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31 08:42:48

대공 미사일

잠대공에서 넘어옴
미사일의 종류
상대 표적에 따라
대공 미사일
( 보병 휴대 대공 미사일)
대우주·대위성 미사일 대탄도탄 미사일
대함 미사일 대잠 미사일 대전차 미사일 대레이더 미사일
비행 방식에 따라
순항 탄도 / 준탄도 활공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RIM-7_Sea_Sparrow_-_ID_070813-N-4166B-041.jpg
RIM-7 시스패로우 함대공 미사일[1]
파일:2K12 KUB-1.jpg
소련의 2K12 쿠프 지대공 미사일.
파일:fim-43_profile 0.jpg
미군의 맨패즈인 FIM-43 레드아이.


1. 개요2. 탄두3. 유도방식에 따른 분류
3.1. 능동
3.1.1. 적외선 유도3.1.2. 능동 레이더 호밍
3.2. 반능동3.3. 지령유도
4. 발사 지형/형식별 분류
4.1. 지대공 미사일4.2. 휴대용/개인 화기4.3. 탄도 미사일 요격용4.4. 공대공 미사일4.5. 함대공 미사일
4.5.1. 잠대공 미사일
5. 목록
5.1. 아시아
5.1.1. 대한민국 대공 미사일5.1.2. 이스라엘 대공 미사일5.1.3. 일본 대공 미사일5.1.4. 중국 대공 미사일5.1.5. 대만 대공 미사일5.1.6. 이란 대공 미사일5.1.7. 인도 대공 미사일
5.2. 아메리카
5.2.1. 미국 대공 미사일5.2.2. 캐나다 대공 미사일
5.3. 유럽
5.3.1. 러시아 대공 미사일5.3.2. 이탈리아 대공 미사일5.3.3. 영국 대공 미사일5.3.4. 프랑스 대공 미사일5.3.5. 독일 대공 미사일
5.3.5.1. 나치 독일 대공 미사일
5.4. 다국적 대공 미사일
6. 매체에서7.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대공 미사일(Anti-Air Missile)은 공중에서 날아다니는 대상을 공격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발된 유도탄(missile)으로, 발사 위치에 따라 함대공, 지대공, 공대공으로 분류된다. 보통 개발비를 아끼고 리스크를 감소시키기 위해 한 종류의 미사일을 개발한 후 다른 플랫폼에서 발사할 수 있도록 전용하는 경우가 많다.

대공포와 마찬가지로 일부 대공 미사일의 경우 특성을 살려서 대지/대함 등의 용도로 사용하기도 한다. 나이키 미사일의 경우 그 특유의 긴 사거리와 500kg에 달하는 탄두 중량을 이용해서 지대지 타격 운용이 가능하고, 시스패로우를 비롯한 일부 함대공 미사일은 고속정 등 소형 함선 공격용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만화로 보는 대공 미사일 관련 웹사이트이다. 미 해군의 대공 미사일을 다루고 있다.

2. 탄두

탄두는 일반적으로 파편 탄두(blast-fragmentation warhead)를 많이 쓴다. 초창기에는 파편 탄두가 아닌 것도 있었지만 근접신관이 발달하면서 대공 미사일에는 거의 대부분 파편 탄두가 들어간다. 항공기가 공중에 가만히 있는 물건이 아니다보니 빗나갈 가능성도 많은데, 근접신관이 있으면 피해를 입힐 수 있는 위치까지만 접근하여 탄두를 폭발시켜 격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항공기는 공중에 띄워야 하는 특성상 최대한 가볍게 만들기 때문에 파편에 대한 방호력은 거의 없어서 상당히 효과적이다. 대공 미사일의 탄두 중량이 실제 폭약 중량보다 많이 무거운 이유가 나머지를 파편으로 채워넣기 때문이다. 물론 다른 용도로 사용할 경우에는 탄두를 용도에 맞게 갈아낀 것으로 따로 쓴다.

