<colbgcolor=#E25381> 저자 김수민, 백선환
ISBN 9788925576756
쪽수 408쪽
출판사 알에이치코리아
국내 출간일 2023.03.30.
장르 경제경영 서적
구매링크 YES24

1. 개요2. 내용
2.1. 1부 - 챗GPT, 생성형 AI의 시대를 열다
2.1.1. 1장 - 대세가 된 챗GPT2.1.2. 2장 - 차근차근 이해하는 챗GPT 배경 기술
2.2. 2부 - AI 전쟁의 승자는 누가 될 것인가
2.2.1. 3장 - 2023년은 AI 전쟁의 원년2.2.2. 4장 - 챗GPT로 누가 돈을 벌 것인가?2.2.3. 5장 - 한국 AI 사장과 주요 기업
2.3. 3부 - 생성형 AI가 바꾸는 미래
2.3.1. 6장 - 생성형 AI 글로벌 서비스2.3.2. 7장 - 산업과 시장의 지각변동2.3.3. 8장 - 생성형 AI로 더 강력해지려는 기업들
2.4. 4부 - 챗GPT의 한계와 도전
2.4.1. 9장 - 챗GPT의 한계2.4.2. 10장: 챗GPT와 생성형 AI가 나아갈 길
3. 여담

[clearfix]

1. 개요

2020년대 들어 유행하는 AI 기술인 ChatGPT를 다룬 서적. 저자는 김수민, 백선환. 본 책은 ChatGPT가 가져오는 세상의 변화와, 이를 포착하려는 기업의 생성형 AI 서비스를 다룬 책이다.

2. 내용

스마트폰이 없는 삶을 한번 상상해보라. 길 찾기부터 은행 업무, 그리고 친구와의 연락이나 음식 주문까지, 스마트폰은 우리 삶의 모든 방식을 크게 바꾸어 놓았다. 챗GPT로 대표되고 있는 생성형 AI는 또 한 번 세상을 완전히 바꿀 것이다. 이를 두고 모든 것이 처음부터 시작한다는 '리셋 모먼트'라 표현하는 사람들도 있다.

2.1. 1부 - 챗GPT, 생성형 AI의 시대를 열다

2.1.1. 1장 - 대세가 된 챗GPT

파일:챗GPT100만돌파.jpg
100만 이용자 돌파 소요 기간

2.1.2. 2장 - 차근차근 이해하는 챗GPT 배경 기술

2.2. 2부 - AI 전쟁의 승자는 누가 될 것인가

2.2.1. 3장 - 2023년은 AI 전쟁의 원년

파일:MS사업부별매출비중.jpg
마이크로소프트 사업부별 매출 비중

2.2.2. 4장 - 챗GPT로 누가 돈을 벌 것인가?

파일:기술의확산곡선.jpg
기술의 확산 곡선과 캐즘

2.2.3. 5장 - 한국 AI 사장과 주요 기업

2.3. 3부 - 생성형 AI가 바꾸는 미래

2.3.1. 6장 - 생성형 AI 글로벌 서비스

2.3.2. 7장 - 산업과 시장의 지각변동

2.3.3. 8장 - 생성형 AI로 더 강력해지려는 기업들

2.4. 4부 - 챗GPT의 한계와 도전

2.4.1. 9장 - 챗GPT의 한계

파일:포브스co2배출량.png }}} ||
AI 모델 학습 과정에서 배출되는 CO2의 양

2.4.2. 10장: 챗GPT와 생성형 AI가 나아갈 길

3. 여담


[1] 이러한 대화 방식을 멀티턴 이라고 부른다 [2] 공교롭게도 지분 전체를 매각할 때 마이크로소프트가 오픈AI에 투자를 하기 시작해, MS와의 파트너십에 반대해 오픈AI를 떠났다는 설도 있다. [3] 대표적인 예시: {{{#!wiki style="margin: -5px -10px; [4] 삼행시를 챗GPT에게 가르치는 게 화제가 된 적이 있는데, 이런게 대표적인 인컨텍스트 러닝의 사례이다. 삼행시 가르치기 [5] 말하자면 키워드를 입력하고, 검색 엔진이 제공하는 웹 페이지 리스트를 훑어, 나에게 필요한 정보를 찾기까지의 과정 [6] 구인의 장이자 동종 업계의 사람들과 교류하는 비즈니스 중심의 SNS [7] 그림을 예로 들면, Innovator와 Early Adopters을 합친 16% [8] 카카오로 예를 들어보면 (1)카카오는 기존의 문자를 모두 무료로 보낼 수 있고, (2)등록이 간단하며 그룹채팅을 처음으로 내세웠고, (3)처음엔 메신저였지만 카카오뱅크, 카카오게임즈 등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면서 (1)~(3)을 충족했다. [9] 창업한지 10년 이하인 비상장 스타트업 중에 기업 가치가 10억 달러 이상으로 평가받는 기업 [10] 스타트업의 투자 단계는 기업의 성장 단계에 따라 시드->시리즈 A->시리즈 B->시리즈 C까지 분류된다. 구체적인 건 그림 참조. {{{#!wiki style="margin: -5px -10px; [11] 한국의 반도체는 메모리 반도체 영역에서 강하지만, AI 반도체는 시스템 반도체의 일종이다. [12] 책에서는 네이버 검색을 예를 들었다. 구글 검색이 한국에 진출했을 때, 구글은 네이버보다 모든 면에서 앞섰음에도, 네이버는 실시간 검색/지식인 등의 소비자의 니즈를 사로잡아 검색량을 증가시켰다. 이러한 검색의 순환 구조가 검색 시장의 지배력을 강화시켰다고. [13] AI 반도체의 절대 강자로 불리는 엔디비아도 인텔과 AMD에 비해 25년가량 늦게 나왔다. [14] 내가 투자한 돈의 열 배 수익을 돌려줄 수 있는 기업. 유튜브나 인스타그램 등이 여기에 속한다. [15] 대표적인 예시: <진주 귀고리를 한 소녀>를 확장시킨 작품 {{{#!wiki style="margin: -5px -10px; [16] {{{#!wiki style="margin: -5px -10px; [17] 이 중 향후에는 의료 및 생명 과학 부문이 가장 높은 성장세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했다. [18] 수정하지 않거나 최소한의 수정만을 거쳐 여러 곳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코드 [19] AI(인공지능)가 맥락과 관련없거나 사실이 아닌 내용을 마치 옳은 답처럼 내놓는 현상 [20]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단기 혹은 일회성 일을 맡아 초단기 노동을 제공하는 근로자 [21] 초당 1000조(!) 번의 수학 연산을 처리하는 단위 [22] 시스템이나 인터페이스가 어떻게 작동할 것인지에 대한 사용자의 기대와 인식 [23] 멘탈 모델을 만족시키지 못한 사례로, 책에서는 윈도우 8의 '시작 버튼 삭제'가 언급된다. [24] 여러개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모델을 구축하는 방법론 [25] 새롭게 출시된 AWS의 서비스나 해외에서 성공적으로 활용되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평가하고 한국에 프로모션하는 역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