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2 09:09:24

인증

1. 개요2. 공적 인증3. 품질 인증4. 대한민국 인터넷 용어5. 의료기관 인증6. 관련 문서

1. 개요

/ Certification, Accreditation

인증은 무엇인가를 공신력 있는 방법으로 확인하고 및 증명하는 일이다.

2. 공적 인증

어떠한 행위 또는 문서의 성립·기재가 정당한 절차로 이루어졌음을 공적 기관이 증명하는 일. 공학교육인증과도 관계가 있을지도...

ISO 9001 같은 국제표준에 대한 인증이 궁금한 경우 국제표준화기구 항목 참조.

3. 품질 인증

제품의 품질이 기준을 충족하는지 확인하고 이를 증명하는 제도이다.

전파인증이나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인증, 에너지 소비 효율등급 표시 같은 강제인증은 국내에서 생산하여 판매하거나 외국의 제품을 수입하여 판매하고자 할 때 의무적으로 받아야 한다. 아이폰과 아이패드는 최초의 사용자들은 개인적으로 적지 않은 비용을 부담하며 전파인증을 받았다.

인증이란 제품이 표준화된 성능을 보장받기 위한 일종의 기준점이지만 과도할 경우 비관세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종종 악용되어 소형무역업자들이 물품을 수입할 때 종종 발목을 잡기도 한다. 특히 소형무역업자들이 병행수입을 할 때 걸리는 부분이다.

인증은 필요하지만 너무 많은 인증규제를 비판하는 기사도 나왔다. 10만원짜리 폰 수입에 인증 비용 5천만원?

4. 대한민국 인터넷 용어

4.1. 보안을 위한 본인확인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인터넷 상에서 회원가입이나 로그인, 기타 권한이 필요한 작업 등을 할 시 '본인이 맞다'라고 증명하는 행위. 일반적으로 범용 혹은 제한 공인인증서, 휴대폰, 주민등록번호, 팩스 오프라인을 활용한 방법 등이 사용된다. 대부분 이를 혼합적으로 사용하는데, 만일 하나 둘 정도의 수단으로 제한할 경우에는 인증이 안 되어서 사용에 제한을 두게 된다.[1]

4.2. 인터넷 커뮤니티

4.2.1. 개요

남들에게 자신의 학력, 재산, 자격증, 게임캐릭터, 이름, 얼굴 등을 아이피 또는 자신의 아이디가 적힌 쪽지와 함께 인터넷 커뮤니티에 올리는 것으로 온라인 인증이다. 자신이 해당 커뮤니티의 분위기와 흘러가는 방향을 꿰뚫고 있다는 자신감이 받쳐주어야 하므로 상당히 대담한 행위로 친다. 주로 자신의 우월성을 자랑하거나 올드비 멤버로서의 증명 혹은 키배(...) 시 상대를 공격하기 위한 목적까지 다양한 이유로 시도된다. 평화롭게 서로의 정보를 나누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 약육강식(...)의 상황에서 리스크를 감수하는 행동이기 때문에 일종의 자기 과시라고 볼 수 있다.

4.2.2. 디시인사이드

대상은 실로 다양하며 공무원 시험 합격증 인증이 HIT 갤러리에 등록되어 부러움을 사기도 한다.

자랑거리 갤러리는 인증이 기본이다.

차유람은 인증을 위해 디시인사이드 본사를 방문했다.

4.2.3. 폐해

하지만 인증도 지나치면 안 좋은 법이다. "오오 본좌 오오!" 찬양하다 얼굴색 하나 안 바꾸고 싸이월드 미니홈피를 찾아 터는 경우도 있다. 가끔 서로 키보드 배틀를 뜨다 먼저 인증을 까는 쪽이 승리하기도 하는데 승리한 쪽이 위의 이유로 다른 사람에게 털리는 경우도 있다. 서양인들은 자기만족을 위해 값비싼 전자기기를 발매 당일날 사서 상품파괴인증을 하는 경우도 자주 보인다(특히 발매 당일).

인증을 일종의 말돌리기나 계급 프레임 형성용으로 사용하는 '인증 만능주의적'잘못된 예도 있다. 가끔씩 특정 집단이 경쟁적으로 우리 중에는 이런이런 사람들도 있다 는 식으로 인증 러시를 한 뒤 집단적 자긍심을 고취하고, 우리는 이렇게 대단하므로 외부의 시각은 틀리다고 주장하는 식. 물론 선망받는 재산/학력/직업 등을 공개해서 억누른다고 그들의 발언이 모두 우월해지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그 분야 관계자 전반에 망신살을 뻗치게 할 위험이 있다. 자신감이 충만해도 웬만하면 자제하도록 하자.

인증에 너무 빠지면 더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얻기위해 더욱 자극적이거나 어그로성이 다분한 인증을 올리면서 관종이 되가기 시작한다. 이 정도만 해도 주변의 많은 네티즌들에게 민폐를 끼치며 다니고 욕을 바가지로 얻어먹고 다니는 수준인데 더 악화될 경우에는 심각한 비윤리적 행위나 범죄 행위들을 저지른 후 이를 인터넷에 인증하고 다니기 시작한다. 부평동 청소년 범죄인증사건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그러나 범죄를 인증하는 행위는 그 자체로 범죄이다. 이는 다른 비윤리적인 행위도 마찬가지다. 인증하는 순간 경찰 등 행정기관은 물론 전국 국민들의 어그로를 끌게 되며 이미 개인정보를 남기면서까지 범죄를 저질렀으니 완전범죄는 물 건너가 버린다. 여기에 무죄추정의 원칙의 적용으로 무죄 판정을 받는다고 해도 이미 혐의 자체가 인정되기 때문에 민사상 소송을 호되게 당할 각오를 해야 한다. 단순 미수로 그쳤다고 해도 경찰에 직접 자수하는 것보다는 형사 처벌이 결코 작을 수 없다. 실제로 코로나19 시국에 물감을 칠해 마스크 착용으로 위장한 유튜버가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추방되는 등 범죄 인증이 민형사상 불이익으로 이어진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 '마스크 그림' 유튜버…발리서 추방)

가끔 등장하는 유명인들에게 인증을 요구했다가 말그대로 탈탈 털리고 데꿀멍하는 사례도 발견된다. 그것도 실명과 익명자 모두에게. 루리웹 만지소 인증사건은 익명으로 활동하던 만화가 양경일에게 인증 요구 등을 하다가 망가졌고, 디시인사이드의 임재범 갤러리는 임재범이 글을 남긴 것에 대해서 인증요구를 하면서 난리를 쳤다. 전자는 그나마 관대하게 대하긴 했지만 결국 공식적으로 활동을 접었고 후자는 더 심각해서 분개해서 팬카페를 탈퇴하는 상황까지 전개되었다.[2]

4.2.4. 상품 파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상품 파괴 인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의료기관 인증

의료기관인증평가원에서 실시하는 인증을 의미한다.

6. 관련 문서



[1] 비밀번호 유출사고 이후 상당수의 홈페이지는 비밀번호 변경 활동을 벌였는데 그 때 이런 일이 많이 발생했고 이는 현재진행형이다. 대표적인 예는 휴대폰 인증만으로 제한을 두어서 휴대폰이 없는 사람들이 애초에 손을 털게 만드는 것이다. 문화상품권을 발매하는 한국문화진흥재단의 컬쳐랜드마저 이 꼴이다. 모든 업체가 그러진 않지만 휴대폰 명단을 브로커에게 돈을 받고 넘길 수도 있다. [2] 결국 10여 일 후에 복귀하기는 했다.

분류