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6 12:40:07

인천광역시/지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인천광역시
1. 개요2. 행정구역3. 자연지리
3.1. 지형3.2. 기후3.3. 대기
4. 인문지리
4.1. 90분 광역시
5. 도시 구조

[clearfix]

1. 개요

인천광역시의 지리에 관해 설명하는 문서.

2.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0079c1>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자치구
파일:중구(인천광역시) CI.svg
중구*
파일:동구(인천광역시) CI.svg
동구*
파일:미추홀구 CI.svg
미추홀구
파일:연수구 CI.svg
연수구
파일:남동구 CI.svg
[[인천광역시청|
시청
]] 남동구
파일:부평구 CI.svg
부평구
파일:계양구 CI.svg
계양구
파일:서구(인천광역시) CI.svg
서구
자치군
파일:강화군 CI.svg
강화군
파일:옹진군(인천광역시) CI.svg
옹진군
* 2026년 7월 1일 중구· 동구 폐지 예정
** 2026년 7월 1일 제물포구· 영종구· 검단구 설치 예정
}}}}}}}}} ||


파일:인천광역시 하위 행정구역 지도.jpg

하위 행정구역은 8 2이다. 구 지역은 대부분 인천 본토 지역이나, 중구는 본토와 영종도로 이루어져 있다.[1] 강화군 강화도와 인근 부속도서, 옹진군 서해 5도를 포함 작은 섬들로 구성되어 있다.

3. 자연지리

3.1. 지형

파일:attachment/incheon_recl.jpg

관련 포스터에 보이듯 시 면적 절반 가량이 간척지이다. 세부적으로는 연수구의 70%(송도국제도시의 경우 100%), 미추홀구의 20% 가량, 서구의 절반 가량, 중구의 40%[2] 동구의 20%, 남동구의 10% 정도는 간척지이다. 이것 때문에 인천 해안의 97%는 인공 제방이나 항만 시설이다. 참고로 부산의 경우 동해안이라는 지형 특성으로 인해 50% 정도 자연 해안이 남아있다. 한편 강화도의 경우 관련 문서에 나오듯 60개로 나눠져 있던 섬이 고려시대 때부터의 매립지 기술로 하나의 큰 섬이 된 것으로, 교동도, 석모도도 원래는 각각 세 개, 두 개의 섬이었다. 기록에 따르면 강화도 도내에선 물만 빠지면 매립 안 해도 그냥 섬과 섬 사이를 걸어다닐 수 있는 길이 수십 개였다고 전해진다. 아직도 그 흔적이 곳곳에 남아있으며, 강화도가 섬인데 비해 외곽은 산지면서 내부가 평지인 이유는 매립지가 많기 때문. 게다가 소금기가 빠진 뒤로는 갯벌 덕에 지력이 풍부해 조선시대 때부터 쌀 산지로 유명했다.

해안가 매립 이전의 원인천은 그 모양새가 반도에 가까웠다. 그 외에 대부분 갯벌이었고 지금도 전국에서 갯벌이 가장 많은 곳이다. 가끔 위성 사진을 보면 분명 바다일 곳인데 색깔은 회토색이나 갯풀의 빨간색이 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앞바다 근해에는 섬 사이의 거리가 1~2km 정도 차이가 나는데, 그 사이 수심은 2~30cm 정도 되는 곳도 있다. 위성 사진을 보면 무서울 수준. 이로 인해 예전에 염전이 많이 있었다.

조수간만이 심한 서해안에서도 그 차이가 가장 심한 곳으로 7~8m 정도 되는데, 이는 세계적으로도 드문 수치다. 외지인들이 인천 앞바다에서 조난이 자주 나는 이유도 심한 조수간만의 차 때문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인천항에 갑문이 설치되어 있다.

3.2. 기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인천광역시/기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 대기

인천은 강한 편서풍 기류를 타는 몽골 사막지대의 황사 발생원에 가까워 황사의 영향을 전국에서 가장 먼저 받는다. 목포시는 같은 서해안이지만 몽골이나 공장이 밀집된 산둥성의 정동방이 아니어서 미세먼지가 훨씬 덜하며 높은 산과 구름들이 많이 분포하고 있는 내륙 도시들에 비해 황사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것에 비해 인천은 직방으로 받는다는 얘기.

