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5 07:12:15

제10회 응씨배 세계 프로 바둑 선수권 대회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응씨배 세계 프로 바둑 선수권 대회
,
,
,
,
,
응씨배 세계 프로 바둑 선수권 대회
제9회 응씨배 세계 프로 바둑 선수권 대회
제10회 응씨배 세계 프로 바둑 선수권 대회
제11회 응씨배 세계 프로 바둑 선수권 대회
우승
신진서 이치리키 료 미정
1. 개요2. 대회 진행 방식3. 예선4. 본선
4.1. 56강4.2. 28강4.3. 16강4.4. 8강4.5. 4강4.6. 결승

1. 개요

2024년 개최되는 응씨배 세계 프로 바둑 선수권 대회. 지난 9회 대회가 코로나 19 여파로 인해 이번 10회 대회 개최년도의 전년도인 2023년에 결승이 치러지고 바로 다음 해에 10회 대회가 열리게 됐다.

2. 대회 진행 방식

3. 예선

4. 본선

제10회 응씨배 세계 프로 바둑 선수권 대회 출전 선수 명단
국가 출전 선수 (선수명의 굵은 글씨는 16강 부터 시작)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전기 시드 신진서(전기 우승)
국가시드 변상일( 세계대회 우승)
박정환, 신민준, 김명훈(랭킹시드)
박건호, 원성진, 안국현, 이지현(국가대표 상비군 시드)
선발전
통과자
김진휘, 홍성지, 한승주(남자조 통과자)
김은지(여자조 통과자)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전기 시드 셰커(전기 준우승)
국가시드 구쯔하오, 딩하오, 커제, 미위팅, 당이페이, 리쉬안하오,
왕싱하오, 쉬자양, 랴오위안허, 황밍위, 류위항, 셰얼하오
선발전
통과자
리친청, 양딩신, 펑리야오,
양카이원, 투샤오위, 자오천위(남자조 통과자)
탕자원(여자조 통과자)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이치리키 료, 시바노 도라마루, 이야마 유타, 쉬자위안,
위정치, 야마시타 게이고, 세키 고타로, 모토키 가쓰야,
사다 아쓰시, 히로세 유이치, 우에노 아사미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
쉬하오훙, 라이쥔푸, 왕위안쥔, 쉬징언, 샤오정하오,
천치루이, 젠징팅, 루이취엔, 루위화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알렉산더 치, 리리옌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안드리 크라벳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페이트라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마테우스 수르마

4.1. 56강

56강 (2024년 4월 20일)
파일:중국 국기.svg 셰얼하오 289수 흑 불계승 마테우스 수르마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쉬하오훙 285수 백 6집반승 안국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미위팅 308수 백 6집반승 세키 고타로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펑리야오 256수 백 불계승 위정치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천치루이 106수 백 불계승 박정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루위화 236수 백 불계승 우에노 아사미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당이페이 304수 흑 11집반승 야마시타 게이고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쉬징언 224수 백 반집승 김진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젠징팅 177수 흑 불계승 이야마 유타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탕자원 196수 백 불계승 원성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샤오정하오 129수 흑 불계승 페이트라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리친청 282수 백 불계승 모토키 가쓰야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양카이원 247수 흑 불계승 홍성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랴오위안허 202수 백 불계승 박건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황밍위 -수 - 승 안드리 크라벳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라이쥔푸 244수 백 불계승 신민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자오천위 227수 흑 불계승 변상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커제 248수 백 불계승 김명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왕위안쥔 228수 백 불계승 이치리키 료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투샤오위 203수 흑 불계승 한승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쉬자양 157수 흑 불계승 쉬자위안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딩하오 198수 백 불계승 히로세 유이치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류위항 160수 백 불계승 리리옌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양딩신 263수 흑 불계승 시바노 도라마루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왕싱하오 359수 백 1집반승 이지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구쯔하오 221수 흑 불계승 김은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루이취엔 -수 - 승 알렉산더 치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리쉬안하오 297수 백 2집반승 사다 아쓰시 파일:일본 국기.svg

4.2. 28강

28강 (2024년 4월 21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변상일 205수 흑 불계승 커제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은지 164수 백 불계승 왕싱하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민준 150수 백 불계승 황밍위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원성진 120수 백 불계승 이야마 유타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진휘 327수 백 4집반승 야마시타 게이고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정환 282수 백 반집승 우에노 아사미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이치리키 료 176수 백 불계승 투샤오위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세키 고타로 117수 흑 불계승 펑리야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쉬하오훙 283수 흑 불계승 셰얼하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샤오정하오 204수 백 불계승 리친청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루이취엔 154수 백 불계승 리쉬안하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양카이원 168수 백 불계승 랴오위안허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쉬자양 216수 백 불계승 딩하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류위항 233수 흑 불계승 양딩신 파일:중국 국기.svg

4.3. 16강

16강 (2024년 7월 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 180수 백 불계승 왕싱하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민준 152수 백 불계승 커제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정환 201수 흑 불계승 쉬자양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원성진 223수 흑 불계승 리쉬안하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진휘 331수 백 6집반승 셰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이치리키 료 225수 흑 불계승 류위항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쉬하오훙 209수 흑 불계승 펑리야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랴오위안허 313수 흑 2집반승 리친청 파일:중국 국기.svg

4.4. 8강

8강 (2024년 7월 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원성진 276수 백 불계승 셰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이치리키 료 305수 흑 반집승 쉬자양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쉬하오훙 325수 백 반집승 리친청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커제 185수 흑 불계승 왕싱하오 파일:중국 국기.svg