특수한 경우는 파편 탄두를 안 쓰는 것들도 있는데, 주로 사이즈가 작은 휴대용 대공 미사일에 많다. 이쪽은 휴대용이라는 특성상 많은 기능을 넣기 힘들고 사거리도 짧아서 고폭탄두를 많이 쓰는 편. 스타스트릭 같이 미사일 본체에 다수의 작은 고폭탄 로켓을 장착한 특이한 형태도 있다.

탄도탄 요격 미사일도 파편 탄두를 거의 안 쓴다. 이쪽은 탄두에 폭약이 아예 없고 그대로 목표에 들이받아 격추시키는 방식이 대세다. THAAD도 이런 방식이다.

3. 유도방식에 따른 분류

3.1. 능동

발사한 뒤에 발사 모기나 모선에서 따로 유도를 해 줄 필요가 없는 방식. 사격 후 이탈이나 급격한 기동이 가능하므로 특히 공중전 상황 시에 큰 이점이 된다. 또한 따로 유도장비를 장착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각종 설비가 간략화되는 이점도 있다.

3.1.1. 적외선 유도

미사일에 장착된 적외선 시커로 표적의 열방사를 탐지, 추적한다. 특성상 단거리 유도미사일에 주로 적용.

1980년대까지는 엔진의 열기를 추적하여 표적의 후방에서만 제대로 유도되는 미사일이 주류였으나, 최근의 적외선 유도 미사일들은 기체가 공기에 마찰하는 열을 추적하는 전방위 발사기능을 대부분 갖추고 있다. 이쯤되면 단순히 열을 추적하는 것이 아니라 열영상 카메라이므로 적 기체의 형상을 포착하여 급소를 공격하거나 허공에 뿌리는 플레어와 기체를 분류하여 쫓아가거나를 할 수 있다. 기술력이 안 되던 구형 적외선 유도 미사일들이 최대한 가벼운 중량 안에서 충분한 유도능력을 얻기 위해 노력한 것에 대해서는 AIM-9 항목 등에 상세히 기재되었다.

이러한 유도 방식의 공대공 미사일의 발사 시 NATO 코드명은 "Fox two".

소형 MANPADS의 주류도 이러한 적외선 유도방식이다. 특성에 따라 지령유도 방식이나 레이저 빔라이딩 등을 채용한 미사일도 없지는 않지만 한국군의 신궁 부터가 이러한 적외선 유도 방식.

3.1.2. 능동 레이더 호밍

미사일에 소형 레이더를 달아 스스로 레이더를 발신해 표적을 찾고 유도된다. 다만 이 자체 레이더도 크기가 작은 만큼 탐지거리가 제한되기에 발사와 동시에 레이더를 켜는 게 아니라 모기가 유도를 하거나 관성항법 비행으로 일정 거리까지 비행한 후, 적당한 거리에서 레이더를 켠다. 1990년대 이후 대부분의 중장거리 공대공 미사일이 이 방식을 채택했다.

공대공 액티브 레이더 미사일의 발사 시 NATO 코드명은 "Fox three".

함대공 미사일로는 채용이 늦었는데, 넓은 공중을 배경으로 하는 공대공에 비해 해수면의 움직임 등 탐색을 방해하는 요소도 많고 수상함이 그만큼 중요한 전력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21세기 들어서는 점차 도입이 늘어나고 있다. 반능동 방식에 비해 전체 시스템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다수의 미사일과 동시교전이 가능하다.

3.2. 반능동

발사 모기나 모선에서 적기를 격추할 때까지 유도를 해줘야 한다. 미사일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전자공학이 발달되기 전엔 신뢰성있는 유도장비를 미사일에 박아넣기도 어려웠고, 또 단가 문제도 무시할 수 없었다. 따라서 크기가 큰 발사 모체에서 표적에 레이다 전파를 비쳐주고 레이다는 그 반사파를 탐지해 표적으로 유도되는 방식이 반능동 레이다 유도이다. 이러한 유도 방식의 공대공 미사일의 발사 시 NATO 코드명은 "Fox one".

