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6 09:06:45

진흙쿠키

진흙 쿠키에서 넘어옴
Haitians eat dirt cookies to survive

1. 개요2. 제조법3. 문제점4. 유엔기구의 조사5. 과거의 유사 사례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이름 그대로 진흙으로 만드는 쿠키로, 아이티에서 이전부터 있었지만 2010년의 대지진 이후 주민들이 먹는 모습이 영상에 담기면서 전 세계적으로 유명해졌다.

2. 제조법

제조 방법은 매우 간단한데 진흙을 체에 넣고 흔들어 고운 입자만 걸러낸 것을 에 개어 소금, 버터, 마가린, 밀가루 등을 첨가하고 모양을 빚어서 강한 태양 아래에 말리면 끝이다. 당연한 말이지만 진흙까지 먹는 처지에 위 같은 첨가물은 못 넣는 때도 많은 모양이다. 전술한 것처럼 먹을 수 있는 재료들이 넉넉하다면 진흙 같은 것들을 섞을 것도 없이 그냥 빵이나 과자를 만드는 게 정상적인 선택이다.

3. 문제점

빈말로라도 아예 음식이라고 할 수도 없다. 비슷하게 최빈국에서 못 먹을 재료로 만든 음식들인 꿀꿀이죽 음식물 쓰레기를 주 재료로 해도 어찌됐건 식재료로 만든 것이기 때문에 최소한 음식 맛이라도 나고 영양소가 있으며 소화도 되는 '음식'의 일종이지만, 진흙쿠키는 영양소도, 칼로리도 전혀 없다는 점[1]에서 꿀꿀이죽이나 개 돼지 사료는 커녕 왠만한 나무껍질이나 풀을 뜯어 먹는 것[2]만도 못한, 한마디로 음식의 기본도 갖추지 못한 물질이라는 것이다.

아니, 오히려 신체가 소화 과정에서 소모하는 칼로리까지 계산하면 아예 마이너스이다. 칼로리라 함은 음식을 태워서 나온 열량을 측정하는 기계인 봄 칼로리미터에 넣어 측정하는 것이고 우리 몸이 섭취한 음식에서 실질적으로 흡수하는 열량은 "음식의 칼로리 - 음식의 성분을 내장에서 흡수할 수 있도록 음식을 분해하는 소화작용에 쓰는 칼로리 - 그러고 남은 찌꺼기를 배출할 때 드는 칼로리"이기 때문이다. 일반적인 음식은 대부분 소화에 드는 미량의 에너지보다는 얻는 칼로리가 높기 때문에 문제가 없지만 진흙쿠키는 "음식의 칼로리(0~많아봐야 첨가물에서 비롯하는 고작 수십) - 음식의 성분을 내장에서 흡수할 수 있도록 음식을 분해하는 소화작용에 쓰는 칼로리(무슨 음식을 먹든 고정값) - 그러고 남은 찌꺼기를 배출할 때 드는 칼로리(고정값)"이라서 먹으면 오히려 칼로리를 잃는 기적의 다이어트 식품이다. 위생문제를 제쳐 놓고서라도 당장 주린 배의 고통을 달래기 위해 먹으면 오히려 영양실조를 심화시키는 것을 먹는 그야말로 비참한 상황이다. 당장 왜 다이어트 하는 사람들이 칼로리가 낮거나 없고 포만감만 주는 채소류나 물을 자주 먹는지 생각해 보면 알 수 있다.

에너지가 전무하다는 것뿐 아니라, 섭취 후 질병 기생충 감염으로 인한 사망 등 잠깐의 배고픔을 잊은 대가는 더욱 심한 고통으로 돌아온다. 심지어 열량 없는 식품들은 허기가 제대로 가시지 않으므로[3] 배고픔에서 해방되지도 못한다. 게다가 원재료가 다름아닌 이기 때문에 동물의 배설물 등의 이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수 있으며 말리는 정도로는 병균, 기생충이 죽지 않아서[4] 이를 먹은 아이들의 뱃속엔 기생충이 득실득실하여 복통 설사에 시달릴 수밖에 없다.