4.5. 4강

파일:중국 국기.svg 커제 1 2 이치리키 료 파일:일본 국기.svg
{{{#!wiki style="margin: -16px -11px ;" 대국 일정
흑번
백번
결과
1국 2024년 7월 6일 이치리키 커제 144수 백 불계승
2국 2024년 7월 8일 커제 이치리키 352수 백 2집반승
3국 2024년 7월 9일 커제 이치리키 200수 백 불계승 }}}

파일:중국 국기.svg 셰커 2 0 쉬하오훙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wiki style="margin: -16px -11px ;" 대국 일정
흑번
백번
결과
1국 2024년 7월 6일 쉬하오훙 셰커 262수 백 불계승
2국 2024년 7월 8일 셰커 쉬하오훙 203수 흑 불계승
3국 2024년 7월 9일 2:0으로 종료되어 해당 사항 없음 }}}

준결승 3번기에서 중국의 셰커는 대만의 쉬하오훙에게 2연승을 거두며 결승에 진출했으며, 반대조에서는 일본의 이치리키 료가 커제에게 1패 후 2연승으로 결승에 진출하는 파란을 일으켰다. 2국에서 커제에게 2집반을 남기고 승리를 거둔 이치리키 료는 3국에서는 커제의 대마를 잡는 압승을 거두어 결승에 진출했다. 일본은 22회 LG배 이야마 유타 이후 7년 만에 메이저 세계대회 결승 진출자를 배출하게 됐다. 그리고 1996년 3회 대회 요다 노리모토 이후 28년 만에 일본기사가 응씨배 결승 무대에 오르게 됐다.

4.6. 결승

제10회 응씨배 세계 프로 바둑 선수권 대회 결승 5번기
파일:중국 국기.svg 셰커 0 3 이치리키 료 파일:일본 국기.svg
{{{#!wiki style="margin: -16px -11px ;" 대국 일정
흑번
백번
결과
1국 2024년 8월 12일 이치리키 료 셰커 341수 흑 1점 승[12]
2국 2024년 8월 14일 셰커 이치리키 료 260수 백 9점 승[13]
3국 2024년 9월 8일 이치리키 료 셰커 237수 흑 불계승[14]
4국 2024년 9월 10일 3:0 으로 종료되어 해당 사항 없음
5국 2024년 9월 12일
우승 파일:일본 국기.svg 이치리키 료 九단 (응씨배 첫 우승, 생애 첫 메이저 세계대회 우승) }}}

제10회 응씨배 결승은 응씨배 사상 첫 중일전 결승으로 성사되었다. 전기 대회에서 신진서에게 준우승을 하고 다시 한 번 결승에 올라 응씨배 우승에 재도전하는 셰커와 일본 역대 세 번째 응씨배 결승 진출자가 된 이치리키 료의 5번기 승부로 펼쳐지게 됐다. 셰커가 지난 대회의 한을 풀지, 아니면 이치리키 료가 일본에 오랜만에 세계대회 우승 트로피를 안겨줄지 주목되는 시리즈이다.

[1] 이를 환산하면 기본시간 초과시 벌점을 대가로 부여되는 추가시간은 2시간 대국은 20분, 2시간 30분 대국은 25분, 결승은 35분의 추가시간이 주어진다. [2] 오유진 시간 패널티 1회(2점 공제) [3] 양 선수 모두 시간 패널티 3회(각 6점 공제) [4] 오유진 시간 패널티 2회(4점 공제) [5] 신진서는 전기 우승 시드를 받아 16강에서부터 시작한다. [6] '바둑메카 의정부' 외국인 선수 [7] '고려아연' 외국인 선수 [8] 그동안 9번의 대회에서 한국은 9번 모두 결승 진출자를 배출했고 우승 6번,준우승 3번을 기록하였다. 심지어 6회 대회땐 아직까지도 유일한 결승 내전을 만든 국가이다.(최철한vs이창호) 그 정도로 압도적이었던 한국이 4강도 아니고 8강에서 전멸당하고 만 것이다. [9] 응씨배 창설 이전 한국은 일본과 중국에 한참 밀리는 바둑 변방으로 분류되었으나(당장 응씨배 1회 대회때 한국의 시드는 고작 1장이였다. 그리고 그 1장의 시드로 출전한 조훈현이 우승했다.) 응씨배에서의 압도적인 성적으로 인해 오랜 기간동안 바둑 최강국으로 이름을 떨쳤다. 하지만 2010년대부터 중국에 비해 점점 밀리는 선수층 등의 문제와 다른 국가(일본,대만)의 약진으로 인해 최악의 결과가 나오게 되었다. [A] 제5회 응씨배 준우승, 제6회 응씨배 우승자 [11] 3~5국은 본래 10월 열릴 예정이었는데 앞당겨졌다. [12] 이치리키가 계가로 3점 앞섰지만 제한 시간을 한 번 넘기며 벌점 2점 감점. [13] 이치리키가 계가로 13점 앞섰지만 제한 시간을 두 차례 넘기며 벌점 4점 감점. [14] 시간 초과로 이치리키 료 벌점 4점, 셰커 벌점 2점 부여. [지연] 오후 1시부터 지연 중계 [A] [17] 이날 중계 한 바둑TV에서는 해당 바둑의 수순을 받아서 착수한 사람들이 직접 한국식 계가를 했다. [18] 이 대국 전 까지 4전 전패였다. [지연] [A] [21] 계산으로 12집 차이난다. 다만 중국-응씨룰은 백은 반집승, 2집반승 이렇게만 가기 때문에 7집반을 남겼을 경우 9점(8집반)으로 처리된다. 흑은 1집반, 3집반... 이렇게 올라가서 흑1점, 흑3점 이런 식으로 이길 수 있다. [22] 응씨배 결승 일정이 당겨지며, 농심배 4국과 같은 날에 열리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