모체의 크기가 충분히 커서 출력 좋은 유도장비(일루미네이터라고 한다. 조명이라는 뜻인데, 전파도 빛의 일종이기 때문이다.)를 달 수 있는 지대공 미사일 및 함대공 미사일은 여전히 반능동 방식이 주류. 1970년대~1980년대에 쓰인 SM-1은 발사와 동시에 명중될 때까지 표적을 일루미네이터로 비쳐줘야 해서[2] 동시다목표 대응능력=함선의 일루미네이터 갯수였지만, SM-2부터는 일정거리까지 비행 후 명중 전에만 잠깐씩 일루미네이터로 표적을 비쳐주면 되어서 동시다목표 대응 능력이 획기적으로 강화됐다.

3.3. 지령유도

가장 오래된 방식. 표적과 미사일을 별개의 레이더로 각각 추적한 데이터를 지상에서 종합, 미사일을 표적으로 유도하는 방식이다. 나이키 허큘리스나 SA-2 등의 구형 지대공미사일에 주로 쓰인 유도 방식. 발전형은 TVM 방식으로, 지령유도처럼 미사일을 지상 레이더가 추적하는 것이 아니라 미사일이 표적 추적 레이더의 반사파를 수신해서 지상으로 토스한다는 게 차이점. 지상에서 이 정보를 토대로 미사일을 유도한다는 점은 지령유도와 동일하며, 이게 더 발전해서 미사일이 반사파를 직접 추적한다면 반능동 유도 방식이 된다. 레이더를 사용한 지령유도 방식은 현대에는 더 이상 쓰이지 않지만, 대전차 미사일이나 맨패즈 등의 소형 미사일에는 시선유도나 빔 라이딩 등의 방식을 통해 쓰이고 있다.

4. 발사 지형/형식별 분류

4.1. 지대공 미사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지대공 미사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 휴대용/개인 화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맨패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fim43c_usa 0.jpg
파일:fim-43_profile 0.jpg

4.3. 탄도 미사일 요격용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탄도탄 요격 미사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external/bemil.chosun.com/20131025184930.jpg

4.4. 공대공 미사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공대공 미사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5. 함대공 미사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함대공 미사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5.1. 잠대공 미사일

잠수함의 VLS나 어뢰 발사관을 통해 발사하여 대잠 항공기를 공격하는 잠대공 미사일 체계도 개발중에 있다. IDAS 잠대공 미사일이 대표적이다.

5. 목록

5.1. 아시아

5.1.1. 대한민국 대공 미사일

5.1.2. 이스라엘 대공 미사일

5.1.3. 일본 대공 미사일

5.1.4. 중국 대공 미사일

5.1.5. 대만 대공 미사일

5.1.6. 이란 대공 미사일

5.1.7. 인도 대공 미사일

5.2. 아메리카

5.2.1. 미국 대공 미사일

5.2.2. 캐나다 대공 미사일

5.3. 유럽

5.3.1. 러시아 대공 미사일

5.3.2. 이탈리아 대공 미사일

5.3.3. 영국 대공 미사일

5.3.4. 프랑스 대공 미사일

5.3.5. 독일 대공 미사일

5.3.5.1. 나치 독일 대공 미사일

5.4. 다국적 대공 미사일

6. 매체에서

6.1. 게임

6.1.1. 도미네이션즈

6.1.2. 문명 시리즈

6.1.3. 에이스 컴뱃 시리즈

7. 관련 문서


[1] 니미츠급 항공모함 5번함 USS 에이브러햄 링컨(CVN-72)에서 발사되고 있다. [2] Home All The Way라고 부른다. [3] BLOCK 2A부터 공동개발 [4] 재채기를 할 때 "대공 미사일"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