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6 01:02:07

제츠보다 메루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0px; color:#fff;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52d7c , #f7c8dc); word-break:keep-all"
파일:너를 너무너무너무너무 좋아하는 100명의 그녀 애니 한글 로고.png
''''''
{{{#d52d7c {{{#!folding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아이죠 렌타로
하나조노 하카리 인다 카라네 요시모토 시즈카 에이아이 나노 야쿠젠 쿠스리
하나조노 하하리 하라가 쿠루미 스토 이쿠
카쿠레 메메 이인 치요 야마토 나데시코 야사시키 야마메 모미 모미지
야쿠젠 야쿠 토로토로 키시카 케다루이 아시 나카지 우토 메이도 마이
본노지 모모하 바이오 린 히후미 스우 카호 에이라 네코나리 타마
사이키 히메카 데이 마츠리 우사미 시이나 제츠보다 메루
}}}}}}}}}}}} ||

<colbgcolor=#555869><colcolor=#B3B8D5> 제츠보다 메루
[ruby(雪房田, ruby=ぜつぼうだ)] [ruby(夢留, ruby=める)] | Zetsubouda Meru
파일:1717152525.jpg
성별 여성
생일 -
나이 15~16세
소속 오하나노미츠대학 부속고등학교 1학년 6반[1]
렌타로 패밀리
가족관계 -
첫 등장 177화

1. 개요2. 특징3. 외모4. 작중 행적5. 인간 관계6. 기타7.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ruby(雪房田, ruby=ぜつぼうだ)] [ruby(夢留, ruby=める)][2]

너를 너무너무너무너무 좋아하는 100명의 그녀의 등장인물. 주인공 아이죠 렌타로가 만난 스물아홉 번째 여친이다.

2. 특징

힘든 어린 시절을 뼈저리게 경험했기에 염세주의에 빠져 절망을 자주 언급하고 외양도 그런 분위기를 풍기지만, 비록 자기 자신이 절망에 빠졌을지라도 다른 사람의 희망만큼은 지켜주고 싶어할 만큼 렌타로가 평가하는 대로 삶의 희망을 포기하지 않는 강인한 정신력을 보여주는 인물이다. 처음에는 이런 절망 속에서 세상을 헤쳐나갈 수 있는 방법이 메르헨뿐이라고 생각했지만, 렌타로 덕에 사랑으로도 세상을 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며 정신적으로도 성장한다. 절망을 자주 언급하는 점만 제외한다면 정상인 라인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작가로서의 재능도 상당히 뛰어난 편으로, 렌타로마저도 최근에 유행하던 메르헨 동화의 작가라는 것을 알고 놀랐을 정도였다.

3. 외모

파일:제츠보다 메루 캐디.jpg
디자인 설정화

특유의 죽은 눈과 긴머리로 인해 부정적인 인상을 풍기지만 빵모자 하나 쓴 것만으로 전형적인 작가 캐릭터 같은 인상으로 변했다.
파일:100여친 177화 메루 과거 모습.jpg
과거 모습

어릴 적에는 작중 다른 캐릭터들처럼 눈의 동공에 세잎클로버 같은 모양으로 안광이 있었으나, 지나치게 절망한 탓에 현재 시점에서는 완전히 광채가 사라진 죽은 눈 상태다.

4. 작중 행적

파일:100여친 177화 29번째 찌리릿.jpg

177화에서 첫 등장. 방과후에 계단을 올라가던 중, 옥상으로 가는 자신의 모습을 의아하게 여긴 렌타로와 옥상에서 찌릿 하게 된다. 난간을 붙잡은 채 자신은 세상에 절망하고 있다고 설명하는데, 불안해진 렌타로는 세상에 꿈과 희망도 있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최근 화제가 된 그림책을 언급한다. 그런데 그 책의 작가가 다름 아닌 메루 본인이었다.[3]

자신이 세상에 절망하면서도 메르헨 창작을 하게 된 계기를 밝히는데 어릴 적에는 순수하게 사람을 돕는 희망찬 아이였으나, 성장하면서 괴롭힘을 당하기도 하고, 세상의 더러운 면을 알게 되면서 좀 더 사람을 돕기 위해서는 세상의 불행을 알아야 한다고 생각하여 열심히 온갖 불행한 사례들을 조사한 결과, "이 세상은 글러먹었다."라는 결론에 도달하며 절망에 빠지게 되었다. 하지만 그럼에도 순수하게 막 싹트기 시작한 아이들의 자아에 희망찬 길을 제시해 주겠다는 결심으로 동화를 직접 만들게 된 것. 설명을 마친 후 렌타로에게 작별 인사를 전하고 자리를 뜨려 하는데, 렌타로는 세상을 구하는 것은 메르헨뿐 아니라 '사랑'이라는 감정도 있다고 말을 꺼낸다.
파일:100여친 177화 고백.jpg

감명받은 메루는 렌타로에게 고백한다. 그 후에 렌타로가 뛰어내리지 말아달라고 부탁하자 처음부터 딱히 그럴 생각은 없었다며 그저 옥상에 올라와 풍경을 보면 그림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그랬다고 하며, 설령 자신이 죽는다 해도 그것은 세계를 동화로 구제하거나 동화에게 삶을 인정받았을 때라는 말을 한다. 그걸 본 렌타로가 '부정적이지만 멘탈은 왠지 강인했다'라며 마무리.

178화에서는 패밀리에 소개되며 인사를 올린다.

5. 인간 관계

6. 기타

7. 관련 문서



[1] 사이키 히메카와 같은 반. [2] 이름의 유래는 절망([ruby(絶望, ruby=ぜつぼう)], 제츠보우)+안돼(ダメ, 다메) 혹은 모으다(溜める, 타메루)+ 메르헨(メルヘン). 또한 이름의 한자를 해석하면 꿈이(夢) 머무른다(留)는 의미가 된다. [3] 그와 동시에 어제 바람에 날아갔다던 빵모자가 그녀의 머리에 자연스럽게 다시 씌워지면서 전형적인 작가 캐릭터 같은 비주얼이 되었다(...). 이에 렌타로도 해당 에피소드 첫 부분부터 그림책 이야기로 복선을 깐 것을 숨기려고 억지스러운 전개로 캐릭터 디자인을 숨긴 것에 대해 놀란다(...). 그리고 렌타로는 잃어버린 모자가 다시 돌아온 것에 기뻐한다고 분위기를 바꾸려고 했으나 메루는 그냥 이야기 진행을 편하게 하려고 그런 것이라면서 씨알도 안 먹힌 건 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6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63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