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3 17:59:24

정소공주

조선의 왕녀
[[틀:조선의 왕녀/익조 ~ 연산군|{{{#!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ffd400;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1232, #94153e 20%, #94153e 80%, #751232); color: #ffd4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이행리|{{{#!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이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이자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덕종(조선)|{{{#!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


<colbgcolor=#94153e><colcolor=#ffd400>
조선 세종의 왕녀
정소공주 | 貞昭公主
파일:정소공주묘.jpg
정소공주묘 전경
출생 1412년
조선 한성부 충녕대군 사저
(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통의동)
사망 1424년 4월 3일( 음력 2월 25일)
(향년 13세)
묘소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서삼릉 왕자·왕녀 묘역[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94153e><colcolor=#ffd400> 본관 전주 이씨
부모 부왕 세종
모후 소헌왕후
형제자매 18남 4녀 중 장녀
봉호 정혜공주(貞惠公主)
정소공주(貞昭公主)[2]
}}}}}}}}} ||
1. 개요2. 생애
2.1. 사망
3. 조상4. 대중매체에서

[clearfix]

1. 개요

조선 제4대 국왕 세종과 중전 소헌왕후의 첫 자식.[3] 동복자매로는 정의공주가 유일하다.

2. 생애

세종이 16세에 태어난 딸로, 할아버지 태종과 할머니 원경왕후의 첫 손녀였기 때문에 왕실의 모든 어른들에게 각별한 애정을 받으며 성장하였다. 정소공주의 성품 또한 총명하고 슬기롭기가 남들과 달랐다고 한다.(세종실록 23권, 세종 6년 3월 23일 기해 5번째 기사.)

어렸을 때는 이맹균의 집에서 자랐다는 기록이 있다.
왕녀의 시체가 광연루(廣延樓)의 서문(西門)으로 나가 총제(摠制) 이맹균(李孟畇)의 집에 빈(殯)하였다. 이것은 왕녀가 일찍이 맹균(孟畇)의 집에서 자랐기 때문에 그 집에다 빈하라고 명한 것이니, 종친(宗親)·부마(駙馬)가 다 모였다.
정소공주가 사망한 후의 기록( 세종실록 23권, 세종 6년 2월 26일 임신 2번째 기사)

드라마 대왕 세종에서도 이 부분을 고증대로 반영했다.

2.1. 사망

하지만 1424년(세종 6) 2월 25일에 천연두에 걸려 불과 13세의 나이로 요절하였다. 세종의 여동생인 정선공주[4]가 죽은 지 불과 한 달여 만이었다. 딸의 죽음에 상심한 세종이 정소공주의 시신을 부여잡고 놓아주지 않아서, 공주의 염을 하는 시간이 늦어졌다는 야사도 존재하는데, 정작 실록에는 이런 내용이 없다. 또 세종은 이후로도 정소공주가 생전에 타고 놀던 그네를 바라보며 무척 슬퍼했다고 한다.

당시 정소공주의 장례식은 공신과 의정부 육조 당상이 성문 밖까지 장송할 정도로 크게 거행되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공주의 죽음으로는 이례적으로 아버지 세종과 당시 왕세자였던 남동생 문종이 지은 제문( 세종 제문, 문종 제문), 예문 제학 윤회가 지은 묘지명까지 상세히 실려있다.

3. 조상

본인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
정소공주
(貞昭公主)
<colbgcolor=#fff3e4,#331c00> 세종
(世宗)
<colbgcolor=#ffffe4,#323300> 태종
(太宗)
태조
(太祖)
신의왕후
(神懿王后)
원경왕후
(元敬王后)
여흥부원군 민제
(驪興府院君 閔霽)
삼한국대부인 송씨
(三韓國大夫人 宋氏)
소헌왕후
(昭憲王后)
청천부원군 심온
(靑川府院君 沈溫)


()
삼한국대부인 안씨
(三韓國大夫人 安氏)


4. 대중매체에서



[1] 원래는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에 있었는데, 1936년 다른 왕자, 왕녀들의 묘와 함께 서삼릉으로 이장했다.( 서삼릉 홈페이지 내 '왕자·왕녀 묘역 소개') [2] 본래의 작호는 정혜(貞惠)였으나 고모인 정혜옹주(貞惠翁主)와 작호가 겹쳤기 때문에 정소(貞昭)로 고쳤다. 세종실록 24권, 세종 6년 4월 4일 기유 4번째 기사 [3] 문종 세조를 비롯한 세종의 모든 자식들은 정소공주의 동생이다. [4] 정소공주에게는 고모다. [5] 김지원이 아주 어린 시절을 연기했고, 뒤이어 주아름이 성장한 버전으로 연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