온갖 단점에도 불구하고 문서에 자세히 서술되어 있지만 온갖 비타민 등의 영양 성분이 들어 있어 다른 선택지가 없을 때는 흙도 음식으로서의 선택지일 수 있으나, 이런 식으로 얻을 수 있는 영양소는 대부분 무기염류, 즉 열량 공급이 불가능한 것들이다. 비유하자면 자동차의 냉각수 엔진 오일만 갈아줄 뿐 연료통은 비어 있는 상태라는 것이다. 물론 그 갈아주는 엔진 오일과 냉각수도 폐급 불순물투성이기까지 한 상황이고 말이다. 필수 영양소 중에 이런 무기염류가 들어가기도 하지만 일차적인 생명 유지를 위해서는 열량 섭취가 필수 불가결이다. 물론 이런 위험을 최대한 감소하기 위해서 깨끗한 진흙을 쓴다지만 그래봤자 진흙은 진흙이다. # #

그나마 불에 굽는다면 기생충 문제는 어느 정도 해결될지 모르지만 진흙을 불에 구우면 뭐가 되는지 생각해 보자. 과장 안 보태고 도자기 쿠키[5]가 되는 셈이다.

정리하자면, 에너지나 칼로리를 섭취는 커녕 결과적으로 오히려 소모만 하고 위험하기까지 한 무기물을, 그저 이것밖에 당장 먹을 게 없는 상황에서 당장의 허기를 달래기 위해 소화기관에 강제로 쑤셔넣어 어떻게든 포만감만이라도 느끼려는, 식사를 가장한 자학 행위라고 보아야 한다.

이들이 직접 파는 진흙쿠키를 2000년대에 대한민국의 MBC 취재진이 사먹어 보려고 했는데, 입에 넣는 순간 흙이 씹혀서 삼키는 것은 고사하고 더 이상 씹지도 못하고 바로 뱉어 버렸다고 한다.

재료는 진흙 절반에 기름 약간, 밀가루 약간, 소금 약간, 이 정도로 넣고 햇볕에 말린다. 1개당 한국 돈으로 30원 정도지만 2008년에는 그마저도 150원으로 올라 버린 모양이다. 진흙쿠키 말고 그냥 밀가루에 기름, 소금만 넣어 구운 건 한국 돈으로 100원이 넘는데 이건 맛이 없다고 해도 최소한 먹을 수는 있었다.[6] 적십자에서도 맛보기 체험행사를 했는데 체험자들이 아연실색할 정도였다.

한국 취재진이 이런 걸 먹으면 오히려 기생충 등의 문제로 더 위험할 수 있다고 말하자 사가던 어느 현지인 여자가 "잘 안다. 이거 먹고 복통에 시달리고 병에 걸려 죽은 아이들을 많이 봤다. 하지만 이거라도 없으면 먹을 게 없다."라고 슬픈 얼굴로 말했다. 또 다른 다큐멘터리에서는 엄마가 아픈 아이를 병원에 데리고 가서 진료를 받았는데 의사의 처방은 당연히 진흙쿠키를 먹이지 말 것이었다. 그러나 당장의 사정으로는 진흙쿠키밖에 먹일 것이 없다 보니 그거라도 먹지 않으면 굶어 죽으므로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아이에게 또 다시 진흙쿠키를 줄 수밖에 없는 안타까운 내용도 나왔다.

4. 유엔기구의 조사

WFP(유엔 세계식량계획, World Food Programme)가 밝히길[7] 쿠키로 사용되는 진흙은 중앙 부처에서 공급하는 특수한 진흙이며 식량 사정이 좋을 때도 빵처럼 먹는 경우가 있었다고 한다.

사실 아프리카에는 고대로부터 독이나 전염병 감염의 치료제로 흙을 먹던 관습이 널리 퍼져 있다. 프랑스산 몬모릴나이트(점토 광물)는 한 단지에 미화 36달러라고 한다. 다만 의학적 관점으로는 중금속 노출의 위험이 크다고 보는 입장이 지배적이다.
Famine Food Legends #1: Haitian Mud Cakes

5. 과거의 유사 사례

후한 말의 이술 손권에게 반란을 일으켰다가 역관광을 당하고 철저하게 포위된 상황에서 군마를 잡아먹다가, 결국에는 진흙 떡을 먹었다는 기록이 있다.