황사와 미세먼지의 경우 수도권에서 가장 먼저 영향을 받긴 하나 관내에 산지가 적고 바닷가라 먼지가 정체되지 않는다. 실제로 미세먼지 통계를 보면 경기 북부와 충북이 미세먼지 특보 발효건 수가 많다. 통념과 달리 인천은 수도권 평균보다 미세먼지가 적은 곳이다. 한마디로 황사나 미세먼지가 빨리 오지만 그만큼 빨리 지나간다는 것이다.

4. 인문지리

한반도에서는 중부, 남한에서는 서해 최북단에 위치한다.

육지를 기준으로 북으로는 경기도 김포시, 동으로 서울특별시, 부천시, 남으로 시흥시, 안산시와 접하고 있다. 해상으로는 남쪽으로 충청남도 당진시, 서산시, 태안군[3], 서쪽으로 중국과 접하고 있으며, 북한과는 NLL을 사이에 두고 황해남도 룡연군, 옹진군, 강령군, 청단군, 연안군, 배천군 개성시와 맞닿아 있다.[4] 접경 지역이 관할하에 있는 유일한 광역시인 것. 심지어 강화군에 포함된 민통선 이북 지역이나 비무장지대, 거기에 함박도라는 미수복영토까지 있다.

면적은 1,067.1㎢.[5] 1981년 직할시 승격 당시에는 206.6㎢[6]에 불과했지만, 1989년 계양면을 편입하고 1995년 광역시 전환 과정에서 검단면 강화군, 옹진군을 편입하면서 면적이 3배 이상으로 늘어났으며, 인천경제자유구역을 간척하면서 지속적으로 땅을 늘려왔다.

인천광역시에서 가장 면적이 넓은 기초자치단체는 강화군(411.41㎢)이며[7], 가장 면적이 좁은 기초자치단체는 동구(7.25㎢)이다.[8] 가장 인구가 많은 기초자치단체는 서구이다.

도서 지역을 제외한 본토 최북단은 서구 대곡동이며, 최남단은 연수구 송도동이다. 본토 자체가 남북으로 길게 뻗어있다.[9]

4.1. 90분 광역시

인천광역시청에서 강남구청, 고양시청, 안양시청, 수원시청까지 대중교통으로 모두 90분이 걸린다. 부산광역시 제주특별자치도도 마찬가지로 공항까지 이동 시간 약 30분에 비행기로 1시간 내외가 소요된다. 비행 시간만 고려하면 일본 오사카, 중국 칭다오까지도 90분이다. 교통수단이 다르긴 하지만 이 정도면 국토 정중앙이 아니냐는 반응이다.

다만 역설적이게도 인천의 북쪽 끝에서 남쪽 끝까지도 90분 정도 걸리고 때로는 그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는 경우가 있다. 인천 북부권의 부도심인 검단신도시에서 남부권 도심인 송도국제도시까지 약 90분 안팎이 소요되고 인천광역시청에서 강화군 강화읍 강화군청까지는 대중교통으로 2시간이 걸린다. 동쪽 끝에서 서쪽 끝으로 이동하는 경우도 비슷한데 남동구 장수동 인천대공원에서 중구 북성동 월미도까지 대중교통으로 90분 안팎이 소요된다.

5. 도시 구조

수도권의 주요 항구인 인천항을 중심으로 시역을 확장하다가 다핵 도시가 되었다.[10] 그리고 특히 원인천 지역과 부평 한남정맥으로 분리된 시가지를 형성하고 있다. 중앙에서 외곽으로 확장되는 대한민국의 다른 광역시들과는 다르게 서쪽에서 동쪽으로 도시가 확장된 탓에 고속도로와 도시철도 등을 중심으로 도심기능이 조금씩 분산되어 있다.

2040년 인천도시기본계획에 따르면 송도, 구월, 부평 3도심, 동인천, 영종, 계양, 청라, 검단 5부도심, 연수, 주안, 소래논현, 계산, 강화, 오류, 검암, 가정 8지역 중심으로 인천광역시를 재편한다.

현재 인천종합터미널 인천도호부관아가 위치한 관교동/ 문학동이 조선시대까지 인천의 중심지였다면 19세기 말 개항 이후 1980년대까지는 인천항 동인천 일대가 인천의 중심이었다. 1980년대 간척사업이 완료되면서 시역이 확장된 곳[11]에 주택단지가 조성되기 시작했고 인천광역시청이 시의 중앙에 위치한 구월동으로 이전하면서 중심지가 다시 바뀌었다. 그리고 2000년대 전후로 갯벌을 매립한 송도국제도시, 인천국제공항이 위치한 영종국제도시 지역 등이 개발되면서 도시구조가 새로운 전기를 맞고 있다. 한편, 계양산 - 천마산 - 원적산 - 철마산으로 이어지는 한남정맥이 인천광역시를 크게 나누고 있어 옛 부평 도호부 지역[12]은 독자적으로 발전해왔다. 서로 전혀 다른 도시라고 봐도 무방한 역사.

5.1. 주요 도심/ 부도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위치와 면적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598
, 1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위치와 면적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598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2026년 7월 1일, 본토 지역은 제물포구, 영종도 지역은 영종구로 개편될 예정이다. [2] 영종도의 절반 정도. [3] 당진, 서산, 태안은 연륙교가 없어 바다로만 경계를 이루고 있다. [4] 해수 권역이 대한민국 광역시 중 가장 넓다. [5] 2015년까지는 울산광역시의 면적이 더 컸으나, 지속된 간척 사업의 영향으로 2016년 이후로는 인천광역시의 면적이 울산광역시보다 더 넓어졌다. 특별시· 광역시 중에서 면적이 2위이다. [6] 경기도 고양시보다 조금 좁은 정도. [7] 비교대상을 자치구로만 한정한다면 가장 면적이 넓은 기초자치단체는 중구(140.40㎢)가 된다. [8] 동구는 8개 자치구 중 면적과 인구가 모두 8등이며 강화군보다 인구가 적은 곳이기도 하다. [9] 서구와 남동구 역시 남북으로 길쭉한 자치구다. [10] 이는 원도심권을 중심으로 시역을 확장하다가 다핵 도시가 된 부산광역시도 공통점이다. [11] 연수구, 서구 일대 [12] 검단 지역 제외. [13] 1999년까지도 CGV 14 옆에 있는 중앙공원 일대가 젖소 목장이었다. [14] 현재의 미추홀구 관교동. 구월동에 있다고 착각하는 경우가 있지만 터미널은 구월동에 소재한 적이 없다. 다만 건너편 로데오거리는 구월동이 맞다. [15] '인천의 동쪽 지역'이라는 지명 유래를 갖고 있어서 진짜 인천의 동부 지역인 남동구 부평구를 동인천으로 오해하기도 하나 정작 동인천은 인천광역시 서쪽에 있다. 사실 동인천이라는 명칭은 인천부청(옛 인천시청, 현 인천 중구청)의 동쪽에 있는 지역이라고 해서 붙은 지명이다. [16] 인천광역시 중구청 건물. 1985년에 구월동으로 시청이 이사갔다. [17] 수인·분당선 숭의역 근처에 용현동 구 터미널이 있었지만 1997년에 관교동으로 터미널이 이사갔다. [18] 인천고등학교(율목동 현 정보산업고 부지 → 석바위), 인천여자고등학교(동인천동 주민센터 부지 → 연수동), 송도고등학교(신포동 송도중학교 → 옥련동), 인천대건고등학교(화수동 영풍아파트 부지 → 동춘동) 등. 중학교는 인일여고와 함께 있었던 인천여중이 동인천에서 동춘동으로 이사 갔고, 초등학교는 축현초등학교가 동인천에서 옥련동으로 이사 갔다. [19] 제물포고등학교, 인일여자고등학교, 인성여자고등학교 등. 이 중에서 제물포고와 인일여고는 나란히 송도로 학교 이전 작업을 추진했다가 지역 사회와 동문회로부터 엄청나게 욕을 먹고 학교 이전 계획을 철회했다. [20] 지정 당시 명칭은 영종지구로, 2018년 공식적으로 영종국제도시라는 이름을 달게 되었다. [21] 국제고는 영종국제도시 개발 과정에서 개교했지만 과학고는 영종국제도시 개발 이전인 1994년에 개교했다. 영종도와 육지를 잇는 연륙교가 없던 시절에 학교가 개교했기 때문에 영종대교 개통 전까지는 격주간 기숙 생활을 하고 육지로 나갈 때는 월미도로 나가는 여객선을 타야 해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