한편, 함길도(現 함경도)에서도 흉년이 들어[8] 흙을 먹었다는 기록이 실록에 남아 있으며 (세종 5년 3월 13일) 21년 뒤인 세종 26년 4월 24일 황해도에서도 흙을 파먹다 흙이 무너져 2명이 죽었다는 기록도 있다.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수용소군도에는 두 죄수가 석탄더미를 파면서 뭔가 깨물어 본 뒤 검은 덩어리를 먹는 얘기가 나온다. 죄수들 왈, "해양 점토"라면서 몸에 좋지는 않지만 해악도 없다며, 하루 1kg 정도 먹으면 뭐라도 먹은 기분이라나.

6. 관련 문서



[1] 정말 흙만으로 만든 것은 무기물 덩어리니 당연히 열량이 전혀 없지만 어떻게든 모양을 내고 먹기 위해 마가린 등 뭐라도 넣으므로 칼로리가 완전히 0은 아니다. 물론 그래봐야 거기서 거기. [2] 이들은 적어도 섬유질이라는 영양소는 있다. 물론 변비로 고생하긴 하지만 적어도 최소한의 영양을 섭취할 수는 있다는 얘기. [3] 보통 배가 차서 더 먹기 힘든데도 미칠 듯한 허기에 더 먹고 싶은 모순되는 감각이 머릿속을 지배하게 된다. 이는 배가 아무리 차도 정작 몸에 흡수되는 열량은 없다 보니 뇌에서 계속해서 영양을 요구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인데, 먹을 수 없는 솜 같은 걸 먹거나( 미국에서는 솜 다이어트(...)로 여러 사람이 골로 갈 뻔하기도 했다.) 열량이 거의 없는 곤약 등을 먹는 식이요법의 맹점이기도 하다. [4] 회충, 편충 등이 토양 매개성이다. [5] 도자토가 아닌 그냥 점토를 굽는다고 해도 세라믹 형성이 일어난다. 석기시대에도 진흙을 구워 토기를 만들었다. 서바이벌을 다룬 작품에 흔히 나오는 오지그릇이 이런 식이다. [6] 사실 밀가루에 기름과 소금을 섞어서 말리기만 한 것이 개당 100원이라면 한국 물가로도 싼 가격이라고 할 수 없다. 계란에 설탕을 넣어 구운 머랭쿠키가 그 정도 가격이다. 즉, 한국보다 국민 소득이 휠씬 낮은 아이티인데도 오히려 식품의 가격이 더 비싼 수준이다. 게다가 한국은 주요국들 중에서도 식량 가격이 가장 비싼 국가 중 하나이며 특히 저소득 국가들의 물가는 대부분 최소한 고소득 국가들보다는 많이 낮은 것을 감안하면 아이티에서는 생존에 필수적인 수준의 식량마저 사치품 수준의 가격인 셈이다. 아이티가 안고 있는 가장 큰 문제가 인프라가 박살나 아무 것도 없는 것이므로 식품과 생필품을 포함한 모든 것을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데 수출국의 마진에 국제운송비, 관세까지 덕지덕지 붙으니 당연히 생활에 필수적인 것들마저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는다. [7] WFP에서 제작한 이 동영상 시리즈에는 진흙쿠키 외에도 말라위의 쥐 꼬치나 벌레 먹기 같은 것이 포함되어 있다. [8] 당시의 흉년을 다룬 실록의 다른 기사 [9] 죽, 수프, 빵 등의 여러 가지를 섞어 만들 수 있는 음식들의 양을 늘리려는 목적으로 부어넣는다. 홀로코스트를 다룬 만화 에도 유대인들에게 톱밥을 섞어 만든 빵을 줬다는 일화가 나오고 게임 프로스트펑크에서도 식량이 부족할 경우 톱밥을 넣은 수프를 배급할지 결정해야 하는 선택지가 등장한다. 당연한 얘기지만 게임에서나 현실에서나 둘 다 먹은 사람들은 배탈로 고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